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ood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 Hydrology and Watershed Management Studies
- Hydrology and Drought Analysis
- Climate variability and model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e
- Soil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Water Systems and Optimization
- Urban Stormwater Management Solutions
- Hydrology and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Underground Structures
- Tropical and Extratropical Cyclones Research
- Meteorological Phenomena and Simulations
- Soil and Water Nutrient Dynamics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Reg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 Hydraulic flow and structures
- Remote Sensing and LiDAR Applications
- Hydrological Forecasting Using AI
- 3D Surveying and Cultural Heritage
- Coastal and Marine Dynamics
- Cryospheric studies and observations
- Soil and Land Suitability Analysis
Hanseo University
2014-2025
Daegu Technical University
2019
The recent arrival of the climate crisis has led to a shortage water for living, industry, and agriculture due drought. This occurrence an economic impact on various social sectors, if it continues long period time, leads decrease in socio-economic activities. Consequently, shortages emerged as pivotal research area. By identifying potential losses use industries, we can develop strategies effective distribution system.In light intensifying change, frequency intensity droughts are projected...
In this study, 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that considers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damage of heavy disasters in Korea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Considering occurred from 1999 to 2019 228 administrative districts Korea, four types total five costs were selected predict cost. The models for study Random Forest, K-Nearest Neighbors, Decision Tree, eXtreme Gradient Boosting, their accuracy evaluated R2, EVS, MAPE. training period spanned 2015, while evaluation extended 2016...
In this study, long-term rainfall data with irregular spatial distribution in Seoul, Korea, were separated into individual precipitation events by the inter-event time definition of 6 hours. Precipitation washout <TEX>$PM_{10}$</TEX> and <TEX>$NO_2$</TEX> concentrations air considering various complex factors analyzed quantitatively. Concentrations atmosphere lower under condition compared to that non-precipitation, a noticeable difference average was observed. The reduction monitored at...
In recent years,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droughts have been increasing with advent climate crisis. Agricultural a significant economic social impact. drought is not only natural disaster but also leads to food security threats reduced activities, such as decreased productivity. Therefore, it very important specify scale agricultural quantitatively estimate damage. this study, we developed an analytical methodology assess damage estimated in 2018 2019 for Republic Korea. The was caused...
The runoff from heavy rainfall reaches urban streams quickly, causing them to rise rapidly. It is therefore of great importance provide sufficient lead time for evacuation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An efficient flood forecasting warning method crucial ensuring adequate time. With this objective, paper proposes an analysis a system, establishes the criteria issuing urban-stream flash warnings based on amount allow proposed methodology nonstructural approach prediction risk reduc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conomic impact of 2018 agricultural drought in Korea on field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Using industry linkage tables provided by Bank Korea, various impacts, including socio-economic and effects, such as production, value added inducement employment effects field, were analyzed. Our findings show following: (1) It was found that an increase 1 billion KRW (South Korean won) output agricultural, forestry, fishery products induces average 0.6544 production...
도시지역의 인구밀집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주요기반시설의 낙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수해피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지역과 수해취약성인자의 비교를 통하여 수해에 취약한 고위험지역을 배수분구단위로 평가하는 방법론이 제안된다. 도시침수지역은 침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침수면적과 침수횟수로 구분하여 분석되며, 자료수집이 용이한 저지대지역, 통수능력부족관거, 불투수지역, 유출곡선지수가 수해취약성인자로 선정된다. 방법론의 적용으로, 중랑천 수계를 대상으로 고위험 배수분구가 식별된다. Due to urban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e of impervious ratio, backwardness major infrastructure,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in climate change,...
과거 홍수 방재에 관한 노력의 대부분은 대하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레져 활동 영역이 산지유역으로 확대되면서 돌발홍수로 인한 인명사고의 발생이 빈번해졌고 이로인한 추가적인 방재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표들을 고려하여 산지유역에서의 돌발홍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고려된 지표들의 발생에 대한 기여도를 다기준의사결정 기법의 하나인 프로메티(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s, PROMETHEE)를 이용하였으며, 평가 지표들로는 지역특성, 강우특성 지형특성 등이 선정되었다. 또한 이상의 평가지표들에 상대적 가중치 산정을 엔트로피(Entropy) 기법이 이용되었다. 엔트로피 기법과 프로메티를 이용한 위험도 평가기법은 그 적용성을 검증하기 봉화군 유역에 적용되었으며,...
Water resources management requires policy enforcement in a changing environment.Climate change must be considered major watershed river restorations Korea.The aim of is to provide better water resource control -now and the future.To aid making government sector, "vulnerability-resilience indexes" (VRIs) with Delphi survey method have been adopted possible reference.The offers prioritized vulnerability proxy variables based on expert opinions regarding environment terms climate...
