The Difference in Tear Film Stability between Normal and Dry Eyes by Wearing Clear and Circle Contact Lenses made of the Same Materials

03 medical and health sciences 0302 clinical medicine
DOI: 10.14479/jkoos.2016.21.1.11 Publication Date: 2016-04-29T06:54:43Z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일재질의 투명 및 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써클렌즈)를 정상안과 건성안에 착용시켰을 때 착용시간 경과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를 눈물량에 따라 건성안으로 분류한 후 hilafilcon B 재질과 nelfilcon A 재질의 써클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30분 후, 6시간 후에 비침입성 파괴시간, 렌즈중심안정위치, 눈물막깨짐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변화를 알아보였다. 결과: 건성안 모두 써클콘택트렌즈 시 착용시간경과에 눈물막파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시작 비율은 두 투명렌즈보다 써클렌즈의 주변부에서 높았고, 정상안보다는 건성안의 높게 나타났다. Hilafilcon 재질보다는 재질 렌즈의 비율이 높았으나 변화는 서로 다른 양상으로 한편, 써클렌즈 단위면적 당 개수는 많게 나타났던 반면, 경우는 중심부에서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렌즈중심안정위치는 써클렌즈에 비해 투명렌즈가 동공중심 가까이에 존재하였으나 정상안에 중심이탈이 크게 결론: 연구결과 렌즈착용시간이 경과함에 착색공정을 거친 뿐만 아니라 투명렌즈도 눈물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렌즈재질에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또한 달라짐을 알 있었다. 따라서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착용자의 일일착용시간이나 착용기간 등과 같은 사용습관에 착색공법/염료 고려하여 적절한 렌즈를 선택하여야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ear film stability according wearing time when clear and circle soft contact lens(circle lens) made same material. Methods: lenses materials were respectively applied on subjects classified as normal dry eyes depending their volume, investigated by measuring non-invasive break-up times, lens centration first appearing area breakup after 30 mins 6 hrs wearing. Results: Non-invasive significantly reduced with increase for lenses. starting ratio higher at peripheral all two different materials, than eyes. Starting compared lenses, however, its change showed a aspect. number per unit increased central while B. closer pupil time, larger decentration shown Conclusions: research revealed that an effect may be changed well coloring process factors affecting also vary materials. Thus, appropriate should selected consideration material method/dyes wearers' habit such daily period trying wear
SUPPLEMENTAL MATERIAL
Coming soon ....
REFERENCES (28)
CITA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