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woo Lee

ORCID: 0000-0001-9640-4752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dental development and anomalies
  •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 Dental Trauma and Treatments
  •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 Cleft Lip and Palate Research
  • Dental materials and restorations
  • Oral and Craniofacial Lesions
  •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Technologies
  • Injury Epidemiology and Prevention
  • Bone Tumor Diagnosis and Treatments
  • Obstructive Sleep Apnea Research
  • Dental Health and Care Utilization
  • Dental Radiography and Imaging
  •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 Anesthesia and Sedative Agents
  •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Network Coding
  • Oral and gingival health research
  • Pediatric health and respiratory diseases
  • Dental Anxiety and Anesthesia Techniques
  • Bone and Dental Protein Studies
  • Shoulder and Clavicle Injuries
  • Advanced MIMO Systems Optimization
  • Dental Research and COVID-19
  • Endodontics and Root Canal Treatments
  • Voice and Speech Disorders

Wonkwang University
2012-2022

Kyung Hee University
2019

Molar-incisor malformation (MIM)은 최근에 ì•Œë ¤ì§„ 치아 이상으로 ì œ1대구치의 치근 형태 이상이 íŠ¹ì§•ì ì´ë©°, œ2ìœ êµ¬ì¹˜ì˜ ë¹„ì •í˜•ì  및 ì¤‘ì ˆì¹˜ì˜ 법랑질 결함을 동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MIM으로 진단한 3ëª ì˜ 환아에 대하여 ë³´ê³ í•˜ê³ , 이에 관한 문헌 ê³ ì°°ì„ 자 한다.3ëª í™˜ì•„ 모두 이상을 보였으며, ê·¸ •도는 다양했다. 2ëª í™˜ì•„ëŠ” 출생 시 의학ì ë³‘ë ¥ì„ ê°€ì§€ê³ ìžˆì—ˆìœ¼ë©°, 한 ëª ì¼ëž€ì„±...

10.5933/jkapd.2017.44.3.370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7-08-31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competency towards smartphone use schema-based learning in dental radiology practice. Methods: Third year students undertaking a practicum at schoo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traditional clinical training, whereas other used smartphones classes new training using schema assignments. At end course, with self-awareness their surveyed, achievement was assessed. Results: Although...

10.1259/dmfr.20170463 article EN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2018-04-16

Ultra-Dense Network is considered as a 5G / B5G network environment, which method of increasing capacity by greatly the density small base stations. In UDN deployment numerous stations causes problem inter-cell interference, and also an efficient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hould be considered. order to manage resources, clustering method, managing lot unit, introduced. Resource management for depending on number clusters set up, such per cluster location center point. According clusters,...

10.1109/vts-apwcs.2019.8851643 article EN 2019-08-01

본 연구는 5 - 10세 아동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과 골격적 부정교합 유형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소맹출이 있는 93명의 아동을 실험군으로, 없는 693명의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제1대구치가 맹출 전이거나 제2대구치가 맹출을 완료한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계측을 통해 부정교합의 유형을 조사, 분석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이 57.0% 이었고, 대조군에 비해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SNA, ANB, A to N-perpendicular는 실험군에서 작은 경향을 보였고, A-B plane angle과 APDI는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SNB와 mandibular angle은 두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를 상악의 열성장이 이소맹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5933/jkapd.2017.44.2.147 article KO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7-05-25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에게 적합한 치아외상 교육내용 및 효과적인 전달 방법이 마련될 수 있도록 치아외상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았던 교육현황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북지역 교사 231명에게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응답자의 일반 사항, 교육현황 태도, 사례를 통한 지식수준, 치아 보관 매체에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대처방법에 교육을 받은 교사는 15.2%에 불과하였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필요한지에 질문에서는 97%가 필요하다고 대답하여 스스로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으며 교육 방식으로는 전문가에 의한 직접 선호하였다. 평가에서는 문항 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응급상황시 적절히 대처하기에는 지식수준이 대체로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초등교사들에게 교육방식과 교육내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교사들에게 알맞은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하리라...

10.5933/jkapd.2012.39.2.120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2-05-31

êµ­ì†Œë§ˆì·¨ì œëŠ” 치과 영역에서 ìž„ìƒì ìœ¼ë¡œ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œë¡œ 인한 과민반응은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그러나 낮은 ë°œìƒë¥ ì—ë„ ë¶ˆêµ¬í•˜ê³ , 과민반응 증례가 ë³´ê³ ë˜ì–´ 왔다.본 증례는 충차치료를 주소로 내원한 26개월 남환에서 관찰된 과민반응으로, 리도카인 국소마취 후 하순의 ë¶€ì¢ ì´ 발생하였다. í•­ížˆìŠ¤íƒ€ë¯¼ì œì™€ ìŠ¤í Œë¡œì´ë“œì˜ 사용으로 증상이 경감되었다.

