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icide and Self-Harm Studies
- Mental Health via Writing
- Homicide, Infanticide, and Child Abuse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Maternal Mental Health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 Biomedical Text Mining and Ontologies
- Social and Intergroup Psychology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Health disparities and outcomes
- scientometrics and bibliometrics research
- Behavioral Health and Interventions
- Topic Modeling
- Media Influence and Health
- Diverse Topics in Contemporary Research
Sungkyunkwan University
2022-2023
Abstract Objective We aimed to identify and understand risk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e among South Korean females by linking survey social media data using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approaches. Materials Methods collected a wide range of potential including the material, psychosocial, behavioral from detailed survey, which we then linked media. In addition, adopted approaches (1) predict risk, (2) explain relative importance their interactions regarding suicide, (3) individual...
Abstract Coauthorship prediction applies predictive analytics to bibliographic data predict authors who are highly likely be coauthor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pproach for coauthorship based on network embedding through a graph‐based model that can used common data, including papers, terms, sources, authors, departments, research interests, universities, and countries. A real‐world dataset released by AMiner includes more than 2 million 8 citations, 1.7 were integrated into large using...
Introduction Studies have shown that suicide is closely related to various social factors. However, due the restriction in data scale, our understanding of these factors still limited. We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terminants at national level and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al (i.e., gender, employment statuses, occupation) outcomes types suicide, places methods, warning signs) South Korea. Methods linked national-level registry from Korea Psychological Autopsy...
소셜미디어에서 유명인의 이상적인 이미지에 노출된 것이 섭식장애의 원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상의 전통적인 유명인과 인플루언서에 초점을 맞춰 그들의 사진에 노출되는 이상적 미의 내면화, 자기 사진 보정, 그리고 섭식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총 288명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명인, 피트니스 인플루언서, 뷰티/패션 인플루언서의 내면화에 정적인 미쳤지만, 것만 보정에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화는 직접적인 미칠 뿐만 아니라 보정을 통해 섭식장애를 강화시키는 소셜미디어 상에서 유명인 관련 활동과 섭식장애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기존 이론과 선행연구를 확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실무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ABSTRACTABSTRACTSuccess stories are often used to promote health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how different features of others’ success about achieving an exercise goal influence observers’ intentions exercise. The specific factors were stories’ model similarity (similar vs. underdog model) and attribution type (internal external message) on individuals’ expectations their results online experiment (N = 282) showed that similar models led greater expectancy than those through the increased...
본 연구는 경제수준을 개인의 객관적·주관적 경제수준과 개인이 거주하는 커뮤니티의 경제수준으로 나누고, 다양한 차원의 경제적 요인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이와 함께, 건강 캠페인이나 전문가와의 대화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가족, 친구, 이웃과의 대한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각 구의 가구당 평균소득을 파악한 후 평균 경제수준이 높은 3개구와 낮은 3개 구에 만 20세 이상 성인 25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객관적 경제수준은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주관적 건강증진행위와 정적 관련을 맺고 있을 뿐 아니라, 개인과 증진행위에 미치는 매개하기도 일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많이 나눌수록 건강증진행위를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관련 대인커뮤니케이션, 경제수준, 그리고 건강증진 행동과의 관계를 20명의 성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