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ydrology and Watershed Management Studies
- Hydrology and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 Hydrological Forecasting Using AI
- Flood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 Soil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 Hydraulic flow and structures
-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optimization
- Water Quality and Pollution Assessment
- Research studies in Vietnam
- Water Quality Monitoring Technologies
- Underwater Acoustics Research
- Groundwater flow and contamination studies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Precipit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 Coastal and Marine Dynamics
- Fish Ecology and Management Studies
- Hydrology and Drought Analysis
- Dam Engineering and Safety
- Urban Stormwater Management Solutions
- Crustacean biology and ecology
- Microwave Engineering and Waveguides
- Antenna Design and Optimization
-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Data Management
- Geophys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 Electrocatalysts for Energy Conversion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2010-2021
Gachon University
2016
Korea Labor Institute
2014
Water Research Institute
2012-2013
Abstract The parameter estimation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model is important to accurately present relationship between voltage versus current. Regarding this problem, difference observed and model‐calibrated voltage, which composed reversible activation drop, ohmic loss, concentration should be minimized. So far, various optimization algorithms have tackled problem. However, there still a way improve solution quality using another technique, in order fairly compare...
Estuary is a transitional zone between river and ocean environment that receives the maritime riverine influence simultaneously. Estuaries are most productive habitats because their incoming water provides large quantities of nutrients. The Seomjin River estuary, located in middle south Korea, has no barrage shows natural characteristic estuary. However, due to dredging reclamation estuary been changed significantly mouth. In addition, increased freshwater intake midstream results salinit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discharge measurements during flood season, MWSCM(mic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which measures river velocities without contacting has been applied in field work since its development. The existing version MWSCM is for floods so that applicability low due to short periods floods. Therefore renovative redesign increase was conducted it can be normal flows as well ones by extending measurable range velocity. A newly developed high-performance general use...
For an accurate rainfall-runoff simulation in the river basi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evaluation of runoff model but also component. In this study long-term runoffs were simulated by means watershed and amounts components such as upstream inflow, surface runoff, return flow dam release evaluated based on concept water budget. SSARR was applied Daecheong region Geum turn monthly discharges main control points basin analyzed. addition, for purpose providing basic quantified...
Abstract During extreme floods caused by climate change, reliable flow discharge data are essential for successful reservoir operation to mitigate downstream flood damage. Generally, the is computed using rating curve (RC) established from relationship between rate and water stage level. Determining parameters of curves subject uncertainties related difficulties limitations monitoring in covering a wide range variations. Especially at river confluences, pronounced when occur owing several...
주운수로 홍수기 수위 산정을 위하여 미 공병단에서 개발한 HEC-RAS 모형을 적용하였다. 아라뱃길은 다양한 수리구조물의 조작을 통하여 선박운항 및 홍수처리가 이루어지며 유입홍수, 한강수위, 그리고 서해조위 변동과 연계하여 귤현보, 서해배수문, 체절수문, 배수펌프장등의 대표적인 구조물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홍수위 계산모형이 필요하다. 특히 서해배수문의 개도를 결정하기 외조위와 내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한 수문운영이 필요하여 HEC-RAS의 Rule-script 기능을 적용하여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였다. 모형의 검보정을 2010년 9월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수위값과 관측된 수위값이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HEC-RAS모형은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has been applied to simulate water level variation in the Ara waterway during flood season. To...
Tank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데 있어 유출성분을 고려하여 모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관측수문곡선을 Digital filter 사용하여 유출성분별로 분리하고 각 Powell 방법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4개 댐지점을 선정하여 고려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모의유량을 관측유량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자동추적법으로만 추정할 때에는 전체적인 유출량은 모의하지만 성분별 모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에서 제시한 고려하는 방법이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판단되었으며, 자동추적법을 때는 것이 보다 타당할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utomatic parameter estimation scheme considering runoff components model. It estimates model parameters by Powell's algorithm...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대표적인 하천수질모형을 비교<TEX>${\cdot}$</TEX>분석하였다. 정상상태 모형으로는 QUAL2E, 비정상상태 CE-QUAL-RIV1을 선택하여 동일한 반응계수 및 경계조건 하에서 모형의 계산결과를 서로 비교해 보았다. 각 모형에 대하여 수질변동을 계산하기 위해 적용된 방정식을 비교하였으며, 수질모형을 이용하여 대청댐 이하 금강본류의 수질을 모의하였다. 모형은 기본 알고리듬이 매우 유사하므로, 모형구축에 필요한 입력자료도 비슷하였다. 정상상태로 모의한 경우에 결과값은 BOD와 DO, <TEX>$NH_3-N$</TEX>의 대하여서는 일치도가 높았다. 그러나 용존인과 같은 특정한 수질인자 항목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모의결과를 바탕으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질항목에 대해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매개변수를 도표화하여 정리하였다. Two representative river water quality models have...
High turbid water in the River has been one of major concerns to downstream residence. Especially Nakdong basin severe problem occurred year 2002 and 2003 due typhoon Rusa Maemi consecutively. The main objective this study is develop management system reservoir combining physically based semi-distributed hydrologic simulation model SWAT with 1-dimensional dynamic quality model. covers area from upstream Imha Andong Gumi gage station for purpose estimating flow rates suspended sediment...
In our intelligent society, water resources are being managed using vast amounts of hydrological data collected through telemetric devices. Recently, advanced quality control technologies for refinement based on observation history, such as bi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se impractical due to insufficient verification implementation periods. this study, a process accurately identify missing false-reading was developed efficiently validate by combining various...
본 연구에서는 파키스탄 파트린스 저수지를 대상으로 상류유입 유량, 유사 및 수문 운영에 따른 장기 퇴적양상을 EFDC 3차원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고 배사문 의한 배사효과를 분석하였다. 5년 동안 모의한 결과 플러싱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저수지 유심부의 퇴적이 약 10 m에 달하였으나 최대유량 직후 시행함으로써 배사문을 통한 퇴적토 배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시행하면 배사수로가 형성되고 형성된 수로를 따라서 배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의되었고 이는 기존 배사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는 판단된다. 모의결과로부터 취수구 전단부에서의 입도분포와 특정입경을 가지는 유사의 도달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있었으며 향후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ed long-term reservoir sedimentation in the Patrind Reservoir of Pakistan and evaluation sediment...
본 연구는 관로내의 민물담치 및 유생의 생물량을 효과적 조절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부착방지 생물량 조절방법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염소처리법이 추천될 수 있었다. 민물담치의 산란기간은 수온 $16{\sim}17^{\circ}C$ 범위에 해당하는 5월~11월 초순 동안으로 추정되었다. 유생을 위해서는 이 기간에 염소처리를 하는 것이 적합하나, 부착하고 치패와 성패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므로 연중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란이 시작되는 시기에서 각이 형성되기 전인 유생기와 성패의 조절을 위해 0.5~1.0 ppm 범위의 염소농도로 처리하는 적합하다. 민물 담치의 부착증식을 경감 또는 해결하기 우선적으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기술의 선정이 시급하였다. 또한 수온과 모니터링이 판단되며 유생 모니터링 방법 구축 염소처리 효과분석에 대한 사후모니터링이 필요한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was conduct to the reduction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