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struction of Post-modem Gender Role Discourse Based on the Yin-Yang Theory

DOI: 10.17207/jstc.2006.11.14.37 Publication Date: 2014-12-17T08:56:04Z
ABSTRACT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대 성역할 담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음양론陰陽論을 바탕으로 하여 탈현대의 담론을 구성하고자 한다. 문제점은 남녀를 분리·독립된 존재로 인식하고, 남녀관계를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것으로 보는 근대적 세계관에 뿌리를 둔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음양론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조화로운 관계라고 간주한다. 이와 같이 세계관과는 상이한 남녀관계관에 대한 가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구성할 수 있다. 성역할에 음양론적인 접근에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첫째, 접근은 성역할의 관점을 제시한다. 담론은 성역할을 고정된 보고 그러나 음양론의 관점에서 보면, 성역할은 더 이상 실체가 아니다. 음양陰陽의 변역變易 논리는 상황 속에서 변화하는 특수와 보편의 관계를 잘 설명해 준다. 이런 논리를 통해서 성역할이 사회적 구성물임을 확인하고, 사회구조적인 변화에 따라서 성역할도 시대의 요구에 맞게 새롭게 변화되어야 한다는 형성할 둘째, 음양론적 탈현대적인 모델을 제시할 사회구조적 부응할 제시하지 못하고 시중時中적인 관점은 그리고 상호 보완적인 남녀관계와 존중을 추구할 셋째, 이론적 한계를 극복할 대안을 극복하기 위해서 양성성 논의를 주장하고 양성성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각각의 남녀 속에 양자의 특징이 모두 있다고 가정한다. 주장에는 논리적인 문제가 남녀가 가지고 한다면, 최초의 남성적인 여성적인 특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답을 가 없다. 음양 상함적相含的인 문제를 해결하는 음陰은 양陽을, 양은 음을 자신 안에 품고 남성은 여성을, 여성은 남성을 상함적 추구하는 논의가 이론적인 제시해
SUPPLEMENTAL MATERIAL
Coming soon ....
REFERENCES (0)
CITATIONS (0)
EXTERNAL LINKS
PlumX Metrics
RECOMMENDATIONS
FAIR ASSESSMENT
Coming soon ....
JUPYTER LAB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