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ective Work and Job Perceptions of Late Adolescents in Korea

05 social sciences 0503 education
DOI: 10.32341/jcer.2022.6.35.2.149 Publication Date: 2022-07-13T00:43:47Z
ABSTRACT
성인 입문기에 들어선 후기 청소년들에게 일과 직업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그들이 추구하는 삶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사용하여, 4년제 대학 재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주관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현상유지’, ‘물질 성공’, ‘자아 성장’, ‘기득권 계승 vs. 자기 만족’이라는 4개의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현상 유지’그룹에서 지금까지의 편안함을 제공해 준 부모의 역할을 대신해 줄 안정적인 수입원이자 남들만큼 살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 도구로 인식된다. 둘째, 성공’ 그룹에서 물질적 성공을 이루는 수단이다. 이들은 노동에 가치보다 자본에 의존한 쉽고 편안한 삶을 추구하면서 직업의 가치는 경제적 가치와 일치한다. 셋째, 성장’ 자신을 발전하고 성장하게 하는 동시에 사회적 평판을 형성하여 드러내는 수단으로 넷째, 자기만족’ 그룹에서는 기성세대가 만들어 놓은 좋은 인식의 틀을 그대로 수용, 계승하여 인식하거나 부모세대가 주는 혜택은 누리되 철저히 자기만족을 위한 인식하고 있었다. 여기에 ‘워라밸 세대’에서 중요시되는 개인의 행복 추구, 여유로운 보장할 안정된 직장이나 고소득을 보장하는 일에 선호, 직장과 분리된 자유로운 시간에 열망이 보편적인 양상으로 드러나면서 이에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또한 성인기 진입이 지연되면서 나타나는 모색기의 확인을 통해 만족은 과거보다 성취하기 어려운 것으로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다루지 못한 지역 간격차와 사회 · 문화 차이를 반영하는 추후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SUPPLEMENTAL MATERIAL
Coming soon ....
REFERENCES (0)
CITATIONS (0)
EXTERNAL LINKS
PlumX Metrics
RECOMMENDATIONS
FAIR ASSESSMENT
Coming soon ....
JUPYTER LAB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