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Soil Stabilization
-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Underground Structures
-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Soil Mechanics
- Engineering Structural Analysis Methods
- Marine and Coastal Research
- Engineering Applied Research
- Grouting, Rheology, and Soil Mechanics
- Maritime Navigation and Safety
- Advanced Battery Technologies Research
- Earthquake and Tsunami Effects
- Wave and Wind Energy Systems
- Fluid Dynamics Simulations and Interactions
- Earthquake and Disaster Impact Studies
- Soil Mechanics and Vehicle Dynamics
- Environmental remediation with nanomaterials
- Offshore Engineering and Technologies
-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 Internet of Things and Social Network Interactions
- Hydraulic flow and structures
- Inertial Sensor and Navigation
- Hydrology and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 Seismic Performance and Analysis
- Landfill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 Wind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 Geophysics and Sensor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2013-2024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2014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201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4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South Korea)
2014
This study assumed artificial seaweed mats as porous media in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and examined the changes flow velocity bottom shear stress under various installation conditions of mats. To consider pressure dissipation effect mats, reduction reproduction method proposed by Brito et al. (2016) for vegetation was applied to Fluent model. The due scale arrangement were analyzed when installing around mono-pile structure. Through numerical results, it confirmed that adjusting...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e for the coupled dynamic analysis of offshore wind turbine–jacket foundation-suction bucket piles and compares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 standard method Jeanjean’s methods used to model piles. Nonlinear springs were represent soil lateral, axial, tip resistances through P–Y, T–Z, Q–Z curves obtained by either API’s or methods. Rotational with stiffness equated tangent secant modulus characterized resistance acentric loads. The was implemented in X-SEA...
The foundations of offshore wind power can be classified as floating, tripod, jacket, monopile, or gravity-based, depending on the support type. In case tripod- and jacket-type supports, structures require precise construction. There are two main methods for installing substructures: post- pre-piling. post-piling method involves moving completed substructure to site fixing it seabed by inserting a pile into leg driving it, allowing constructed without special off-shore equipment; however,...
본 논문은 국내 서남해안 해상풍력발전 하부기초설계 시 신뢰성 기반의 한계상태설계법 적용을 위한 말뚝기초의 부분안전계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해상풍력관련 국제 설계기준서인 IEC, GL, DNV, API, ISO, EUROCODE 등에서 제시한 다양한 부분안전계수 및 저항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안-영광 새만금 해역의 해상풍력단지의 지반조사 결과를 가지고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토대로 신뢰성해석을 수행하여 지반정수에 대한 산정하였으며, 지역의 해상풍력 부분안전계수는 1.3으로 평가되었다. 논문에서 제안된 서남해안에서의 근거로 산정된 것이므로 기타 광역단위 해역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사 통해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is aimed to suggest a site specific partial safety factor of offshore wind turbine (OWT) pile foundation design for...
This paper presents the pullout capacity of steel chain embedded in pure sands using 1g lab-scale model test. The anchor made is often into connecting to floating structures. Even though lateral or vertical forces applied structures are resisted by both and chain,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from system, not chain. In test, a was Jumunj horizontally pulled out failure. divided frictional resistance passive resistance, necessary factors estimate each component were proposed test results. It...
SCALDO(Supercapacitor Assisted LDO) 레귤레이터는 기존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이하 LDO)의 낮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회로로서, 회로의 입력단과 LDO사이에 슈퍼커패시터를 부착하여 입력과 출력 전압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재사용함으로써 LDO의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SCALDO 현재 연구 중에 회로로 몇 가지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이 남아있다. 그 중 한 가지는 최초동작 시 LDO에 인가되는 과전압문제이다. 슈퍼커패시터가 완전히 방전되어 있어 충전모드 슈퍼커패시터, LDO가 직렬로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특성 상 입력전압이 짧은 시간동안 그대로 인가되는데, 출력전압보다 최소 2배 이상 크기 때문에 이는 상당히 큰 부담이 될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전압 문제를 해소하기 회로 동작 전 충전시킬 사전충전부가 포함된 새로운 레귤레이터를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초기 과전압이 상당부분 감소됨을...
Small-scale field tests on a monopod suction pile with and without the detachable penetration apparatus (DPA) tripod buckets have been performed. One of objectives was to identify capability DPA at small-scale obtain useful information for planned future full-scale tests. The which has developed control increase accuracy verticality piles during installation. In addition, it can also contribute force under certain conditions. Included in this paper are details tests, including site...
In this study, a genetic algorithm (GA) with an analytic model is adopted to conduct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design of underwater chain trencher. The problem defined as minimizing product the power and weight subject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coefficient traction, bar length (L), nose radius (R) ratio chipping depth over spacing (l/S), which ranges are determined based on specifications commercial trenchers satisfying established performance requirements previous parametric...
