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gjun Park

ORCID: 0000-0002-8293-5007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Marine Biology and Ecology Research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Oceanographic and Atmospheric Processes
  • Marine and coastal ecosystems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2021

The Youngsan River estuary, located on the southwest coast of South Korea, has transitioned from a natural to an artificial estuary since dike construction in 1981 separated freshwater and seawater zones. This transition induced changes physical properties circulation within which led hypoxia algal blooms. In this study, neural network (ANN) model was employed simulate phytoplankton variations, including blooms size fractions based chlorophyll a, using data obtained by long-term monitoring...

10.3390/app11156921 article EN cc-by Applied Sciences 2021-07-27

금강 하구는 연안지역에 하굿둑이 건설되면서 인공적으로 환경이 변화된 닫힌 하구에 속한다. 또한 간헐적으로 하굿둑의 수문을 통해 해수역으로 담수가 방류되면서 인근 해역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생태계 차원의 건강성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구 해역에서 조사된 해양환경 및 부유생물 자료(2014~2017년, 총 14회)를 활용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WQI, TRIX P-IBI기법을 활용하였으며 P-IBI 기준 설정을 위해 수집된 모든 자료를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 공간적으로 하굿둑 정점을 포함한 내측 등급이 낮았으며, 외측 해역으로 갈수록 높아져 상태가 양호해지는 나타났다. 시간적으로는 풍수기인 여름철에 건강성이 악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다만 P-IBI는 담수 방류와 같은 인위적 스트레서(stressor)가 수생태계에 다른 기법에 비해 잘 표현하는 나타나, 하구와 같이 인위적으로 급변하는 환경에서는...

10.7846/jkosmee.2018.21.3.228 article K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2018-08-25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