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ritime Ports and Logistics
- Economic Zones and Regional Development
- Global trade and economics
- Diverse Topics in Contemporary Research
- Maritime Transport Emissions and Efficiency
- E-commerce and Technology Innovations
- Cross-Border Cooperation and Integration
- Technology Adoption and User Behaviour
-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 COVID-19 Pandemic Impacts
- Law, logistics, and international trade
- Outsourcing and Supply Chain Management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Efficiency Analysis Using DEA
-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Business
- Regional Economics and Spatial Analysis
- Cruise Tourism Development and Management
- Belt and Road Initiative
- Fiscal Policy and Economic Growth
- Global Trade and Competitiveness
- Consumer Behavior in Brand Consumption and Identification
- Internet of Things and Social Network Interactions
- Maritime Navigation and Safety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19-2023
Shandong Normal University
2017-2018
The 'Silk Road Economic Belt and the 21st-Century Maritime Silk Road' (collectively known as Road, B&R) has been initiated by Chinese government in 2013. B&R is increasingly becoming a focal point for socio-economic–political interests because of its likely impact on land sea transport maritime logistics. aims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to provide an overview B&R, focusing key structural elements, such corridors, city clusters, dry ports, infrastructure, zoning, area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 infrastructure and international trade is linked inextricably since ports remain the main gateway for trade. All thus have as their goal effective efficient management of ever-increasing cargo. And yet, previous research on impact efficiency subject to some biases in measurement model. In order correct them, this study developed a new model using bootstrapping slacks-based-measurements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n built linkage with by applying grav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maritime logistics connectivity ports and shipping networks in the East Sea Economic Rim (ESER) promote international trade context China’s Belt Road Initiative (BRI), considering centrality, primary flow clustering intera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applies a complex network model, using big data system consisting an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electronic interchange distributive data. Three perspectives, including trading regions,...
Under the auspices of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China has been expanding operation its CRE (China Railway Express) system that links Europe. The is today regarded as an important measure progress by which BRI-related goals are achieved, it potential to become most sustainable mode long-range transport. growing rapidly thanks active support Chinese government. As Eurasian trade logistics environment changes, will increasingly a third option complements air sea transport, with demand...
본 연구는 2014년 10월 동안 인천항만에 기항하는 선박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고자 시도되었다. 배출량 추정을 위하여 AIS 데이터를 토대로 한 Bottom-up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연료소비총량과 연료소비의 결과로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총량을 함께 분석하였다. 추정은 선박의 종류를 추정되었으며 각각 개별 날짜-시간 스템프 사이에서 그들의 움직임에 따라 계산되었다. 인천항에서 운항되는 최종 330 척(AIS-데이터)의 선박 샘플의 결과에 따르면 총 배출량은 164693.06 톤으로 추정되었으며, 연구기간동안 이들 연료소비량은 51953.64 톤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류에 따른 구체적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여객선이 81409.6톤으로 가장 오염이 심한 선박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예인선 (37248.4톤), 화물선 (32154.6톤), 다른 활동에 사용된 (9039.1톤), 화학 탱커 (4027.06톤) 그리고 어선 (814.048톤) 순으로 확인되었다.
The logistics environment between China and Korea has been changing rapidly in line with the 'Go West' policy of international trade area. includes BRI, Western Development Strategy, Korea–China FTA. Against this background, train ferry (KCTF) is being newly illuminated as an alternative mode to cope China. One key success factors KCTF depends on, among others, shippers' perception, which will affect choice successful operation KCTF. From perspective, paper develops seven hypotheses based on...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물류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 중간 무역 물류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운송·물류 시스템으로서 한중열차페리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사실 그 동안 거의 중단되어왔던 한중열차페리 사업에 관한 논의는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서부대개발 정책, 그리고 한중 FTA의 발효 등의 물류환경 따라 재점화되고 따라서 연구는 한중열차페리에 대한 한국 화주들의 인식과 태도, 선택의도 등을 파악하고, 중국물류환경이 화주의 태도와 사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물류환경요인이 선택의도간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determines the top fifty authors in China and their university affiliations maritime transportation field, compared to world ranking. We refer broad sense of Chinese economies, including not only mainland Hong Kong, but also Taipei (Taiwan) Singapore. analyzes sixty-five SSCI SCI journals field between years 2000 2015. In terms ranking, three indicators are employed: total number articles, weighted score (indication author contribution), impact score. With exception Shanghai Jiao...
