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dometriosis Research and Treatment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Uterine Myomas and Treatments
- Anesthesia and Pain Management
-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s
-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 Hernia repair and management
- Gynecological conditions and treatments
- Cardiac, Anesthesia and Surgical Outcomes
- Korean Urban and Social Studie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Healthcare Education and Workforce Issues
- Appendicitis Diagnosis and Management
- Colorectal Cancer Treatments and Studies
- Pelvic and Acetabular Injuries
- Cancer Genomics and Diagnostics
-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Research
- Intestinal and Peritoneal Adhesions
- Endometrial and Cervical Cancer Treatments
- Microtubule and mitosis dynamics
- Urban, Neighborhood, and Segregation Studies
- Surgical Sutures and Adhesives
- Korean Peninsula Historical and Political Studies
- Opioid Use Disorder Treatment
Cornell University
2020-2024
Weill Cornell Medicine
2020-2024
Center for Special Minimally Invasive and Robotic Surgery
2024
Yonsei University
2024
Montefiore Medical Center
2017-2020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2007-2020
NewYork–Presbyterian Hospital
2020
Ingham Institute
2018
Western Sydney University
201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6
Transmembrane-4-L6 family 1 (TM4SF1) is upregulated in colorectal carcinoma (CRC). However, the mechanism leading to inhibition of TM4SF1 not known.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regulation and function microRNAs (miRNAs) CRC invasion metastasis. We analyzed 60 colon cancers paired normal specimens for miRNA-9 (miR-9) expression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A bioinformatics analysis identified a putative miR-9 binding site within 3'-UTR TM4SF1. also found that was tissues cell...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used data were collected 2013. Participants 428 nurses working general units seven medical hospitals. The Ethical Issues Clinical Practice Tool used. Data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WIN 19.0. Results: ‘Providing care with a possible risk your health’ most frequent disturbing problems highest helpful topic ‘the patients’ right,...
Endometriosis affects a significant portion of women during their reproductive years, causing substantial pain and impacting quality life. Telehealth services have emerged as promising avenue for enhancing endometriosis care, especially in the post-COVID-19 era. For patients, who often require frequent appointments specialized telehealth offers convenient accessible solution, particularly addressing management interdisciplinary concerns. Despite challenges posed by lack physical examin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digital literacy of vulnerable social groups (North Korean defector and marriage immigrant) effects their on capital compared to general public (South Korean). We used data South Koreans, North defectors, immigrants from '2020 The Report Digital Divide'. analysed difference in between population Korean) after COVID-19, how this gap affects each group. discussed group's could become more disproportionate mainstream society a catastrophic situation, which can lead...
본 연구는 다중역할을 하는 간호전문직 기혼 여성의 대학원생활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의 생생한 경험의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여성으로서 대학원에 재학하여 일과 학업을 병행하고 있는 석 박사 과정생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개인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5개의 범주는 '시간에 쫓기며 살아감', '심도 깊은 학업 부담감에 짓눌림', '가족에 대한 죄책감', '많은 역할간의 갈등으로 몸부림침', '힘든 가운데 찾은 의미와 보람'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대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인간의 건강에 건강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건강증진에 기여 할 수 전문적인 간호사가 될 있도록 다양한 지지체계를 통하여 대학원과정을 배려하고 지지해 준다면 간호학문에 정체성 확립을 돕고 대상자들의 건강증진을 더욱 간호를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대학원생활에 바탕으로 범주화한 결과로 합리적인 중재 방안의 개발에 유용한...
한국 사회 내 결혼이주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와 따른 불안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주제로 급부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중에서도 심각한 수준의 노후 불안을 경험할 것으로 사료되는 중장년기 불안에 집중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제 5차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 중 40세-64세 1,495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R 4.3.1 버전을 활용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검토하였고, 불안 및 우울 수준을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상관관계분석을 주요 변수 간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영향을 확인하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은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우울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기에, 완화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거 빈곤은 청년들의 삶에 오래도록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다른 형태의 배제로 이어진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빈곤을 경험하는 청년들 중 고시원이라는 작은 독방에 거주하는 20대 후반부터 30대의 후기 청년들에 중점을 두어 성인으로의 전환과 이 중요한 단계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을 탐구했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고시원에서 생활 중인 30대 초반의 5명 인터뷰 참여자를 섭외하였고, 1:1 인터뷰를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주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의 계기, 독립과 취업 후 변화, 성인기 과업 이행의 어려움, 불완전한 이행에 대한 반응이라는 네 가지 주요범주가 나타났다. 범주 안에서는 14개의 하위 범주가 확인되었다. 결과를 기반으로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정치적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of both cinema role-playing as teaching-learning methods in nursing ethics education. A mixed-method research design combining a survey content analysi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013 2015. Participants 137 senior undergraduate students college South Korea. Both showed high degrees Cinem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s availability, effectiveness, helpfulness for improving ethical decision-making,...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시적·비가시적 소수자 특성이 이들의 취업 상태(무직, 임시일용직, 상용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22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 주요 변수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통제변수 간 관계를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태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분석 결과, 가시적 특성은 비가시적 특성에 비해 취업을 하지 않은 상태와 한 상태(임시일용직, 상용직)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으나, 취업의 질(임시일용직, 상용직)을 결정하는데에는 미치지 않고 있었다. 결과에 기초하여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Background/Objectives: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changes in the management of symptomatic fibroids after establishing a multidisciplinary fibroid center with minimally invasive gynecologic surgery (MIGS)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IR).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conducted at created September 2020. Patients were offered same-day consults both MIGS IR providers. Data collected for patients initial consultations from January June 2019 (pre-fibroid center) 2021 (post-fibroid...
본 연구는 자살의 대인관계이론에 기초해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자살 생각과 시도의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론에 소속감 부재는 사회적 배제로, 인식된 부담은 취업 여부로, 자살수행능력은 외상 노출 경험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성인 북한이탈주민 212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제가 생각의 가능성을 높이는 기제로 작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여부가 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험은 생각에 유의미한 미치고 있었으나, 위험성을 높이지는 않는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건강 향상 및 예방을 위한 실천적 · 정책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