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h Nan

ORCID: 0009-0006-4434-6662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Educational Research and Pedagogy
  • Education and Learning Interventions
  • Education, Safety, and Science Studies
  •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ing Techniques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Global Educational Reforms and Inequalities
  • Innovative Teaching Method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EFL/ESL Teaching and Learning
  • Technology and Data Analysis
  • Mathematics Education and Programs
  • Mathematics Education and Pedagogy
  • Technology-Enhanced Education Studies
  • Science Education and Pedagogy
  •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 Education Practices and Evaluation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Undergraduate Neuro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 Cognitive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mathematical skills
  • Neuroscience and Music Perception
  • Diverse Topics in Contemporary Research
  • Diverse Music Education Insights
  • Online Learning and Analytics
  • Online and Blended Learning

Kyonggi University
2021-2024

10.7468/jksmee.2018.32.1.23 article E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8-0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apt the educational fields a developed mathematics assessment and correction model according learning hierarchy. Moreover, attempted derive implications such as possibility field application precautions when applying model. To determine mathematical materials, materials were analyzed. First, after education,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examine change in students' achievement. In addition, rate incorrect answers for each item formative...

10.29275/sm.2020.09.22.3.671 article EN 2020-09-30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학습자 중심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을 설계하여 러닝 교수 학습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모형을 탐구하여 수업 설계를 하였다. 설계는 전형적인 교수설계 과정의 주요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ADDIE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교사 양성을 예비교사 교육의 주된 목적을 달성하기 예비수학교사 필수 교과목인 수학교재연구지도법 교과목에 대한 설계모형의 단계와 단계별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설계하고 그 단계를 전, 중, 후 3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esign Flipped Learning classroom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on the pre-service math teachers education. The aims explore feasibilit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10.7468/jksmee.2015.29.2.197 article E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5-05-15

Communicating about mathematics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learning and a key standard for successful classroom using stories storytelling as catalyst to instruction. This, however, can make math students with language deficiencies since they are working toward mastering both basic proficiency well the specialized needed mathematics. This particular concern becaus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rapidly increasing. In this paper, we discuss challenges complexities language-deficient...

10.7468/jksmed.2013.17.3.169 article EN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2013-09-30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national trends of research conce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by examining 352 papers recently published International Journal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IJAIED) with topic modeling method. The IJAIED is official, SCOPUS-indexed journal AIED Society. analysis revealed that could be categorized into eight topics such as analyzing student behavior model learning systems and designing feedback to solutions being increased over time, whereas...

10.30807/ksms.2023.26.1.001 article EN 2023-03-31

교사는 도형과 그래프를 포함하는 내용 영역에 대한 평가 문항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문항이 그림이 가지는 역할을 제대로 나타낼 수 있도록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2014 수능형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GeoGebra를 활용하여 작도하고, 이를 수정하는 과정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제작에 사례를 제시하고 문항제작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9명의 교사들은 연수 후 작성한 설문에서 활용한 제작 과정을 통하여 출제에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였고 GeoGebra가 창의적 개발의 도구적 할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능력 제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When teachers make up assessment questions regarding the content area that contains shapes and graphs, they should present pictures so their role might be represented...

10.7468/jksmee.2015.29.1.73 article E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5-02-15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지식 중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제기(problem posing)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눗셈에 관한 제기 능력은 나눗셈의 개념을 실생활 맥락에서 유연하게 사용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이 향후 교실에서 소재를 통해 교수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치는데 있어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연수 나누기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틀 기준에 따라 '수학적 정교성'과 '주요 오류 유형' 그리고 '나눗셈 연산 모델'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함에 교사 지식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fraction division in a context where they were asked to write story problem for symbolic...

10.7468/jksmec.2016.19.1.19 article E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016-01-31

Mathematical creativity, an important goal in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promoted through integrated learning environment where students explore with other subject areas such a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art. Establishing environments is not a trivial task. Therefore, this creates need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resources promoting meaningful integration. This paper focuses on integration fields music. Beginning some historical discoveries views connections between...

10.7468/jksmed.2015.19.3.177 article EN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2015-09-30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산학서인 "주서관견(籌書管見)"의 내용 구성 체계와 구장(九章)의 내용을 동양의 대표적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주서관견"의 내용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당시의 산학의 있었다. 구장(九章)과 "구장산술"의 및 형식을 비교한 결과 문제는 문제와 대부분 그 형식이 유사하고 주어진 조건의 수치까지는 일치하지 않으나 동일한 유형의 문제가 많다. 또한 심화 되어 다루어지고 있으며 서술 형식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차이점이 있었는데 이를 "주서관견"은 "구장산술"과 다른 산학서들의 영향을 받아 저술되었음을 알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주서관견"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문제들이 우리나라 수학사 기초자료로 활용될 있기를 기대한다.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in the early 18th century. This...

10.7468/jksmee.2016.30.3.419 article E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6-09-30

10.7468/jksmec.2017.20.3.225 article E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017-01-01

10.14477/jhm.2018.31.3.127 article E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018-01-01

창의 융합 능력은 교육과정 문서상에 새롭고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할 수 수학적 과제를 제공하여 학생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수학과 이외의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 융합하여 새로운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게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교육부, 2015). 이렇듯, 최근 교육의 변화를 반영하여 수학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개념을 구성하고 능동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문제 상황 및 이로부터의 해결은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이론이 추구하는 목적과 그 역할이 부합한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타교과와의 융합적 사고력 요소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역사 교과를 대상으로 PBL의 수업 평가 활동을 통하여 수학개념에 관한 이해를 돈독히 하고, 이러한 두 교과의 통해 도달 가능한 요소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소재를 활용한 PBL 진행을...

10.7468/jksmee.2016.30.2.161 article E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6-05-15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발된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중에서 스토리텔링의 적용을 그 특성으로 하였다고 기술한 교과서 3종을 선택하여 현행 교육과정 기본 방향과 내용 및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의 일부인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고 대안을 제시해 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교수 학습 맥락에서의 6가지 요소인 '페르소나', '감정이입', '비유', '플롯', '심미적 경험', '시간성'을 이용하여 수학교과서에서 수학적 개념이나 성질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즉, 스토리텔링 자료가 요소를 얼마나 잘 갖추고 있는지를 요소의 반영 유무와 비율을 통해 살펴보고, 각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가 수학을 실생활과 관련하여 흥미 있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과 개발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in January 2012, announced...

10.7468/jksmee.2013.27.4.547 article E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3-11-30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