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ftware System Performance and Reliability
- Traffic control and management
- Energy Harvesting in Wireless Networks
- Fault Detection and Control Systems
- Evaluation and Optimization Models
-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and Safety
- Risk and Safety Analysis
- solar cell performance optimization
- Korean Urban and Social Studies
- Traffic Predic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 Simulation and Modeling Applications
- Grouting, Rheology, and Soil Mechanics
- Technology and Data Analysis
- BIM and Construction Integration
- Astrophysics and Star Formation Studies
- Astro and Planetary Science
- Underwater Vehicles and Communication Systems
- Water Quality Monitoring Technologies
- Urban Green Space and Health
- Electrowetting and Microfluidic Technologies
-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Innovation Models
- Laser-induced spectroscopy and plasma
- Smart Cities and Technologies
- Marine and Coastal Research
- Urban Design and Spatial Analysis
Korea Transport Institute
2021
Sun Moon University
2010-2013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using vehicle sensors estimate traffic density in future environments. For analysis, simulation experiments used consist three steps based on sensor data. first step develop software module that can generate error distance measurement a similar way real road driving. In second step, conducted by combining true value measured with calculated generating step. Finally, we evaluation procedure comparing estimation results value. According...
최근 국내 건축시장에서는 건설프로젝트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생산되는 정보를 3D 모델 기반으로 관리하는 BI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그에 따른 정책, 기술개발의 진행과 함께, BIM을 이용한 설계기준이 제도화 되고 그러나 BIM 소프트웨어(Revit Architecture)를 2D 설계도면 작성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CAD와 같은 수준의 실시설계도면 작성이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기존 연구에 따르면,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시공수준의 접합상세가 나오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효과적으로 상세를 더할 수 모델링 기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현재 납품되고 도면작성과 출력가능 여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계기본요소를 분석하고, 단면상 세도를 사례로 소프트웨어에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해 CAD로 작성한 실시설계도면과 동일한 출력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BIM(Building Information...
쓰나미라 불리는 지진해일은 드물게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일어날 경우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이 촉박하며, 엄청난 인명, 재산피해를 유발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는 매우 중요하다. 쓰나미는 자연재해로 그 피해를 원상 복구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나 조기경보체계 등을 통하여 대피함으로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에 피해경감과 재난관리를 위하여 GIS의 지오프로세싱 기능과 분석기능은 유용한 도구가 될 본 연구는 쓰나미의 경우에 있어서 지리정보 프로세싱 기능을 이용하여 대피계획 수립에 필요한 관련정보 통합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주된 대피는 인구를 발생지역으로부터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위한 대피와 대응의 과정을 4단계로 구분 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입력데이터를 정하였다. 최종모형은 4단계를 통합하여 최종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설정된 모델은 매 단계의 달리하여 쓰나미 발생이 예상되는 해안도시에 적용할 인구의 관련한...
주택문제, 도심 오픈 스페이스의 감소, 난개발, 교통체증, 도심쇠퇴와 같은 문제점을 겪고 있는 현대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논의함에 있어서 도시성장관리는 지방자치정부의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가능케 하는 실천전략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성장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가장 큰 걸림돌 중의 하나는 지속가능한 전략을 일관성 있게 추진할 수 선순환 구조가 결여된 자치단체의 내부구조상의 들 있다. 지역혁신시스템(RIS)에 기반하여 각종 도시성장관리 전략에 지속적인 구조를 할 지방정부조직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Modern urban cities a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like chronic traffic congestion,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ed open space, shortage of affordable housing, deterioration old downtown...
본 연구는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 조성 도시개념 현상공모전"의 설계지침과 공모전 당선작들의 계획개념 및 설계전략을 비교.분석하여, 동시대의 도시 건축전문가들이 생각하는 미래지향적이고 국제적인 수변 산업물류 도시에 대한 아이디어를 고찰하였다. 설계지침분석을 통한 1)계획개념, 2)토지이용계획, 3)교통계획, 4)주거환경계획, 5)공원녹지계획을 분석항목으로 하여 그 각 계획안들의 특징과 차이점들을 고찰하였으며, 항목별로 향후이와 유사한 수변부계획 설계, 또는 신도시조성시 고려해야 할 계획 설계원칙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has done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urban design idea for waterfront industrial-logistics ci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5 prize winning pieces which had submitted...
산업화는 근대화 및 근대건축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산업화에 의한 변화와 그 결과물에 대한 믿음은 건축에 사고와 과정도 산업화와 연관 지으려는 시도로 나타나게 된다. 건축을 산업화 과정에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더 이상 과거의 역사주의적 전통이 아니라 실질적인 과학기술과 직접적으로 접목시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20세기 초 산업생산물의 일종으로 파악하려는 것은 두가지 의미로서 하나는 건축의 인식이며 또하나는 산업 생산의 과정으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생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혁명 이후 근대 초기 까지 이러한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의의와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Industrializ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dernization and the birth of modern architecture. The change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people's faith its out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