중국 정부는 물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핵심전략 중 하나로 ‘물류단지 공정’을 선정하여 내륙 물류단지의 확대와 건실한 추진해오고 있다. 이러한 정부 전략에 따라 내 총 수는 크게 확대되어 2018년을 기준으로 1,638곳에 이르고 그러나 급격히 증가하는 물류단지들의 난립과 효율성 저하 등 다양한 문제점 또한 함께 제기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물류단지에 관한 일반적 내용을 고찰하고, 일부 물류단지들을 대상으로 SBM DEA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상대적 경쟁력을 비교·분석하고 순위를 제시하였다. 특히 야드면적과 창고면적을 투입변수로, 입주기업수와 고용된 노동자 수를 산출변수로 정하고 CRS와 VRS로 구분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효율적 단지는 분석방법에 각각 2곳과 6곳으로 분석되었고 이외의 대다수의 물류단지들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값을 보이며 큰 편차를 보였다.
With the China's BRI (Belt and Road Initiative, trade logistics environment on Eurasian contin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Since countries are major economic partners with Korea,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efficient economical network linking land sea routes. Following proposal for Polar Silk in 2018, expanded three Roads, Chinese government further accelerating based cooperation related BRI. Against this background, study investigates performance of BRI, which rapidly integrating...
국내 화물운송의 80% 이상을 분담하고 있는 공로중심의 내륙운송체계는 환경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비용을 야기시키고 있어 다른 운송수단으로의 화물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변화하는 국제 물류환경을 고려해볼 때, 철도는 지속가능한 대안적 운송수단임에 분명하며, 도로화물을 철도로 전환시키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내륙철도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은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한 필수적 선행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륙철도 이용 확대를 위하여 컨테이너화주를 대상으로 컨테이너 화물을 유인하기 핵심 요인을 밝히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martPLS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기법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Over of Korea's cargo transport relies on public roads. Such over-reliance has created a range social problems including environmental damage. Korea thus...
Abstract Operating the China Railway Express (CRE) is a primary strategy for promoting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Europe. Since inception of CRE in 2011, number operational routes connected cities has steadily increased. This study investigates impact establishment on foreign direct inflows Chinese prefecture-level cities. To perform our analysis, we used panel data 250 from 2004 to 2018, applied difference differences (DID) model as quasi-natural experiment. The results...
항만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항만효율성은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항만효율성 개선을 통하여 항만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함과 동시에 지역 및 국가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것은 항만운영자 뿐만 아니라 지방 정부의 주된 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중국의 황금내륙수로인 양쯔강 상의 내륙항만들의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장강변 14개 주요 내륙항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시간에 따른 효율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륙항구를 중류, 상류, 하류 항만군으로 나누어 유역별 수준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특히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3단계 DEA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효율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환경적 요인과 통계적 노이즈의 최대한 배제하여 자체의 순수 상대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1단계 효율 평가 결과와 결과 포트의 값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인 결과를 해석과 함께 본문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하류항만들의 효율성이...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양쯔강 연안 주요 14개 내륙 항만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3단계 DEA 방법을 통해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고, 도출된 항만효율성이 항만배후도시의 총요소생산성(TFP)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Ordinary Least Squares (FMOLS), Dynamic (DOLS), and Pooled Mean Group (PMG) 회귀분석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항만효율성의 개선은 배후지역의 TFP를 장기적 관점에서 유의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후도시 외에 항만 인근 지역들로의 파급효과(spillover effect)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아시아 및 유럽간 국제 무역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운송에 있어서 새로운 운송대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고 그 대안을 철도에서 찾고자 하였다. 특히 대륙횡단철도(KTAR)는 한국을 기 종점으로 유럽까지 잇는 세계 최장의 철도 노선으로서 실현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가능성에 앞서 대응하고자 대륙횡단철도의 선택 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해 운송수단 요인으로 6개의 잠재변수(운송 서비스, 운송 비용, 효율성, 철도에 태도, 철도로의 전환 의도, 대륙횡단철도 의도)를 도출하여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모형의 분석 결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도와 태도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요인에 강력한 요인으로는 비용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adopt...
As a sustainabl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market for electric vehicles (EVs) has been growing rapidly with active support from governments around world. In terms absolute numbers, however, EVs lag far behind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Focusing on two markets – Korea and China, this study investigate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financial incentives, perceived risks, environmental concerns regarding EV purchase intention among consumers. By applying an...
본 연구는 중국의 35개 항만을 대상으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분기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COVID-19가 중국 항만의 물동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COVID-19의 설명변수는 항만이 위치한 성(省)의 신확진자 수와 COVID-19 발생 전후를 시간더미로 고려하여 교호작용항으로 설정함으로써 입지한 각 지역의 심각성을 고려하고자 특히 거시 경제 및 국제 무역의 최대한 통제하고 항만 미친 직접적 파악하고자 System-GMM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동시에 COVID-19로 인한 내륙교통통제가 항만물동량에 간접적 미쳤을 것으로 보고, 내륙교통통제의 매개효과를 추가적으로 분석 결과, COVID-19는 정적ㆍ동적패널데이터 분석모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내륙교통통제 역시 COVID-19와 물동량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