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 Lim Kim

ORCID: 0000-0001-9368-893X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 Crime Patterns and Interventions
  • Suicide and Self-Harm Studies
  • Healthcare Education and Workforce Issue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Technology and Data Analysis
  • Sex work and related issues
  • Smoking Behavior and Cessation
  •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 Health disparities and outcomes
  • Computational and Text Analysis Methods
  • Health, Environment, Cognitive Aging
  • Patient Satisfaction in Healthcare
  • American Constitutional Law and Politics
  • Korean Peninsula Historical and Political Studies
  • Quality and Safety in Healthcare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Health and Well-being Studies
  • Healthcare Policy and Management
  • Mental Health Treatment and Access
  • Geriatric Care and Nursing Homes
  • Insect and Pesticide Research
  • Mormonism, Religion, and History
  • Education and Learning Interventions
  • Diverse Topics in Contemporary Research

Mercy University
2024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22-2023

Yonsei University
2016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2016

Tarleton State University
2015

Previous suicide attempts are a leading risk factor for completed suicide. To identify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ose at high attempts, we investigated associations with socioeconomic status ( SES ). Data from the 2013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 included adults who reported suicidal ideation N = 220,245). Attempts in past 12 months were assessed. Association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suicide‐related behavioral factors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mong...

10.1111/sltb.12242 article E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16-03-17

ABSTRACT Background: Suicide rates are high among elderly individuals experiencing socioeconomic insecurity. Socioeconomic security is of critical importance for and directly affects mental health, including suicidal behavior. Thu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us ideation in individuals. Method: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data on 58,590 65 years age or older from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2013.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10.1017/s1041610216001149 article EN cc-by-nc-nd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6-07-26

Background: Demand for nurses is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of health care services.Despite the increase number nurses, shortage has not been solved.The leading cause lack nursing staff high turnover rate.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racteristics hospitals and working environment related nurse identify differences by age group.Methods: In this study, data reported 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were used.The subjects who worked from 2017 2019.Nurse turnover, a dependent...

10.52937/hira.22.2.1.106 article EN cc-by-nc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Research 2022-05-27

Evidence regarding mental health problems caused by related to excessive beverage intake is growing, but it unclear which types of increase risks and at what level consump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uicide attempt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Korean adolescents. used cross-sectional data 11th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dopted an internet-bas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ith anonymity. estimated odds ratios (ORs)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s)...

10.21767/2572-5483.100009 article EN cc-b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16-01-01

10.1007/s13644-015-0219-0 article EN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2015-03-26

이 연구는 112 신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가 범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42개월간의 월별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분석을 연구에서는 시계열 그래프가 단계적으로 활용되었다. 즉, 1단계로 전반적인 범죄 발생 추세 확인 후, 2단계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상반기 추이가 비교되고, 3단계로 확대한 그래프를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전체범죄, 강도범죄, 절도범죄, 폭력범죄가 코로나19로 인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전체범죄에는 '약한 감소', 강도범죄에는 증가', 절도범죄와 폭력범죄에는 '감소'라는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인한 강도범죄의 증가'는 미국의 연구결과와 배치되는 데, 이는 한국과 코로나19 상황이 다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이 가능하다. 첫째, 범죄학 이론(기회이론)에 따를 때 많은 범죄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10.36623/kssr.2020.pandemic.233 article KO Sikyuriti yeongu 2020-07-31

방범용 CCTV는 1990년대 영국에서 처음 설치된 이래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더불어, CCTV의 효과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중 대부분은 범죄예방효과에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들로 인해 범죄예방효과가 어 떠한지에 대해 많은 지식을 쌓았지만, 아직까지 중요한 연구주제의 하나인 주중과 주말의 대해서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간극을 메우고자 범죄예방효과를 검 사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위해, 춘천 지역의 9개 CCTV 설치 장소가 선정되 었으며, 해당 장소의 목표구역(CCTV의 영향을 받는 구역)과 통제구역(CCTV의 받 지 않는 구역)에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발생한 범죄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의 통계처리를 위해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데이터 분석결과, 전체범죄와 주중범죄에 보였다. 그러나 주말범죄에 범죄예 방효과를 보이지 연구결과는 높이기 CCTV가 주 말에 더 범죄가 발생하는 장소보다는 주중에 장소에 되어야...

10.25023/kapsa.13.1.201605.189 article KO cc-by-nc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2016-05-01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launched HIRA Research in May 2021.This article addressed the previous two years of experience and future consider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Research.To establish its structure, held a public contest invited all employees to participate proposing name journal.Subsequently, an editorial board reviewer pool were established along with management guidelines manuals.To ensure increased accessibility dissemination articles published...

10.52937/hira.23.3.1.117 article EN cc-by-nc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Research 2023-05-31

범죄여행에 관한 문헌들은 범죄자들이 자신들의 거처와 가까운 곳에서 범행을 한다고 가리키고 있다. 나아가서 빈집털이의 이동성에 문헌들 역시 이러한 경향을 다시 확인해 주고 종전의 범죄이동성에 반영되는 인구동태학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려 했지만, 근래의 그러한 차이 규명에 실질적 노력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내재하는 재조명함을 목적으로 하고 남부 미국의 대도시에서 체포되어 형을 선고받은 331명의 빈집털이범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그 하는지 여부와 아울러, 나이, 성별, 그리고 인종과 빈집털이를 위한 이동거리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된 데이터는 하고, 범죄를 이동거리의 차이는 성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된 범죄정책과 전략도 논의하였다.The ‘journey to crime’ literature indicates that offenders commit crimes close their homes. It is further...

10.25093/jbas.2017.40.169 article EN Institute of British and American Studies 2017-06-30

이 연구는 지역사회 범죄예방(Community Crime Prevention, CCP)과 상황적 범죄예방(Situational SCP)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고 각각의 범죄예방 효과성을 비교·분석한 후 그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범죄예방과 범죄예방은 주안점, 배경철학, 주체/관련 기관, 소요시간 등에서 서로 다르며, 따라서 장단점 또한 다르다. 범죄예방활동을 통해 잠재적 범죄자의 범죄유발적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수단이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단기간에 거둘 있는 반면, 제거하지 못한다는 본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두 접근방법을 검증하였으며, 가지 접근방법이 모두 범죄예방에 효과적이라는 발견하였다. 하지만 실효성 위해서는 하나의 접근만을 선택, 적용하는 것보다는, 활동을 적절하게 병용하는 것이 범죄예방효과 및 요소 억지력을 높일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개인적인 차원의 개입인...

10.29095/jkca.14.1.4 article KO Journal of Korean Criminological Asscciation 2020-04-30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ciability Promotion Program on peer relation and loneliness c hild - psychiatric in patients. The subjects this were 9 inpatients at child-psychiatry unit S university hospital, 2 schoolers 7 adolescents. interventional activity consisted playful session structured have intensive social interactions, such as introduction, relaxation, cooperation, assertive skills, physical contact, evaluation.Data collected before after program by using...

10.12934/jkpmhn.1998.7.1.5 article 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98-06-30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