Inundation damage occurs in urban regions due to short flood reach time and increased surface runoff caused by urbanized impervious areas. Furthermore, heavy rainfall frequency has because of climate change, thus exceeding the design resulting sewer pipes’ lack control capacity, with expanding from low-lying Despite many disaster-mitigation policies, complex causes uncertainties make reducing inundation difficult. This study established a rainfall-related disaster-prevention standard...
노후관망의 최적개량 계획수립 시에는 수리학적 타당성을 포함한 다양한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모형에 고려할 증가할수록 보다 효율적인 최적화 기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유전자알고리즘과 같은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한 노후관 개량을 위한 의사결정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제안된 ReHS라는 최적화기법을 이용해 기존의 모형에서 고려하지 않은 인자들을 고려한 상수관망 의사결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에서는 고려하는 조건에 따라 다른 목적함수를 갖는 5개의 모형을 개발하여 가상관망에 적용하였으며, 기존에 개발된 모형들보다 타당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study on the plan for rehabilitation project of domestic water distribution system - especially using Heuristic Algorithm as Genetic which...
우리나라 전역 기상청 60개 지점의 1980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를 대상으로 기록 일 최저 기온 발생빈도에 대한 최고 발생빈도의 비를 살펴본 결과 약 "2.5"정도의 값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후로 기온의 발생빈도는 1/n (여기서 n은 관측이 시작된 년부터 해당 년까지의 년 수)의 비율보다 높게 발생하고 1/n의 낮게 발생하기 때문인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행 30일 및 90일로 이동 평균된 강수량 자료를 분석한 상대적인 비율이 특징적으로 변하지는 않지만 연별로는 큰 편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current observed value of the ratio daily record high maximum air temperatures to low minimum averaged across Korea is about "2.5". This because records that were declining...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극치호우로서 가능최대강수량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기존의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호우 예측은 평균적인 모델링 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어 극한값의 재현이나 거동 예측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이와 시나리오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기온의 변화와 물리적으로 상관성이 가강수량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규모를 직접 추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 규모가 향후 100년 이후 약 40% 정도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확률강우량의 변동폭 등과 관련해서도 간접적인 참고수치로 이용가능 할 기대된다. In this stud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change was predicted using IPCC climate scenario as extreme storm change. The modelling results based on average have the...
Recently,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ilitary, logistics, transportation, construction, and agriculture, making it possible to apply the limited activities of humans wide ranges. In addition, UAVs utilized construct topographic data that are more precise than existing satellite images or cadastral maps. this study, a monitoring point for preventing flood damage an urban area was selected using UAV. were constructed UAV, flow rainwater examined...
본 연구는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SCS 유출곡선지수 방법의 적용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과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우리나라와 같이 암석노출지의 비율이 높은 산악지역의 경우 암석노출지를 독립적인 토지이용상태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할 경우, 유출곡선지수가 최대 5.75%까지 높게 산정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효우량 산정에 다소 큰 미칠 판단된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미국자연자원보호청에서 제공하는 피복상태별 항목이 매우 다양하여 본질적으로 다른 지형인 미국의 피복상태를 구분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 문제는 선행연구에서 적용한 피복상태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더욱 어려운 파악되었다. 연구의 결과가 향후 방법을 사용하여 홍수량을 산정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in application process of curve number method and its effect on estimating...
수질오염총량관리에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삭감부하량은 연간 총강우량 중 시설에 의해 처리되는 강우량의 비를 의미하는 강우처리비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하지만 비점오염저감시설은 강우가 아닌 강우유출수와 이에 동반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강우처리비 및 그와 관련된 용어들을 변경하고 강우유출수 연속처리시설에 대해 유출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개선된 처리비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7곳의 장기간(1970-2012)의 시간단위 강우자료를 유출계수 변화에 따른 실제 곡선을 산정하였으며, 기반을 두어 전역에 사용할 연속처리시설의 유도하였다. Reduction loads of treatment BMPs can be calculated by using rainfall capture ratio which means the between treated and total annual in Korean TMDL. In this paper, Rainfall related terms...
