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scal Policy and Economic Growth
- Economic Growth and Productivity
- Regional Economic and Spatial Analysis
- Korean Urban and Social Studies
- Monetary Policy and Economic Impact
- Firm Innovation and Growth
-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 Energy, Environment, Economic Growth
- Gender, Labor, and Family Dynamics
- Labor market dynamics and wage inequality
- Migration, Ethnicity, and Economy
- Global Financial Crisis and Policies
- Local Government Finance and Decentralization
- Garlic and Onion Studies
- Consumer Market Behavior and Pricing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Impact of AI and Big Data on Business and Society
- Global Health Care Issues
- Retirement, Disability, and Employment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Spatial and Panel Data Analysis
-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Business
- Potato Plant Research
- Corporate Finance and Governance
- Global trade and economics
Chosun University
2020-2022
Bank of Korea
2014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3
Korea University
2011-2012
Hannam University
2011
Yonsei University
2008-2011
Uiduk University
2008
Seowon University
2008
Western Regional Research Center
2008
Food Research Institute
2008
Onion plants synthesize flavonoids as protection against damage by UV radiation and intracellular hydrogen peroxide. Because also exhibit health-promoting effects in humans, a need exists to measure their content onions processed onion products. To contribute the knowledge about levels of flavonoids, HPLC LC-MS were used seven quercetin isorhamnetin glucosides four Korean commercial bulb varieties distribution within onion, scales field-grown exposed home processing or fluorescent light 16...
Women entrepreneurs are not as involved in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expected,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women and increased government support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ffective is terms boosting satisfac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investigated causal effect policy process on entrepreneurs' along with many other personal factors such individual capacity, family life, social network, business environment.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has highest...
Abstarct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economic growth using two regional panel data, those of 8 East Asian 15 EU countries over period 1980–2008. We use a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estimate variance decomposition. The endogeneity is considerably reduced when we samples rather than specific country. In addition, find that changes in employment fertility rates affect determination to extent about 15%, which higher impact countries—about 10%.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role of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on business cycle volatility in economy Korea, using time-series data for period 1967 to 2010. The and are measured by three different variables deepening a moving-average SD real GDP, respectively. We construct long-run causality index, as suggested Granger Lin (1995), context cointegrated systems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estimates indicate that measures deepening, related institutions, mitigate cyclical fluctuation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impacts women's education on mean age women at first birth (denoting timing fertility) and total fertility rate (TFR, denoting level using cross-country panel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estimations proceed in two steps: first, regressions are separately estimated, second, estimated same time as a form system equation accommodate correlations between error terms. Findings It found that higher tends delay child or family formation....
The existing literature ha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ut volatility and growth depends on data and/or estimation methods. In this paper, an empirical examination is made of link in Korea, China Japan, using monthly index industrial product from 1990 to 2009. Specifically, a country’s are measured by ratio change its conditional standard error, respectively. Using EGARCH-M model, provided Nelson (1991), accommodate asymmetry economic fluctuation, estimates indicates negatively...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effects of technology trade on sustainable market value firms in 36 OECD member countries using panel data estimations. To proxy activities, our uses export and import growth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We suggest that imports, proxied by IPR increase sample countries. The net imports (exports) are also positive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s. use regression to analyze specific (i.e., exports) assets, IPRs, country benchmark composite stock...
본 연구는 1996년~2014년 기간 우리나라 15개 지방정부의 패널자료를 이용해 R&D투자가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위하여, R&D투자를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또한 지역 간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지역별효과에 대한 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별, 재원별로 구분한 경우에는 전체 및 공공부문 R&D투자는 대부분 지역에서 양(+)의 보인 반면, 민간부문의 대부분의 음(-)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일성 검정에서도 이와같은 결론을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민간부분의 R&D투자에 지역별 특징을 반영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influence Peer Relationship has on School Life Adjustment, Pro-social Behavior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sport activities.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hich Scale as identified by Furmam(1995), translated Koo(2000) & Kim(1996), Adjustment amended and supplemented Park(2000), Prosocial Yang(1991). 34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activities seoul·gyungki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Among these...
