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 Action Observation and Synchronization
- Digital Marketing and Social Media
- Child Therapy and Development
- Experimental Behavioral Economics Studies
- Anxiety, Depression, Psychometrics, Treatment, Cognitive Processes
- Sharing Economy and Platforms
- Psychosomatic Disorders and Their Treatments
-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 Identity, Memory, and Therap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24
Huiyeong Jeon, Ahjeong Hur, Hoyeon Lee, Yong-Wook Shin, Sang-Ick Chul-Jin Siekyeong Kim, Gawon Ju, Jeonghwan Joon Hyung Jung, Seungwon Chung, and Jung-Woo Son.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24;35:197-209. https://doi.org/10.5765/jkacap.240008
Many studies have explored sense of self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owever, few reported on their experience "disembodi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rain activity between patients ASD and neurotypicals (NTs) under conditions causing disembodiment examine correlation interoceptive abilities disembodiment-related activity. 18 Participants 21 NTs completed psychological evaluations, measurement,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노화와 함께 심리사회적 여건이 불리해지는 데도 불구하고 노인이 청년보다 부정적 정서를 덜 경험하는 것을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은 부정 정서가 경험될 수 있는 상황을 선택하지 않거나 유발하는 자극으로부터 주의를 돌려서 사전에 정서조절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험되는 상황에서도 더 잘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후통첩게임을 사용하였다. 최후통첩게임에서 제안자가 한정된 자원의 일부를 응답자에게 분배하겠다고 제안했을 때, 응답자가 수락하면 둘 다 각자의 몫을 가질 있으나 거절하면 아무것도 없다. 따라서 자신의 경제적 이득을 고려한다면 제안자의 불공평한 제안에 대해 화가 나더라도 조절하고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정서조절을 한다면 받았을 때 분노를 경험할 것이므로 많이 수락할 것이다. 57명의 노인과 60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청년 모두 공평한 제안은 80% 이상으로 수락하였으나, 제안 수락률은 높았다. 보고한 비율은 낮았다. 분노...
노인들이 사회적 관계에서 긍정적인 정서 경험을 많이 하는 것은 노인 스스로 정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려고 정서조절하기때문으로 설명되어 왔으나, 최근 제안된 입력 모델은 노인이 정서조절 할 뿐만 아니라 노인과 교류하는 상대방도 노인과의갈등상황에서 정서조절하여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사람들이 노인을 대할 때 우호적으로 반응함으로써 노인의사회적 관계에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보다 정서조절을 잘 하지 못하는 청년도 모델의 주장과같이 노인과의 갈등 상황에서는 다른 연령대와의 상황에 비해 더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제안자가 한정된자원의 일부를 응답자에게 분배하겠다고 제안하면 응답자가 수락할지 거절할지를 결정해야 최후통첩게임을 사용하였다. 제안을 거절할 경우 제안자와 응답자 모두 아무것도 가질 수 없는 것이 게임의 규칙이므로, 자신의 이득을 고려하면제안자가 자신에게 불리한 하여 화가 나더라도 조절을 수락해야 한다. 청년이 노인에 대해서는 정서조절을더 한다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정서조절 능력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은 노인은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게 되므로 성공적으로 정서조절을 하는데 필요한 인지적 자원이 부족하게되며, 그 결과 적응적인 전략은 잘 사용하지 못하고 덜 더 사용하는지에 알아보았다. 즉 지위와 간의 관계를 금전 대한 반추가 매개하는지 연구하였다. 만 60세 이상 고령자 279명을 대상으로객관적 지위(수입, 교육 수준)와 주관적인 지위를 평가하는 척도, 대한반추 척도에 응답하게 연구 주관적 지위가 낮을수록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관계를 부적 관계로서 매개하였다. 즉, 반추를 더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것은 적게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객관적 지위와적응적인 전략 사용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는 노년기 능력의 차이가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반추와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지위와는 달리 지위가정서조절에 차별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