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weed-derived Bioactive Compounds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Bone Metabolism and Diseases
- Phytoestrogen effects and research
- Estrogen and related hormone effects
- Protein Hydrolysis and Bioactive Peptides
-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 Natural product bioactivities and synthesis
- Nutrition, Health and Food Behavior
- Marine Sponges and Natural Products
- Bone health and osteoporosis research
- Natural Antidiabetic Agents Studies
- Essential Oils and Antimicrobial Activity
- TGF-β signaling in diseases
- Medicinal plant effects and applications
- Pharmacological Effects of Natural Compounds
- Genomics, phytochemicals, and oxidative stress
- Menopause: Health Impacts and Treatments
- Animal Nutrition and Physiology
- Peanut Plant Research Studies
- Agricultural pest management studies
- Bone health and treatments
- Wnt/β-catenin signaling in development and cancer
- Echinoderm biology and ecology
Silla University
2013-2025
Food & Nutrition
2022-2024
ABSTRACT Current osteoporosis treatments are insufficient as they cause a relatively small increase in bone mass and unable to recover lost structures, addition having severe side effects. The morphogenetic protein (BMP)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s cooperatively modulate formati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erefore may play role treating osteoporosis.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hophloroglucin A (IPA), novel phenolic compound isolated from Ishige okamurae , on by...
톳은 여러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는 해조류로 본 연구에서는 톳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유산균의 종류를 달리하여 발효한 톳을 시료로 하고 추출물 단계에서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균인 Weissella sp. SH-1과 Lactobacillus casei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톳 추출물은 무접종군에 비하여 높은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유산균 간의 비교에서는 SH-1 접종군보다 L. casei 접종군에서 생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중요 염증 유발인자인 iNOS, COX-2 및 IL-6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접종군에 의한 iNOS 억제능이 높았으며 COX-2, IL-6 발현은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유산균에 유발인자 억제능에 대한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알아본 ERK, p38, JNK의 인산화에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용한 발효는 억제에 유효성분의 추출을 증진시킬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향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으로 발효한 꽈배기모자반의 항염증 및 iNOS 발현저해 활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활성은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가 생성되는 양을 비교하여 나타내었으며, stable transfection시킨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ducible synthase (iNOS) 발현에 대한 저해효과를 reporter인 luciferase의 활성을 확인하여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능과 실험은 radical 소거 확인한 후 수행하였다. 발효군이 비발효군에 비해 7.6~15.2% 증가되었으며, Lactobacillus sp. SH-1으로 접종한 군이 가장 높은 그리고 해조류 침전물을 포함하여 군보다는 포함하지 않고 더 SH-1을 접종하여 군은 LPS로 억제능이 높게 나타났다(64.1%). 또한 SH-1 접종군은 50, 100, 500, 1,000 μg/ml의 농도에서 유도된 발현을 각각...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톳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갈조류인 톳의 건조분말에 Lactobacillus casei와 Weissella sp. SH-1을 각각 접종하여 <TEX>$30^{\circ}C$</TEX>에서 한 달 동안 발효를 수행하였으며, 발효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면역활성 및 항고혈압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유산균 발효가 생리활성을 개선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issellasp. SH-1 접종군은 13.83~62.15%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34.9~59.2%의 SOD 유사활성, 최대 82.25%의 ACE 저해활성, 46.53%의 NO 생성 억제활성을 보였다. 또한, L. casei 11.98~72.84%의 14.17~33.62%의 73.3%의 65.20%의 본 연구결과로, 유산균을 이용한 통해 생리활성물질의 이용성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소재 식품의 개발이 가능할 기대된다. Antioxidative,...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의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지게 된다. Estrogen의 감소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며 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뛰어난 갈조류를 선정하여 해조공진단을 제조하였으며, 실험동물인 흰쥐의 난소를 절제하여 인위적으로 갱년기를 유도한 후 해조공진단이 혈소판 응집능 혈중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검출시스템을 사용하여 공진단 갈조류 추출물의 유사활성을 검증한 결과, 다시마 곰피 열수 추출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나타났으며,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in vitro 실험 결과를 통해 추출물을 첨가한 제조한 후, 실험동물에 투여하여 혈청 내 조성에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해조공진단 투여로 인해 OVX-CON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본 연구는 3종의 한약재(감초(Glycyrrhizae radix), 황기(Astragali radix) 및 산약(Dioscorea rhizome))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조골세포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측정을 위하여 인체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를 luciferase 유전자를 리포터로 사용하는 반응성 리포터 시스템을 가지는 세포로 형질전환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이용하여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한약재 추출물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1.11배~5.73배 높은 나타내었다. 그 중 감초 가장 보였다. 유사활성은 농도가 <TEX>$50{\mu}g/ml$</TEX> <TEX>$500{\mu}g/ml$</TEX> 일 때 각각 <TEX>$10^{-8}M$</TEX> <TEX>$10^{-7}M$</TEX> <TEX>$17{\beta}-estradiol$</TEX>과 거의 유사한 활성을 조골세포주인 MC3T3-E1 이용한 실험에서는...
Osteoporos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decreased bone strength, mass, and deterioration.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Gloiopeltis furcata ethanol extract (GFE) on antioxidant activity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s.Antioxidant activities GFE were examined evaluat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 total polyphenol content.Results showed that contains 3.04 mg gallic acid...
Osteoporosis is an age-dependent metabolic bone disease characterized by reduced mass.Postmenopausal women with estrogen deficiency are at high risk of developing osteoporosis.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Gloiopeltis furcata ethanol extract (GFE) on osteoclastogenesis in vitro and ovariectomy (OVX)-induced osteoporosis vivo.GFE (10∼250 μg/mL) inhibited receptor activator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 proliferation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폐경을 앞둔 여성에서는 폐경기 증후군,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빈도증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해조류 중 톳 추출물을 인위적으로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흰쥐에 투여하여 혈 지질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난소 절제에 의한 estrogen부족이 심혈관계 질환에 결과를 초래하는 지질대사에서는 total-cholesterol과 중성지방의 경우 난소절제에 의해 증가된 함량이 투여함으로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HDL-cholesterol은 추출물 모두 난소절제한 군과 비교해서 유의적 높은 나타내어 혈중 지질조성 개선에 톳이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장애시 유발되는 지질대사 이상으로 오는 추출물이 줄 것으로 사료되며 잘못된 식습관으로 비만에도 유익한 가져다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effect biological activity Hijikia fusiforme (HF). To...
Young Ju Choi, Mihyang Kim, Mi Hwa Park, Gyuri Mun, Hyeonsik Ryu, Donghwan Han, Beom Lee, Beum Soo Cho, Yoon Jung Seo Yeon You Jin and Kyung Im Ju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od Science Nutrition 2022;51:448-56. https://doi.org/10.3746/jkfn.2022.51.5.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