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Se Choi

ORCID: 0000-0002-7353-7285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Research
  • Liver Disease and Transplantation
  •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 Spatial Neglect and Hemispheric Dysfunction
  • Musculoskeletal pain and rehabilitation
  • Education and Learning Intervention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Stroke Rehabilitation and Recovery
  • Parkinson's Disease Mechanisms and Treatments
  • Cerebral Palsy and Movement Disorders
  • Transplantation: Methods and Outcomes
  • Clinical Nutrition and Gastroenterology
  • Korean Urban and Social Studies
  • Nutrition and Health in Aging
  • Dysphagia Assessment and Management
  •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tudies
  • Pericarditis and Cardiac Tamponade
  • Myofascial pain diagnosis and treatment
  • Takotsubo Cardiomyopathy and Associated Phenomena
  • Vagus Nerve Stimulation Research
  • Organ Transplantation Techniques and Outcomes
  • Geriatric Care and Nursing Homes
  • Neurological disorders and treatments
  • Intergenerational Family Dynamics and Caregiving
  • Health and Well-being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019-2023

Seoul St. Mary's Hospital
2018-2019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8-2019

Background: Parkinson’s disease reduces patients’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life, increases their guardians’ burden care.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a multimodal rehabilitation programme for patients with disease. Trial design: was multicentre parallel randomised controlled, single-blind, trial conducted in three hospitals Korea. Methods: A central randomisation centre used computer generated tables to randomly allocate 60 75 who fulfilled requirements into...

10.3390/healthcare10101888 article EN Healthcare 2022-09-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bined effects Prism Adaptation (PA) plu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n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and suggest a new intervention method for acute-phase patients.There were 30 included in from April October 2016 that had neglect whilst hospitalized following (diagnosed by professional). participants, who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understood agreed participat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PA FES group (Group...

10.24171/j.phrp.2019.10.5.02 article EN cc-by-nc-nd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2019-10-29

In Eastern cultures, particularly in South Korea, caregiving for dementia patients at home is common, yet even after facility placement, families may experience ongoing burden due to cultural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experienced by caregivers patients, considering factors influencing in-home care and facility-based care.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we compared quality life, depression, subjective happiness, health family providing (FCHC) informal (IFCGs). Data from...

10.3390/healthcare11091245 article EN Healthcare 2023-04-27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s of chronic stroke reduces the quality life and interferes with activities daily living (AD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a complex rehabilitative programme that integrates prism adaptation (PA) neck vibration (NV) for unilateral stroke. Thirty-six were randomised among PA + NV group (Group A, n = 12), NV-only B, PA-only C, 12).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50 min/day, five sessions per week, 4 weeks. Albert’s test Catherine Bergego Scale used...

10.3390/ijerph192013479 article E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2-10-18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병실기반 편측무시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전. 후의 일상 생활기능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3년 8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서울특별시 A병원과 B병원에서 뇌졸중진단을 받은 입원 환자 중 대상자 선정 기준에 적합한 10명을 대상으로 1일 50분씩, 총 3주간 진행하였다. 편측무시를 가진 시행 전후에 Alber test, Catherine Bergego Scale(CBS), Modified Barthel Index(MBI)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재프로그램 전 후 Albert test 점수는 15.24±3.12에서 8.70±2.34점으로 감소했고, CBS 20.17±4.25점에서 14.24±4.82점으로 감소했다. MBI 42.81±8.12점에서 59.23±10.64점으로 증가하였다. 모든 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증상을 프로그램 시 증상 감소와 일상생활활동 기능 향상에 차이가...

10.34263/jsotad.2024.18.1.61 article KO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24-05-31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을 때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S시에 거주하며 경도인지장애(MCI) 진단을 받은 노인 30명을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주 1회 총 8회 프로그램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환자의 우울감을 평가하기 위해 Self-efficacy scale, Geriatric Quality of Iife, Short form Depression Scale for Korean를 연구결과 비교에서 실시한 환자는 우울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 연구의 통해 프로그램이 치매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있기를 기대한다.

10.34263/jsotad.2021.15.1.23 article KO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21-05-30

10.34263/jsotad.2020.14.1.99 article E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20-05-30

10.34264/jkafa.2020.12.1.95 article EN Korean Aging-Frendly Industry Association 2020-05-31

목적: 본 연구는 파킨슨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환경수정 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일상생활활동,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진단을 받은 노인 15명을 2018년 12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총 4회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보호자의 부양부담감을 평가하기 위해 The new ADL questionnaire과 Zarit Burden Interview를 연구결과: 교육 비교에서 실시한 환자와 부양부담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연구의 통해 가정환경수정교육이 질병 진행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을 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있기를 기대한다.

10.34263/jsotad.2020.14.2.79 article KO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20-12-3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마음챙김기법 중재 적용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0년 12월부터 2021년 4월까지 파킨슨병의 환자 보호자 15명을 실시하였다. 전부양부담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했고 마음챙김기반 중재는 마음챙김에 대한이해와 마음챙김을 위한 훈련 등이 포함되어있다. 1대1로 실시하였으며 1일 50분씩 주 2회, 총 8주 동안 실시하였고, 후 재평가를 분석은 대응표본 분석과 빈도분석을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5명의 참가자를 전⋅후 참가자의 부양부담감 감소와 삶의질 중 정신건강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질 신체건강지수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연구를 통하여 보호자에게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추후 연구에서는 대조군이 포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0.34263/jsotad.2022.16.1.97 article KO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22-05-30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