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Work Eng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xploratory research
DOI: 10.23839/kabe.2023.38.6.201 Publication Date: 2024-01-23T05:49:15Z
ABSTRACT
[연구목적] 코로나 팬데믹과 인공지능, NFT 기술 등의 변화로 인해 시각예술 분야는 창작, 전시, 거래 방법 등에 있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조산업에 종사하는 예술가의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위한 선행요인 검증이 시급한 바,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시각예술가의 회복탄력성, 희망, 그리고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학계 및 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BR[연구방법] 연구는 사회적지지,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 대한 이론 선행연구들과 논의를 검토 후 총 5개의 가설을 도출하였고, 전시 경험이 있는 2~40대 시각예술가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 크론바흐 알파 검정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다중회귀분석과 Hay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BR[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정서적․정보적․평가적 지지에 긍정적 받았고, 희망은 정보적․평가적 받았다. 또한, 직접효과는 평가적 지지에서만 나타났으며, 지지와 관계는 회복탄력성 희망에 의해 매개되는 것을 확인했다.BR[연구의 시사점] 선행요인을 검증한 초기연구로, 다양한 유형의 갖는 차별적 효과를 밝혀냈으며, 특히 간 구체적 경로관계를 확인하여 예술 경영 융합연구에 이론적, 실무적 제공하였다.
SUPPLEMENTAL MATERIAL
Coming soon ....
REFERENCES (0)
CITATION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