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 Impacts of Sea-level Rise and Optimal Protection on Jeju Island
Value (mathematics)
land values
Land Values
DOI:
10.15266/kerea.2013.22.1.127
Publication Date:
2015-10-22T06:27:05Z
AUTHORS (2)
ABSTRACT
본 연구는 FUND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제주도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기후변화에 상승의 이를 방어하기 위한 분석하기 연구 대상을 전 세계나 대륙 중심으로 분석하여 개별 국가의 대응 정책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시도로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지표 값들을 도출하고 토대로 분석하였다. 2100년까지의 분석기간 동안 시나리오별로 범람 면적은 약 2.01%~2.25%이고 토지 가치로는 6.4%~7.2%로 상대적으로 높아 지역이 경제활동이 활발한 지역임을 보였다. 추정된 보면 제주시가 87.16%~87.92%로 서귀포시 73.32%~75.47%보다 높다. 비록 제주시의 해안선의 길이가 서귀포시에 비하여 더 길어 비용이 필요하지만 규모가 크기 때문에 가치가 큼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stimates the economic impact of sea-level rise on Jeju island and suggests optimal protection level based FUND model. There exist a number studies that estimate impacts global scale, but their results are limited use for local scale such as Korea. Therefore, this applies some specific indicators data Korea into to model deriving site estimates. The show 2.01%~2.25% land could be inundated by until 2100. value affected is about 6.4%~7.2% total value. discrepancy between figures indicates area much more valuable than rest island. in city higher Seguipo city, even though coastal length longer Seguipo. due fact Seoguipo city.
SUPPLEMENTAL MATERIAL
Coming soon ....
REFERENCES (2)
CITATIONS (2)
EXTERNAL LINKS
PlumX Metrics
RECOMMENDATIONS
FAIR ASSESSMENT
Coming soon ....
JUPYTER LAB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