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althcare Education and Workforce Issues
-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 Behavioral Health and Interventions
-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 Education and Learning Interventions
-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
Baekseok University
2023
In this study, we examine (1) the effect of leader consid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on follower proactive behavior, (2) sequential mediating ro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ap) job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 pair 369 leader-followers, with followers responding to their PsyCap, satisfaction, leadership style immediate while matching leaders responded behavi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est hypotheses. The study found that PsyCap satisfaction had...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경제 속에서 전 세계는 치열한 경쟁에 처하게 되었으며,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경영환경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모든 조직은 각기 나름대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조직원들을 구성하여 관리, 운영되고 데, 리더십이 바로 조직이 목표달성을 위한 하나의 행위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이다. 최근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대학뿐 아니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리더십의 개발 및 실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조직의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것이라 볼 수 있다.변혁적 리더십, 그룹일체성, 신뢰, 조직시민행동에 이론적 논의들을 기초로 하여 여섯 개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총 426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그룹일체성과 신뢰 그리고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구성원 간 신뢰는 미치며, 신뢰를 통해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룹일체성의 경우...
Influence tactics utilized by manag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used to explore how team members perceive their leader's rol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e effect leader role between influence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Data obtained from 156 1,108 using two separate questionnaires. The research design analyses employed in this all conducted at level. results as follows; First, motivator was positively related use rational persuasion, inspirational appeal ingratiation....
[연구목적] 코로나 팬데믹과 인공지능, NFT 기술 등의 변화로 인해 시각예술 분야는 창작, 전시, 거래 방법 등에 있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조산업에 종사하는 예술가의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위한 선행요인 검증이 시급한 바,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시각예술가의 회복탄력성, 희망, 그리고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학계 및 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BR[연구방법] 연구는 사회적지지,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 대한 이론 선행연구들과 논의를 검토 후 총 5개의 가설을 도출하였고, 전시 경험이 있는 2~40대 시각예술가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 크론바흐 알파 검정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다중회귀분석과 Hay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BR[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정서적․정보적․평가적 지지에 긍정적 받았고, 희망은 정보적․평가적 받았다. 또한, 직접효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