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g-Woon Nam

ORCID: 0000-0002-2970-2757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Greenhouse Technology and Climate Control
  • Light effects on plants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Plant Physiology and Cultivation Studies
  • Wind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 Postharvest Quality and Shelf Life Management
  • Solar Radiation and Photovoltaics
  • Urban and spatial planning
  • Hydrogen embrittlement and corrosion behaviors in metals
  • Electrocatalysts for Energy Conversion
  • Electrodeposition and Electroless Coatings
  • 3D Modeling in Geospatial Applications
  • Integrated Energy Systems Optimization
  • Materi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 Social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
  • Corrosion Behavior and Inhibition
  • Historical Geography and Cartography
  • Energy Load and Power Forecasting
  • Material Properties and Failure Mechanisms
  • Innovations in Aquaponics and Hydroponics Systems
  • Flowering Plant Growth and Cultivation
  • Irrigation Practices and Water Management
  • Geological Modeling and Analy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0-202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2000

10.1016/s0376-7388(99)00359-2 article EN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000-05-15

주변 환경이 작물의 엽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포그분사 및 공기유동에 의한 엽온조절의 효과를 검토하 기 위하여 이류체 포그시스템 공기유동 장치를 설치 한 토마토 재배온실에서 다양한 실험조건하에 엽 온과 실내외 온습도, 일사량, 풍속 등의 환경을 계측하 여 분석하였다. 처리조건별 엽온 기온의 변화 를 분석한 결과, 무처리와 차광조건에서는 실내기온과 모두 외기온보다 상당히 높았으나, 조건 에서는 실내온도가 낮거나 약간 높은 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포그분사와 조건에 서는 엽온을 실내온도와 비슷하거나 더 낮게 유지할 수 있는 나타났다. 포차에 따른 기온차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환경요인과 엽온과 의 관계를 도출하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엽기온차에 대한 최적의 회귀방정식은 풍속, 포 차를 고려한 것으로써 RMS 오차는 0.8°C였다. 본 회귀방적식을 이용하여 온실의 풍속을 측정하면 추정할 있으며, 재배온실의 고온기 작물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환경조절에 활용할 있을...

10.12791/ksbec.2014.23.1.011 article KO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4-03-01

온실의 냉방부하 산정방법 개발을 위하여 열수지 방법 에 기초한 산정식을 구성하고, 포그냉방 온실 에서 냉방부하를 실측하여 검증하였다. 냉각열량은 포그분사에 의한 증발수량에 물의 증발잠열 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수량은 포그 분사 량에 증발효율을 곱하면 있으며, 즉 분무수량을 계측하고 포그시스템의 알면 냉방부 하를 실측할 따라서 실측을 위 하여 실험온실에서 실험하고, 실험온실의 열환경 계측과 더불어 분사량을 계측하 여 산정방법을 검토하였다. 먼저 산 정식의 환기전열량을 검토하기 냉방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기량 실측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열수지식을 이용한 환기전열량 예측은 비교적 양호한 결 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류체 증 발효율은 0.3~0.94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0.67로 나타 났고, 환기율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포그냉방을 실시하면서 환경을 계측하여 식으로 계산하고, 분무량 실측치로부터 증발 냉각열량을 구하여 계산치와 치는 대체로 유사한...

10.12791/ksbec.2015.24.3.147 article KO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5-09-01

원예시설의 환경설계 중 난방부하 산정방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대규모 플라스틱 온실에서 총난방부하와 틈새환기율, 지중전열량을 계측하여 계산결과와 비교 분석하였고, 지중전열 및 틈새환기가 온실의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내기온은 <TEX>$13.3{\pm}1.2^{\circ}C$</TEX>, 실외 기온은 <TEX>$-9.4{\sim}+7.2^{\circ}C$</TEX>의 범위를 보였으며, 우리나라의 난방 설계 외기온 범위에서 유효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가스트레이서법으로 측정한 틈새환기율은 평균 <TEX>$0.245h^{-1}$</TEX>로 나타났다. 피복면적에 일정한 환기전열계수값을 사용하는 방법은 규모에 따라서 문제가 있는 분석되었다. 환기전열부하는 체적과 틈새환기율을 이용하는 방법이 합리적인 판단된다. 온실 중앙에서 지중열류는 실내외 기온차에 따라 음으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측면에서 양으로 크게 보였다. 계측 결과를 바탕으로 외주부를...

10.7235/hort.2015.15007 article EN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5-10-01

10.12791/ksbec.2013.22.1.027 article EN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3-03-30

Standard weather data available to greenhouse environmental design are limited in most regions of the country. So, instead using standard data, order find method build for heating and cooling, outdoor conditions were analyzed compared by TAC frequency analysis climatological normal thirty years from 1981 2010 hourly provided KMA KSES. Average value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insolation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m data. Therefore, which not we suggest that should be derived every...

