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ng-Kyu Kim

ORCID: 0000-0002-5383-8865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Marine and Coastal Research
  • Nutrition, Health and Food Behavior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Marine and coastal plant biology
  • Coastal and Marine Dynamics
  • Marine and coastal ecosystems
  • Marine Bivalve and Aquaculture Studies
  • Coastal and Marine Management
  • Coastal wetland ecosystem dynamics
  • Technology Assessment and Management
  • Oceanographic and Atmospheric Processes
  • GABA and Rice Research
  • Fermentation and Sensory Analysis
  • Marine Biology and Ecology Research
  • Antenna Design and Analysis
  • Phytoestrogen effects and research
  • Marine and fisheries research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Isotope Analysis in Ecology
  • Meat and Animal Product Quality
  • Ruminant Nutrition and Digestive Physiology
  • Underwater Acoustics Research
  • Software Reliability and Analysis Research
  • Diverse Topics in Contemporary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1-2025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2024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2022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2022

Samsung (South Korea)
2018

National Security Research Institute
2018

Korea Telecom (South Korea)
2014

Hanyang University
2013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2

Yeungnam University
2010

10.1016/j.marenvres.2007.09.006 article EN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2007-10-0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the protective effects and mechanism of Blue Honeysuckle (BH) extracts (Berries Lonicera caerulea L.)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obesity risk factors in a high fat-diet (HFD) model. [Methods] Animals adapted HFD were selected after 1 week adaption period divided into 6 groups (8 mice each group; 40 HFD-fed 8 normal fat pellet diet (NFD)-fed mice). After end 12 weeks continuous oral administrations 3 different dosages BH extract, 400, 200 100...

10.20463/jenb.2018.0029 article EN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2018-12-31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maximum likelihood (ML) decoding algorithm for space-time block codes (STBC) over fading channels. Using lattice representation by transforming complex channel models into real matrix equations, propose new efficient ML with performance identical to the conventional decoder. We show that orthogonal codes, in fact, allow separate each inphase and quadrature-phase component. For rate one quasiorthogonal designs N transmit antennas (N > 4), proposed scheme...

10.1109/icc.2006.255547 article E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06-06-01

본 연구는 주요 동계사료작물인 청보리와 청호밀을 이용한 TMR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사료비, 그리고 도체특성과 등급판정 및 배최장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거세우 송아지 80두를 대상으로 육성기에서 비육후기까지 총 680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시험사료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분리 급여하는 관행사양구(Control),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후기에는 관행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처리구(BS-TMR I), 후기까지 하는 II), 청호밀 관행 사양구와 처리구(RS-TMR II)로 구성하였다. 각 처리 당 거세된 16두 씩을 배치하였고, 거세한우 송아지를 4두씩 4개의 pen에 수용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 방법으로 처리구의 pen을 배치하였다. 증체량은 관행사양구에 비해 육성기 비육전기에서 섭취한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고 중기에서 현저히 높았으나(P<0.0001) 후기에서는 RS-TMR II를 제외하고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서...

10.5187/jast.2012.54.2.111 article E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12-04-30

최근 빈산소수괴의 규모와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양식생물 집단폐사 등 수산업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양식 현장에서 빈산소수괴로 인한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빈산소수괴 발생 시기를 사전에 예측하여 조기 대응할 수 있는 예측모델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 시계열 예측에 특화된 순환신경망 모델 중 Long Short-Term Memory(LSTM), Gate Recurrent Unit(GRU)과 합성곱 신경망인 1-Dimension Convolution Neural Network(1D-CNN)을 활용하여 저층 용존산소의 변동을 예측한 후 모델별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모델의 입력자료는 당동만 해역에서 2019년부터 2022년 사이에 연속 관측된 층별 해양환경자료를 사용하였다. 2019년과 2021년 자료는 학습 및 검증자료로 사용하였고 자료를 관측자료와 비교·검증하였다. 예측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의 입력자료와 매개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10.7846/jkosmee.2024.27.2.131 article K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2024-05-25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n artificial reefs (ARs) including seaweed for marine afforestation in relation to their development and research from 1972 2016, then systematically analyzed current state-of-the-art practice. From the review, followings conclusions are made. First, objectives of AR projects Southeast Asi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i.e. protection increase fishery resources, local community's profits, ecological tourism. Second, fish gathering effects by ARs...

10.13000/jfmse.2016.28.3.630 article E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16-06-30

The lightweight design of the outer tie rod installed on an electrical vehicle was achieved through material selection and optimization technique. aluminum alloy Al6082M selected as a steel-substitute, its structural shape optimized by applying metamodel-based optimization. In this process, finite element analysis performed to predict responses, such buckling resistance fatigue life. First, for arbitrary base made steel, responses were calculated. Then, variables defined find Al6082M....

10.1155/2014/942645 article EN cc-by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2014-01-01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연구가 지난 40년간 어떻게 변천해 왔는가를 진단,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및 과학인용지수(SCI)에 게재된 80여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제로서는 적조, 수질과 저질, 해수유동, 저서동물과 어장환경 등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또한 1990년대 이전에는 진해만의 북부해역에 집중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서부해역 또는 전역에 집중되었다. 이것은 연구 중심이 북부해역에서 양식에 의한 자가 오염이 심각한 서부해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의미하였다. 한편, 진해만에서의 적조는 발생빈도가 과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소내만에서는 여전히 유해성 적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 해역을 대상으로 한 유해적조생물의 생태학적 조사와 물리적 집적과정, 생물학적 증식과정 등에 대한 학제간의 필요할 판단된다. 저질 환경 2000년대에 들어서부터 상당히 개선되어 북부해역에서의 빈산소수괴의 출현빈도는...

10.7846/jkosmee.2020.23.2.57 article K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2020-05-25

본 연구에서는 지난 40여년간 발표된 88편의 학술논문과 기타 학위논문, 기술연구보고서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가막만 환경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진단, 평가하고, 앞으로 가막만의 환경 회복을 위해 필요한 연구과제를 모색하였다. 가막만에서는 해양 및 어장의 또는 수질과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다음으로 적조, 해양생태계 모델링, 양식생물(주로 굴 패류), 해수유동 순이었으며, 이들 조사연구는 하계에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이와같이 조사가 타 계절에 비해 많은 것은 적조나 굴의 폐사 등이 주로 하계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질은 현재 양식에는 큰 지장이 없는 COD 환경기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수질을 보다 더 개선하기 위해서는 만내로 유입되는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부하를 삭감할 필요가 있는 나타났다. 한편, 빈산소 수괴의 발생과 어패류의 폐사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인 밝혀졌다. 따라서 환경문제의 극복을 우선...

10.7846/jkosmee.2020.23.3.148 article K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2020-08-25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