빗물이용시설 신뢰도 평가모형은 빗물이용시설이 해당 지역의 물수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정량적인 결과를 산출하여 빗물이용시설의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신뢰도는 대상지역 고유의 강우특성, 물수요특성, 주거 특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특성들은 매개변수로써 모형 내에 고려된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들 매개변수를 산정할 있는 자료가 미비하여 평가모형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이용가능한 자료를 바탕으로 방법론을 제시하고 부산광역시에 적용함으로써 국내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특히 평가에 있어서 강우량과 함께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인 월별로 산정함으로써 신뢰도의 계절적 변동성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연구의 매개변수 산정방법을 통해 연평균 신뢰도와 보다 정확하게 모의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inwater harvesting(RWH) system reliability model provides useful...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호우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름철은 태풍이나 장마등의 호우가 발생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정확도 높은 호우특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주요 행정구역과 광역시를 대상으로 총 12개의 시군구을 선정하여 2011년 06월을 기준으로 개정 전, 후의 호우특보 발령기준에 대하여 강우 관측자료와 적중률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호우경보에 대한 지역별 설계빈도 강우량을 검토하여 호우특보에 향상과 적용방안에 제안하였다. Due to recent occurrence of regional heavy rain events, the amount life loss and property damages is increasing every year. In case South Korea, it necessary have a pretty accurate weather forecasting system...
본 연구에서는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와 지역기후모형이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SDF 곡선의 경향은 RCP 4.5와 8.5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8.5의 가뭄심도가 4.5보다 크게 형성되었다. 공간적 특성결과에서는 두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변동비율은 -45.0~50.0%로 비교적 그 범위가 넓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기후모형간의 SDF는 빈도가 증가할수록 지역기후모형에 따른 가뭄심도의 변동성이 증가하여 전망에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가능성을 보였다. 특성결과에서는, 지역기후모형 GRIMs의 다른 지역기후모형들보다 커 양의 변동비율이 지배적인 나타났다. 하지만, 변동비율(%)은 지역기후모형별로 정량적 규모와 지역적 공간분포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 분석 결과에의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regional models on drought...
본 연구는 지형 기후학적 단위유량도(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 GCUH)가 산악지역의 유출량과 돌발홍수 기준우량을 산정하는데 적절한지를 검토한 것으로, 우선 유출량을 적절한 방범인지를 덕천강 유역에 대해 확률강우량으로 지형기후학적 단위유량도의 첨두유량과 기존 보고서의 착률 홍수량 자료를 비교하는 방법과 실측 호우사상을 HEC-HM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Hydrologic Modeling System) 모형과 단위유량도에서 산정된 첨두 유량을 태수지점의 실측자료와 비교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려했고 단위유량도와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함으로써 기준우량 산정 제시했다. 비교한 경우 표 11과 같이 대체로 30년 빈도를 제외하곤 비율이 1.1을 초과하지 않았고, 호우사상으로 첨두유량을 12와 단위유량도 결과가 HEC-HMS 모형보다 모두...
도시지역 수해 방지를 위해서는 침수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사전에 예측하고 침수저감 사업을 하여 침수발생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유역 내 소유역별 침수저감사업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서 상대적 침수 위험도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홍수발생가능성과 홍수발생에 따른 결과를 동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투입 및 산출요소를 선정한 자료포락분석 모형의 교차 효율값의 활용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홍수발생가능성 관련 인자를 고려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의 투입요소로 소유역의 경사도와 관밀도, 평균고도, 단위 면적상 유사발생량을 선정하였고, 홍수발생 결과 인구수를 산출요소로 사용하였다. 제안된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서울시 군자배수분구에 활용한 결과, 계층분석절차(AHP)나 PROMETHEE와 같은 여타의 다요소 의사결정 모형에서 요구하는 평가 요소별 가중치 정보 없이도 도시소유역별 홍수위험도를 결정할 있었다. 나아가 결정된 홍수위험도는 방재저감 사업의...
수영강 유역에는 도시-주거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거주민, 차량이동 등)과 강우시 하수의 차집관로 월류수로 인한 오염물질이 하천오염의 주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는 수영강과 온천천의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수질오염 예방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비점오염원유출모델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적용하여 우선 관리 유역을 선정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율을 검증해 보았다. In Sooyeong River watershed, non-point sources and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from urban-residential area are the most common causes of water pollution. This paper suggests an installation plan for source facility a priority management basin in...
Reducing carbon emissions due to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a national objective. To achieve carbon-free nationally by 2050, evaluating and reducing is essential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In this study, method quantitatively in management projects was proposed. Disaster were divided into detailed processes, each process, the extent of equipment operation amount raw material used unit construction work presented using standard production work. The resulting from usage based on...
Among natural disasters, droughts can affect a large area for prolonged period of time. If drought happens, an appropriate response requires lot time and manpower from beginning to end, continuous management is necessary further prevention. Using data on damages 1900 2018 in 148 countries six continent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was able set quantitative standards mega-droughts. According status annual damages, frequency (1900–2018) subsequent damage costs (1965–2018) are increa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