10.12791/ksbec.2014.23.3.174 article EN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4-09-01

간척지 온실의 환경설계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첨단 시설원예단지 설치 계획이 있는 국내 7개 대규모 주변의 기후조건을 분석하였으 며, 새만금 내에 설치된 3연동 플라스틱 온실을 대상으로 하절기에 시설 내외의 열적 환경계측 실험을 통하여 자연환기 및 온도 상승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 설계에 적용해야 할 부분을 검토하였다. 작 물의 유무에 따른 환기율을 비교한 결과, 작물이 있으면 환기율은 낮아지지만 작물의 증발산에 의 해 실내기온 상승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우 환기회수는 대체로 0.3~0.9회/min의 범위에 있었고, 평균 0.7 회/min으로 실외기온 대비 1~5°C정도의 2.5°C로 간척지에 실험온실의 성능은 여름철 권장 거의 만족시키고, 상승도 작물재배 환경을 크게 벗어나지 않 으므로 간척지에서는 냉방설비 없이 만 으로 작물 재배가 가능할 판단된다. 간척 지는 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내륙지역에 비하여 바람이 강 하고, 안개가 자주 끼는 보이는...

10.12791/ksbec.2017.26.3.181 article KO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7-07-01

In order to derive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low pressure compressed air fogging system, cooling efficiencies with control types were analyzed through experiments in tomato greenhouses. The set up temperature control, humidity and time control. It showed that effects 0.7 <TEX>$3.3^{\circ}C$</TEX> on average maximum 4.3 <TEX>$7.0^{\circ}C$</TEX>, humidification 3.5 13.5 % 14.3 24.4 %. Both effect highest method. efficiency system was not high 8.3 27.3 average. However, 24.6 which appears...

10.5389/ksae.2012.54.5.049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12-09-30

In order to set up the basic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which new concept greenhouses have equip, greenhouse characteristics, management and in domestic glasshouses plastic houses were investigated analyzed comparatively. Survey results on width, length, eaves height, number of spans etc. showed that bigger than significantly. New claim be houses, but it will reasonable follow specifications glasshouse. Specifications applied proposed as follows; hot water heating systems, aluminum...

10.7744/cnujas.2014.41.3.251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14-09-30

To establish the design criteria for seasonal heating load calculation in greenhouses, standard weather data are required. However, they being provided only at seven regions Korea. So, instead of using data, order to find method build calculation, degreehour and degree-day were analyzed compared by methods fundamental equation, Mihara’s equation modified normal thirty years from 1981 2010 hourly KMA KSES. Average degree-hours calculated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m data. The 24 times...

10.12791/ksbec.2014.23.3.192 article EN cc-by-nc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4-09-01

온실의 난방부하 중 지중전열부하는 산정방법이나 적용여부가 제각각이고, 규모에 따라 각각의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보다 정확히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예시설의 산정방법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와 규모가 다른 3개의 연동 플라스틱 온실에서 난방기간 동안 지온분포와 토양열류를 실측하였으며, 지중전열부하 산정방법을 검토하고 난방설계에 기준자료를 도출하였다. 난방중인 지온분포를 실측하여 실내기온과 비교한 결과 중앙 부분에서는 지온이 실내기온 높고, 끝부분과 모서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중열이 공급되고, 측면 외주부를 통해서 열손실이 발생하며, 판단된다. 건물의 통한 열손실 개념을 도입하고, 규모를 반영하여 수정한 산정방법은 타당성이 평가된다. 토양열류센서를 이용하여 실측한 지중전열량은 실내외 기온차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있었다. 지중전열량 분석 결과로부터 지중전열의 방향이 바뀌는...

10.12791/ksbec.2016.25.3.218 article KO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6-09-01

온실의 냉난방시스템 설계 기준에 적용하기 위한 외부 기상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난방 설계용 외기온, degree-hour, 냉방 건구온도, 습구온도, 일사량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전 지역을 대상으로 현 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평년값 기준인 1981~2010 년까지 30년간의 매 시각 기상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준기상데이터의 이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전체 이용하여 구하고, 체 자료기간의 평균값을 설계기준으로 TAC 방식으로 위험률 1, 2.5, 5%에 대한 분석하고, 설계기준에서 추천하고 있는 난방용은 1%, 냉방용은 2.5%의 기상조건 분포도를 제시하 였다. 지역별, 위험률별 및 설정온도별로 최대난방부하, 기간난방부하 최대냉방부하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제 시된 각종 기상조건은 에 직접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난방 설비 보강 이나 에너지 절감대책의 수립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후변화로 인하여 최근 여름철 폭염이 나 겨울철 이상고온...