10.5933/jkapd.2017.44.3.365 article SQ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7-08-3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ymptom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representative samples questionnaires. Methods: A survey involving interview 10-, 12-, 15-year-old regarding TMD was conducted as a part 2010 National Oral Health Surveys. The population included 18,112 subjects (male, 9,734; female, 8,378). involved three questions related TMD. prevalence TMD, correlation with sex age, difference number...

10.14476/jomp.2016.41.2.35 article EN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2016-06-30

이 연구의 ëª©ì ì€ 2ì¢ ì˜ 친수성 ì¹˜ë©´ì—´êµ¬ì „ìƒ‰ì œë¥¼ 건조한 법랑질과 습한 법랑질에 ì ìš©í•˜ì˜€ì„ 때의 미세누출과 열구 침투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기존의 소수성 œì¸ Clinpro™와 비교하였다.ê±´ì „í•˜ê³ ìš°ì‹ì´ 없는 œ3대구치 60개를 법랑질 수분 처리 방법과 œ ì¢ ë¥˜ì— 따라 12개씩 다섯 군으로 나누었다. ìš© 후 치아들을 열순환 시킨 뒤 1% ë©”í‹¸ë Œë¸”ë£¨ 용액에 담갔다. ê·¸ë¦¬ê³ ë‘ 번씩...

10.5933/jkapd.2017.44.3.272 article SQ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7-08-31

이 연구는 성장기 아동의 ë°©ì‚¬ì„ ì‚¬ì§„ì„ 이용하여 ìƒì• ê²¬ì¹˜ì˜ 치아 성숙도와 ê³¨ê²©ì  성숙도를 í‰ê°€í•˜ê³ , 성숙도 사이의 연관성을 ì•Œì•„ë³´ê³ ìž 하였다. 성숙도는 Demirjian index (DI)를 ì´ìš©í•˜ì˜€ê³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 stages (CVMS)와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를 각각 경추골 수완부골 평가하였다.ê·¸ ê²°ê³¼, ë‚¨ë € 모두 DI와 CVMS 및 SMI 사이에서 ìœ ì˜í•˜ê²Œ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10.5933/jkapd.2019.46.3.247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9-08-31

이 연구의 ëª©ì ì€ tricalcium silicate cement 중 하나인 TheraCal LC의 광중합 시간과 거리에 따른 중합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금속 주형을 이용해 시편을 ì œìž‘í•˜ì—¬ Vickers hardness number (VHN)를 ì¸¡ì •í•˜ì˜€ìœ¼ë©°, 중합시간과 조사시간에 시편의 미세경도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ê·¸ ê²°ê³¼, ëª¨ë“ êµ°ì—ì„œ 상면의 VHN이 하면의 VHN보다 ìœ ì˜ì„± 있게 컸다(p < 0.05). VHN은 중합거리에서 중합시간이...

10.5933/jkapd.2019.46.4.392 article VI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9-11-30

Short root anomaly (SRA)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êµì •ë ¥ì— 의한 치근흡수에 있어서 ì •ìƒì ì¸ 치아보다 더 취약하므로 처치시에 ì–´ë ¤ì›€ì´ 있다. 또한, 혼합치열기 시기에 나타나는 „ë°˜ì SRA의 경우는 진단 또한 쉽지 않다. 초기 환아에서 ë°©ì‚¬ì„ ì‚¬ì§„ë§Œìœ¼ë¡œ SRA를 예측하기 µì§€ë§Œ, ê°€ì¡±ë ¥ì´ë‚˜ ê´€ë ¨ „ì‹ 질환, 또는 구강 내 다른 치아이상 (tooth anomaly) 등의 요소가 있는 경우, 염두에 두어야...

10.5933/jkapd.2015.42.4.319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5-11-30

삼중치는 치아의 형태이상 중 희소한 경우로서 세 개의 치아가 결합된 양상을 보이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그 동안 유치의 결합에 대한 문헌은 많이 보고된 바 있으나 대부분 두 개 것이고 치아에 보고는 드물었다. 치아 우식, 심미적인 문제, 부정 교합, 치주 문제 등을 동반할 수 있어 여러 전문 분야의 협진을 필요로 한다. 이 증례는 1세 11개월 여아의 상악 유전치부에 발생한 드문 증례인 삼중치에 보고이다. 환아는 우측 전치부 순측 치은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3주전 해당 부위에 외상을 입은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환아의 구강 내 검사 시 유전치부위에 유중절치, 유측절치, 과잉치가 합쳐진 삼중치가 발견되었고 주변으로 누공과 농양이 관찰되었으며 방사선 사진에서 측절치가 결손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해 근관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치관부위를 수복하였다. The term 'triple tooth' is used to describe a rare dental...