SCALDO(Supercapacitor Assisted LDO) 레귤레이터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SMPS(Switch Mode Power Supply)의 장점인 높은 효율과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의 안정적인 출력 및 우수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특성을 함께 가지는 레귤레이터로 현재 새롭게 연구되고 전원회로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연구된 SCALDO 경우 회로 내부의 스위치제어에 많은 전력이 소비되어 전체의 효율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단점을 극복하고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한 MOSFET를 레귤레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스위치제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향상시킨 새로운 레귤레이터를 구현 하였으며, 대비 최대 9.5% 상승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MCU(Micro-controller unit)를 이용한 펌웨어제어를 비교기 T-F/F(Flip Flop)을 하드웨어 제어로 대체함으로써 회로의...
In this study, the active vibration control of clamped plates using a positive position feedback (PPF) controller with sensor/moment pair actuator (non-collocation configuration) is consider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PPF system, numerical parametric studies conducted. The design parameters (gain and damping ratio)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stability performance system. Using these results, multi-mode (first second mode) single-input single-output (SISO) implemented. Two...
Generated power by 5 MW wind turbine was predicted using measured data at weather station called Herald of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Special Unit-1 (HeMOSU-1) which is installed south west coast Korea. Transient time history turbulent generated from 10-min mean speed stored HeMOSU-1 then it used in estimation electric Bladed. Those estimated powers were both polynomial regression neural network based estimation. They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daily yearly power. Effect turbulence...
Offshore wind energy, as a large-scale renewable energy source, is continuously seeing an increase in project developments, particularly centered around Europ. Due to the recent interest new developments are underway southwestern coastal area achieve supply of 12GW offshore power by 2030. As scale farms becomes larger, technology for installing substructures has become crucial. The pre-piling method, which utilizes underwater template that serves framework precisely piles seabed,...
Wind power generation of 5 MW wind turbine was predicted by using measurement data from HeMOSU-1 which is at south west coast Korea. Time histories turbulent generated 10-min mean speed and then they were used as input to Bladed estimated electric power. Those powers are in both polynominal regression neural network training. They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daily production yearly production. Effect turbulence intensity quantitatively analyzed discussed. This technique further can be...
투수성 반응벽체 공법은 지하수 오염을 정화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영양염류와 중금속 등 여러 가지 오염물질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두 이상의 반응성 매질을 적용한 반응벽체공법으로 복합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매질로 제올라이트와 제강슬래그를 함께 사용하는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영양염류인 암모늄과 인산염, 중금속인 카드뮴이 혼합된 복합오염물질에 대하여 연속회분식실험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및 제강슬래그와의 반응순서에 따른 오염물질 분석하였다. 연속회분식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올라이트-제강슬래그 순서로 반응하는 중금속의 대한 제거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ermeable reactive barrier has been recognized as the one of representative methods for remediation contaminated groundwater. Reactive system containing two and more...
풍력발전기의 용량이 점차 대형화되고 해상풍력단지는 수심이 깊은 곳에 조성됨에 따라 해상풍력발전구조물의 하부구조 및 기초시공비용 또한 급격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석션버켓기초는 버켓형식의 기초를 자중에 의한 관입과 자중관입 이후 석션에 관입으로 설치하는 공법이며, 대형장비 대신 충분한 용량의 펌프만 있으면 기초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간편하고 경제적인 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션버켓기초의 경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상부지반이 사질지반과 연약지반인 경우일 때 대수심 조건에 적용 가능한 기초형식인 자켓과 석션버켓기초를 적용한 트라이포드의 시공비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반이 단단하고, 기초개수가 증가할수록 자켓형식보다는 트라이포드 버켓기초형식을 적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임을 확인하였다. As the turbine capacity and water depth of wind farms are increasing, construction cost substructure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tion of a Self Recovering Sustainable Layer (SRSL) as landfill final cover. Low-conductivity layers in covers are known to have problems associated with cracking result differential settlement or climatic changes. A SRSL is defined layer chemical properties that reduces increased hydraulic conductivity resulting from by forming low-conductivity precipitates chemicals contained layer. In this study, formation was confirmed using batch test,...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모래지반에 설치된 병렬식 그룹석션앵커의 인발하중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였다. 단일형과 그룹석션 앵커에 수치 모델을 구성하고 인발하중을 재하하여 하중재하점의 위치, 길이/직경비, 하중경사 및 단위앵커간 간격에 따른 그룹형 석션앵커의 인발지지력에 영향을 연구하였다. 더블형과 트리플 그룹앵커의 인발지지력은 단일앵커의 인발지지력 대비 1.7배와 2.4배로 나타났고, 설치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그 증가율은 증가하였다. 하중재하점, 하중경사, 단위앵커의 형상비의 차이는 인발저항력 증가비에 큰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group suction anchors installed in sand and subjected to pullout loading was investigated by numerical analysis. The consist two or three units rigidly...
석션버켓기초는 펌프로 버켓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발생한 압력차로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이다. 버켓기초는 외해의 플랫폼이나 석유 가스 시추시설을 계류시키기 위한 앵커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해상풍력발전의 기초로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국내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석션버켓기초의 관입저항력 산정은 석션버켓기초를 성공적으로 시공하기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관입시킬 필요한 관입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은 압입설치 및 석션설치에서 측정한 관입저항력을 관입성능평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존의 이론식과 비교하여 강도감소계수의 적절한 범위를 검토하였다. Suction bucket foundation is installed with the differential pressure created by pumping water out of bucket. Bucket has usually been uti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