10.12791/ksbec.2016.25.4.308 article KO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6-12-01

In order to examin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of a soil warming system and effects on greenhouse heating load, contro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wo greenhouses covered with double polyethylene film. One treated an electric wire other control. Inside outside air temperature, temperature flux, energy consumption measured under set point <TEX>$5,\;10,\;15,\;and\;20^{\circ}C$</TEX>, respectively. Soil temperatures treatment observed <TEX>$4.1\;to\;4.9^{\circ}C$</TEX> higher than...

10.5389/ksae.2006.48.5.051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06-09-30

Actual states of energy utilization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on three representative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nam-Do. Rural residents almost using the ondol boiler as a heating facility oil(diesel, kerosene) electricity(night thermal-storage power service) energy. There few households briquette or firewood fuel hole with Korean hypocaust. Most their cooking facilities gas ranges LPG. The most popular hot-water supply system was an oil next electricity boiler. amount use household...

10.5389/ksae.2007.49.6.055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07-11-30

온실의 난방부하 중 틈새환기전열부하 산정방법은 설 계 기준마다 제각각이고, 규모에 따라 각각의 방 법에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보다 정확히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 예시설의 환경설계 산정방법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보온커튼을 설치한 단동 및 연동 플라스틱 온실에서 추적가스법을 이용하여 틈새환기율을 실측하였으며, 틈새환기 전열부하 산정방법을 검토하였다. 연동온실의 율은 0.042~0.245h-1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단동온실의 틈새환기율은 0.056~0.336h-1의 측정되어 단동온 실이 약간 것으로 나타났다. 단 동, 구분없이 보온커튼의 층수에 크게 감소하 는 또한 실내외 기온차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기간 동안의 낮은 풍속 범위에서 외부 풍속에 따른 율의 변화는 일정한 찾을 없었다. 난 방설계를 위한 적정 기온차에서의 값을 제시할 있고, 최대난방부하 산정의 기준이 되는 틈새환기율의...

10.12791/ksbec.2015.24.2.100 article KO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5-06-01

본 연구는 농촌마을을 환경친화적으로 계획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태양에너지를 고려한 농촌그린빌리지 디자인에 대한 경제성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에너지 수지를 고려하여 세 가지 형태의 연구대상 농촌마을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촌마을들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전체 에너지를 태양광 발전으로 대체하기 위한 발전시스템인 3 kWp의 단위 모듈 (PV 시스템)의 개수들을 마을별로 추정하였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두 개 마을의 순현재가치 (NPV)가 평가기간 25년내에 마이너스 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하나의 마을에서 경제성이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에서 시설설치 보조금을 60 % 지원해 줄 경우에는 모든 25년 내에 평가되었다. 평가 관련인자들에 민감도 BC (Benefit/Cost) 비율 변화에 대하여 실시한 결과, 설치비용, 전력판매단가, 할인율, 단가 증가율순으로 높은 변화율을 보였다. 연구의 결과는 태양에너지가 재활용이 가능한 계획함에...

10.5389/ksae.2010.52.4.027 article K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10-07-31

Solar energy, which is one of renewable would be the most useful resources that can applied to making energy recycling villages without using fossil energy. This study analyzed potential on solar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 in three traditional and compared with consumption surveyed. A photovoltaic system having 3.0kWp capacity unit module generate 182.5%, 96.1% 170.9% yearly mean electric power Makhyun, Boojang, Soso, respectively. flat-plate collector <TEX>$2.64m^2$</TEX> area warm water...

10.5389/ksae.2008.50.3.105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08-05-31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currently being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sources for renewable resources over country. Although it also adapted to rural area may reasons, important estimate magnitudes outputs with reliable statistical methodologies, while applying historical daily solar energy data, correct feasibility analysis. In this study, well-known methodologies employed define approp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s monthly selected area, county Seo-san, province Chungnam....

10.5389/ksae.2008.50.6.037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08-11-30

본 연구는 국내 온실의 환경설계 기준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온수난방 방식을 채택하고 있 는 상업용 온실 2곳에서 난방 중 열환경 계측 실험을 실시하고, 배관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여 난 방배관의 단위길이 당 방열량 자료를 제시하였다. 실험 기간동안 두 평균기온은 각각 16.3°C와 14.6°C로 조절되었으며, 난방배관의 온수 온도는 평균 52.3°C와 45.0°C로 관측되었다. 실험결과 난방배관 표면의 자연대 류열전달계수는 5.71~7.49W/m2°C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내의 유속이 0.5m/s 이상일 때에는 관내의 수 온과 관 외부의 표면온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관류열전달계수를 평원통에서의 층류 자연대류열전달계수의 형태로 유도하 였다. 유도된 관류열전달계수 식을 변형하여 관의 규격 과 온수-실내공기의 온도차를 입력 변수로 하는 난방배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국내외 여러 자료와 비교 한 결과...

10.12791/ksbec.2019.28.3.204 article KO cc-by-nc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9-07-01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