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in Food
-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 Nutrition, Health and Food Behavior
- Meat and Animal Product Quality
- Isotope Analysis in Ecology
- Natural Antidiabetic Agents Studies
- Tea Polyphenols and Effects
- Plant Pathogens and Fungal Diseases
- Plant Virus Research Studies
- Plant Pathogenic Bacteria Studies
- Research in Cotton Cultivation
- Biochemical Analysis and Sensing Techniques
- Garlic and Onion Studies
- Genomics and Chromatin Dynamics
- Metabolism, Diabetes, and Cancer
- Nuclear Structure and Function
- Electric and Hybrid Vehicle Technologies
- Cell death mechanisms and regulation
- Electric Vehicles and Infrastructure
- Seedling growth and survival studies
- RNA Research and Splicing
- melanin and skin pigmentation
- Advanced Battery Technologies Research
- Antioxidant Activity and Oxidative Stress
Sejong University
2016-2024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21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8-2020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2
Dankook University
2012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s major causative factor in skin ag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rotective effect a 50% ethanol extract from Nypa fruticans (NF50E) against UVB-induced results indicated that NF50E exert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C 50 = 17.55 ± 1.63 and 10.78 0.63 μ g/mL for DPPH ABTS-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dose-dependent manner.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vealed pengxianencin A, protocatechuic acid, catechin,...
Glucose absorption from the gut and glucose uptake into muscles are vital for regulation of homeostasis. In current study, we determined if gossypol (GSP) reduc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or enhances uptake; also investigated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ose processes in vitro vivo . GSP strongly concentration dependently inhibited α ‐glucosidase by functioning as a competitive inhibitor with IC 50 value 0.67 ± 0.44. activated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RS‐1)/protein kinase B...
Dilated cardiomyopathy (DCM) is characterized by cardiac dilation and systolic dysfunction. So far sixteen genes have been shown to cause autosomal dominant familial dilated (FDC). We identified a large Korean family from the Jeju island showing clear Mendelian inheritance of FDC. A genomewide linkage scan at 9 cM marker density peak multipoint LOD score 2.82 D1S195. Haplotyping region with 15 additional markers defined candidate interval that included known gene encoding lamin A/C (LMNA)....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가공품 중 식육원료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종 판별을 위한 유전자로는 미토콘드리아 DNA에 존재하는 12S 또는 16S 유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공식품에 적용하기 PCR 산물의 크기는 200bp 내외가 되도록 프라이머(species-specific primer)를 설계하였다. 대상 식품원료로는 축산물 10종을 하였으며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유전자증폭(PCR) 후 전기영동 하여 예상되는 생성유무를 확인하였다. PCR을 실시한 결과 가축인 소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 양고기, 사슴고기, 말고기에 대하여는 각각 131, 138, 168, 144, 191, 142bp에서, 가금류인 닭고기, 오리고기, 칠면조 고기, 타조고기에 281, 186, 174, 238bp에서 예상크기의 산물을 그리고 프라이머 별로 유사 종에서는 비 특이적 산물(non-specific product)은 생성되지 않았다.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는 향신료 조제품인 고추다대기의 사용원료 확인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시험법을 검토하였다. 시료 중 원료성분 위하여 고추, 마늘, 양파의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였으며, 대상 식품원료로는 고추다대기 6건을 선정하였다. 시료로부터 직접 유전자 추출 후 PCR을 실시하였으나 고추 등 사용원료의 확인이 어려웠다. 따라서 염 성분을 제거하기 증류수를 이용하여 3~4회 세척 PCR한 결과 6건 5건에서만 고추유전자 확인되었으며, 마늘 및 양파 성분은 모두 불가능하였다. 성분 제거 추출유전자의 증폭을 Whole Genome Amplification (WGA) 키트를 사용 실시하였다. 그 모든 시료에서 고추유전자(102 bp)를 확인하였으며, 양파를 함유하는 마늘을 4건에서 각각 양파(280 bp) 마늘(180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연구에서 검토된 고추다대기에 대한 전처리법, 유전자추출법, 추출유전자증폭법 등은 고추다대기를 불량고춧가루 제조 시 이를 판별할 수 있어...
본 연구는 식품원료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DNA barcode 기법을 도입하였다. 동물성식품원료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중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부위 검출을 위하여 디자인된 프라이머(LCO1490/HCO2198 및 VF2/FISH R2)와 b(cyt b) 프라이머(L14724/H15915)를 사용하였다. 상기 3 종류의 사용하여 가축류 6종(소, 돼지, 염소, 양, 말 사슴), 가금류 4종(닭, 오리, 칠면조 타조), 어류 7종(명태, 대구, 청대구, 청어, 송어, 다랑어 우럭)을 대상으로 PCR 후 전기영동하여 예상되는 산물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6종에 대하여는 LCO1490/HCO2198, R2 L14724/H15915 사용한 COI cyt b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4종은 LCO1490/HCO2198 경우만 COI이 검출되었다. 또한 7종은 경우에만 부위가 검출됨을 식물의 엽록체 부위를...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식육추출가공품의 사용원료 확인을 위해 효율적인 유전자 추출 검토하였다. 가공식품의 원료성분 위하여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였으며, 대상 식품원료로는 소, 돼지, 닭을 주원료로 가공된 식육추출가공품 13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시료는 제품유형에 따라 액상, 소스, 분말류로 구분하고 원심분리 등의 전처리를 추가하거나 추출유전자의 증폭을 Whole Genome Amplification (WGA)를 실시한 뒤 유전자증폭 후 전기영동하여 예상되는 PCR 산물의 생성유무를 확인하였다. PCR을 결과 액상형태 식육 추출가공품의 경우에는 1 ml을 취하여 과정을 통해 유전자를 하였을 때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소스형태 경우 WGA 추가로 시행하여야 사용원료확인이 가능하였다. 분말형태 추가의 전처리 과정이나 과정이 필요하지 않았다. 연구에서 검토된 유형별 유전자추출법은 유전자추출을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식육추출 가공품 중 사용원료의 진위여부...
Soybean curd residue has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lysine, rich dietary fiber, and pectin polysaccharide, but most of these are discarded due to storage problems.Fermentation the soybean improves functionality storage.In this study, control group vegan nutritional bars w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s comprising addition fermented powder (0%, 2%, 4%, 6%, 8%).The comparison parameters included antioxidant activity, quality,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content.The results...
Melanin has been reported to be the key factor for skin homeostasis. Besides defining an important human phenotypic trait, melanin overproduction may cause various disorders such as vitiligo, Addison's disease, Cushing's syndrome, and melasma. In this study, we aimed investigate anti-melanogenic potential of dried spike extract chestnut. The inhibited tyrosinase (TYR)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ellular content decreased markedly after treatment with ex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