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 Ju Bae

ORCID: 0000-0002-8851-9063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Eating Disorders and Behaviors
  •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 Obesity, Physical Activity, Diet
  • Coffee research and impacts
  • Obsessive-Compulsive Spectrum Disorders
  •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 Anxiety, Depression, Psychometrics, Treatment, Cognitive Processes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Healthcare Education and Workforce Issues
  • Grit, Self-Efficacy, and Motivation

Dankook University
2019-2021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vention effects of group sandplay therapy (GST) on children at risk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11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 and 6 (ages 11–12), with 57 56 control group. participated GST program once a week for 40 min over 10 weeks, while received no intervention. Youth Smartphone Addiction Scale (S-scale) Korean Self Report (K-YSR) were used to assess program. Additionall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10.3390/children12050593 article EN cc-by Children 2025-05-01

Eun Ju Bae, Bi Kim, Bo Ram Choi, Sun Ho Won, Ji Hwan Min Hyun Jeong Yoo, Sung Man and Myung Lim.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9;30:153-60. https://doi.org/10.5765/jkacap.190015

10.5765/jkacap.190015 article 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9-09-10

본 연구는 ○○시 고2 학생을 대상으로 Andersen과 Newman의 의료행동분석모델을 바탕으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실태 및 중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에서 실시한 ‘청소년 정신건강인식도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총 2,613개의 사례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고2학생들이 겪은 문제들과 이용한 정신건강서비스기관을 파악하기 다중응답문항을 교차분석하였으며, 중복이용요인을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아직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고 2학생의 71%가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에, 서비스를 학생의 26.2%가 2개 이상의 기관에서 받았다. 서비스의 중복을 설명하는 모델에 포함된 요인들 중에서 성별, 가구유형, 주변인과의 관계, 기관 인지도, 문제의 수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개선책을 모색하고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10.21509/kjys.2018.07.25.7.33 article KO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8-07-31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