본 연구는 2000년 ~ 2017년 기간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로 구축된 패널자료를 활용해 인구구조의 변화가 지역의 경제성장과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사회경제적 특징이 상이한 ‘시’와 ‘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광주’와 ‘전남’이 다른 광역자치단체들과 차별화된 나타나는 가에 대해 추가적으로 검토했다. 분석결과, 첫째,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될수록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분배측면에서도 노동의 몫이 점점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 나타났다. 둘째, 경제성장에 영향은 ‘시’에서, 영향이 ‘도’에서 더 민감한 받는 셋째, 광주는 유소년층 인구에, 전남은 노년층과 청장년층 인구에 상대적으로 나타난 반면, 노동소득분배율의 경우 보이지 않았지만 인구비율의 변동에 이상의 결과는 부정적인 미칠 수 있다는 사실과 특성에 따라 그 상이하게 나타날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2003년∼2019년 기간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의 패널 자료를 이용해 생산과 분배소득 간 갭이 민간소비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소득 민간소비에 영향은 불명확하지만, 주택가격에는 양의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갭은 순유입지역의 미치고, 순유출지역에는 음의 셋째, 순유출지역에만 이상의 분석결과는 소득의 역외 유출입이 해당 지역의 내수로 이어지지 않고, 주택가격 상승으로만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역외유출(유입)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지역간 불균형과 경제적 비효율성은 보다 악화될 매우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94~2015년 2분기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해 재정지출(총재정지출, 경상지출 및 자본지출)의 충격이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수의 변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재정수입, 재정지출 취업자의 수로 구성된 3 변수 SVAR 모형과 Blanchard and Perotti(2002)의 식별조건을 사용해 구조적 충격반응함수와 취업에 대한 재정 변수의 승수를 도출하였다. 재정수입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관측 되었지만, 전체 4분기(1년)까지 양(+)의 영향이 지속되는 추정되었다. 증가의 효과가 자영업자의 비해 일용직 임금근로자에 더 큰 나타났다. 또한 중에서 경상지출의 증가는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고용을 창출하는 반면, 자본지출의 상용직과 임시직 임금근로자의 고용창출에 기여한 관측되었다. 그러나 재정지출의 따른 취업효과는 단기에 집중되었는데, 이는 확대가 민간의 경제활동을 구축하는 효과를 통해 그 작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Korean Abstract: 생산량 변동성과 성장 간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자료의 선택, 분석대상 국 가, 추정방법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그 분석대상이 서구의 산업화된 국가에 집중됐다. 본 연구에서는 1990~2009년 기간의 월별 산업생산지수 자료를 이용해 한국ᆞ중국ᆞ일본 에서 변동성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한 국가 의 경제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산업생산증감률로, 그리고 변동성은 산업생산증 감률의 조건부 표준편차로 측정했다. 추정방법은 경기변동의 비대칭성을 고려해 Nelson (1991)이 제안한 EGARCH-M 모형을 사용했다. 추정결과 한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것으로 관측된 반면 중국에서는 영향이 양( )의 값으로 추정됐다. 또한 일본에서는 변동성의 추정계수가 양의 관측됐지만, 전통적인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기대하지 못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한국과 효과 가 나타난 일본의 효과가 상당히...
본 연구는 최근 목격되는 국가별 주택가격의 동조화 현상에 대응하여, 이러한 원인과 그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가급적 많은 정보를 이용하여 여부 및 각국의 고유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01년 1분기~ 2013년 1분기 기간에 대한 26개국의 움직임을 주성분분석을 통해 3개의 변동요인, 글로벌공통요인, 지역별 공통요인 고유요인(국내고유요인)으로 구분하여 식별한 뒤, 구조적벡터 자기회귀모형(SVAR)을 통한 분산분해 결과를 이용하여, 국내고유요인의 움직임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더 받는가를 분석한다. 그리고 아시아와 유럽 두 지역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한다. 분석결과, 유사점으로는 유럽지역 모두 국내고유요인이 주택가격변동에 큰 미치고 있어 개별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며, 글로벌공통요인의 영향력이 일부 국가에서만 공통요인도 있는 지역성이 나타난다. 차이점으로는 지역성의 원인으로서 아시아는 중국효과의 존재가 의심되는 반면, 유럽은 위기의...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상호 연관구조를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산업연관표가 한 국가의 산업 투입 및 산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 달리 산업연관표는 64개국의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산업의 투입과 산출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장점이 이에 한국의 서비스산업이 전 세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함께 타국의 서비스산업에 파급효과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여덟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세계 서비스산업 중 중국의 비중은 상승하고 반면 미국과 일본은 감소하고 있으며 한국은 소폭 둘째, 서비스 생산을 위한 투입재는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산이 가장 크며 한국산의 정체하고 셋째, 국내 위해 투입되는 투입재의 경우 국산 하락하는 중국산 급등하고 넷째, 투입재 역시 나타났지만 급락하고 미국, 중국, 인도, 독일 상승했다. 다섯째, 한국 해외로의 수출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빠르게 또한 서비스산업에서 부문으로의...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4년 기간 120개 국가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이용해 양자간 FDI의 결정요인을 분석했다. 이때, 전체국가를 OECD국가와 비OECD 구분하여 총 4가지 투자유형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유형별 투자 결정요인의 특징을 검토했다. 분석 결과, 각각의 투자유형별로 FDI 결정요인이 공통점도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ECD국가가 투자국일 때 보다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나타났고, 경제규모 및 금융시장발달정도가 공통적으로 주요한 결정요인인 또한 같은 그룹 간 투자에서는 투자협정 되는 이상의 결과는 FDI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경제수준에 따라서 상이한 투자전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융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투자협정을 신규로 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협정이 체결된 경우에는 이행차원의 요구된다는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