10.5933/jkapd.2013.40.1.60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3-02-28

치아의 매복은 맹출로 내의 물리적 장애물이나 비정상적 위치에 의해 발생한 치아 맹출의 정지로, 하악 제2대구치의 비교적 드물다. 매복된 제2대구치는 우식, 치주염, 제1대구치 치근흡수 등을 유발하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첫 번째 증례는 10세 남자 환자로 양측 매복을 구리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두 12세 여자 구강검진 도중 좌측 매복이 발견되어 Humphrey 장치를 세 17세 우측 소구치부에 식립한 미니 임플란트를 고정원으로 하는 uprighting spring을 네 18세 제2대구치에 부착한 교정용 버튼과 하악지에 elastic thread로 연결하여 Tooth impaction is defined as a failure of tooth eruption resulting from the physical obstacles in path or abnormal position germ. Impaction mandibular second molar...

10.5933/jkapd.2012.39.4.404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2-11-30

ìƒì• ì œ2ìœ êµ¬ì¹˜ì˜ 부가치근은 드물게 관찰된다. 본 ì¦ë¡€ë³´ê³ ì—ì„œëŠ” 두 증례를 통해 부가치근과 하방 영구 계승치의 변위 및 íšŒì „ì´ 연관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ë ¼ì˜í•˜ì˜€ë‹¤. 치관 형태를 관찰함으로써 부가치근의 존재 가능성을 ì˜ì‹¬í• ìˆ˜ 있으며, 부가치근이 존재하는 경우 맹출 양상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í• í•„ìš”ê°€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약 소구치 치배가 ë¹„ì •ìƒì ì¸...

10.5933/jkapd.2017.44.1.116 article VI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7-02-28

본 연구는 7세에서 11세 사이의 혼합치열기 아동의 ì „ì¹˜ 경사도와 ìž ìˆ ê²½ì‚¬ë„ 연관성을 ì•Œì•„ë³´ê³ ìž 하였다. 353ëª ì˜ ì¸¡ëª¨ë‘ë¶€ë°©ì‚¬ì„ ì‚¬ì§„ì„ 분석하여, 골격성 ë¶€ì •êµí•©ì˜ 분류에 따른 ìƒì• ê²½ì‚¬ë„, í•˜ì• í•˜-비순각, 이순각을 평가하였다. ì¸¡ì •ëœ 수치는 Kruskal-Wallis test와 피어슨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ëª¨ë“ •교합에서 상순 사이에는 ìœ ì˜í•œ 음의 상관관계가...

10.5933/jkapd.2018.45.1.21 article VI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8-02-28

이 연구는 6 - 13세의 혼합치열기 및 초기 영구치열기 소아의 íŒŒë ¸ë¼ë§ˆë¥¼ 이용하여 ì—°ë ¹ì˜ 변화에 따른 이공의 위치의 변화를 ì•Œì•„ë³´ê³ ìž 하였다.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한 180ëª ì„ 대상으로 촬영된 ìˆ˜ì§‘í•˜ì˜€ê³ , Piview(Infinitt, Kore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이공의 경우 ìˆ˜í‰ì ìœ¼ë¡œëŠ” 치아의 대한 ìƒëŒ€ì  위치와, 수직ì 중심을 지나는 ì¹˜ì¡°ì •ì—ì„œ í•˜ì• í•˜ì—°ê¹Œì§€ì˜ 거리와...

10.5933/jkapd.2019.46.2.183 article VI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9-05-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incipal reasons for primary teeth extractions and tooth type extracted in children. 1159 patients were selected study. Dental records radiographs reviewed age, gender, medical history, extraction collected. data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otal 2078 extracted. Central incisors(34.1%) most frequently Extractions due physiological mobility(77.5%) frequent followed by caries(13.8%), orthodontic(3.9%), trauma(1.7%). Reason...

10.22974/jkda.2020.58.3.003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2020-03-31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according vertical facial type sex in Korean children developmental stage. In total, 184 participants aged 8 - 14 years were selected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mandibular plane angle. For comparison between sexes, each male female subgroups. assessed using lateral cephalograms, hand-wrist radiographs panoramic radiographs. growth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ervical vertebral than that...

10.5933/jkapd.2021.48.4.414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21-11-30

10.17779/kaomp.2016.40.2.004 article EN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016-04-30

10.17779/kaomp.2016.40.3.004 article EN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016-06-30

10.17779/kaomp.2017.41.6.002 article EN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017-12-31

10.17779/kaomp.2017.41.5.004 article EN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017-10-30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