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and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s sugars intake reduction in elementary school
Nutrition Education
DOI:
10.4163/jnh.2018.51.5.433
Publication Date:
2018-11-07T04:18:31Z
AUTHORS (2)
ABSTRACT
전국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기반 당류 섭취 줄이기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요구도를 조사하여 초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7년 7월에 온라인 설문으로 이루어진 조사에 전국의 영양교사 230명이 최종적으로 참여하였다. 대상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저감화를 주요 주제로 영양교육을 실시한 비율은 각각 33.9%였고, 학년은 4학년과 3학년이, 회차는 연 1회, 자료 수집 경로는 식약처 등 보건 정부기관이 가장 많았다. 어린이의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81.8%가 필요하다고 답하였고, 정부 차원의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의 99.1%가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생각하는 대상은 1학년이 높았으나, 현실적으로 적합하다고 응답한 3학년이 높았다. 요구도 조사에서 초등학생 영양교육에서 꼭 다루어야 할 내용은 저학년의 경우 섭취와 건강문제, 함량이 높은 식품, 실천 행동으로 나타났고, 고학년의 단맛 중독, 영양표시 확인, 당류의 적정 섭취량, 실천행동의 비율이 영양교육에 효과적이라고 교육방법으로는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실험활동이 높았고, 다음으로 저학년은 동화를 활용한 교육, 동영상/인터넷을 통한 교육으로 나타났으며, 경우는 조리실습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매체는 실물 또는 모형이 고학년은 실험키트가 높게 교실 내 자유 활동 시간에 자율참여에 의한 교육이 이루어질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매체로 모두에서 게임과 동영상의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심으로 한 저감화 일부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시간이 짧고 유형이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영양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는 매우 것으로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은 체험활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학년에서 실험 실습을 요구가 자율활동 시간을 방법에 대하여서는 공통적으로 게임 교구에 따라서 개발과 시의성이 높으며 시 환경을 고려한 체험 교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것이다.
SUPPLEMENTAL MATERIAL
Coming soon ....
REFERENCES (35)
CITATIONS (4)
EXTERNAL LINKS
PlumX Metrics
RECOMMENDATIONS
FAIR ASSESSMENT
Coming soon ....
JUPYTER LAB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