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awdust Moisture Content and Particle Size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Fabricated with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awdust

Sawdust Pinus densiflora Pellet
DOI: 10.5658/wood.2015.43.6.757 Publication Date: 2015-12-28T07:22:23Z
ABSTRACT
본 연구는 신갈나무, 소나무, 낙엽송 목분을 이용하여 flat-die pelletizer로 제조한 목재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대한 목분 함수율 및 크기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 수종별 화학적 조성을 조사한 결과, 회분 함량은 신갈나무에서, 리그닌 소나무와 낙엽송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성은 펠릿 함수율의 경우 소나무에서 가장 낮았으며, 겉보기밀도는 낙엽송, 신갈나무 순으로, 내구성은 소나무 순이었다. 함수율에 따른 목재펠릿 함수율, 겉보기밀도, 내구성을 측정한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수종의 함수율과 증가하였으며, 신갈나무와 펠릿의 감소하였다. 크기에 크기가 감소함에 겉보기밀도 그리고 증가하였다. 한편, 감소는 내구성 증가에 기여하였다. 함수율별 내구성에 미치는 분석한 12% 목분으로 겉보기밀도와 한편 대조구로 사용된 10% 12%의 조건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8% 감소와 함께 내구성이 제조된 특성과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최적 크기는 신갈나무의 10%와 2 mesh 소나무의 12%와 mesh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 국립산림과학원 품질규격 1등급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isture content and particle size sawdust on fuel characteristics wood pellets produced with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QUM), red pine (Pinus densiflora, PID) larch (Larix kaempferi, LAK) using a pelletizer. Prior produce pellets, controlled 8, 11, screened 4 mesh. In analysis its chemical composition, QUM had high ash content, PID LAK contained large amount lignin. case characteristics, lowest (P-MC), LAR found have highest bilk density (BD) durability (DU). With increase (S-MC), P-MC DU QUM, increased, but BD decreased. When used for production decreased, increased. Decrease contributed pellets. addition, S-MC increased as reduced. For not influence by in S-MCs 12%, decrease 8%. Based results economical aspects, MC paricle might be optimal conditions production, greatly exceeded minimum requirements <TEX>$1^{st}$</TEX>-grade standard designate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UPPLEMENTAL MATERIAL
Coming soon ....
REFERENCES (11)
CITATIONS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