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Hong Min

ORCID: 0000-0002-4511-850X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Education, Safety, and Science Studies
  • Fire dynamics and safety research
  • Marine and Coastal Research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Fire Detection and Safety Systems
  • Evacuation and Crowd Dynamics
  • Internet of Things and Social Network Interactions
  •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 Parkinson's Disease Mechanisms and Treatments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Alzheimer's disease research and treatments
  • Engineering Applied Research
  • Neuroscience and Neuropharmacology Research
  • Biotin and Related Studies
  • Flame retardant materials and properties
  • Cholinesterase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 Cardiac electrophysiology and arrhythmias
  • Advanced Proteomic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 Neuroscience and Neural Engineering
  • Trace Elements in Health
  • Ion channel regulation and function
  • S100 Proteins and Annexins
  • Advanced Fluorescence Microscopy Techniques
  • Dendrimers and Hyperbranched Polymers
  • Neurological disorders and treatments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2019-2024

Gachon University
2012-2023

Oceaneering International (United States)
2023

CNH Industrial (Czechia)
202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20

Sogang University
2015

Korea Testing Laboratory
2012

Abstract Tau aggregation is a defining histopathological feature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tauopathies. However, the cellular mechanisms involved in tau propagation remain unclear. Here, we performed an unbiased quantitative proteomic study to identify proteins that specifically interact with this seed. We identified Bassoon (BSN), presynaptic scaffolding protein, as interactor seed isolated from mouse model tauopathy,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ostmortem samples. show BSN...

10.1038/s41593-022-01191-6 article EN cc-by Nature Neuroscience 2022-11-07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such as lead (Pb) during vulnerable developmental periods can result in adverse health outcomes later life. Human cohort studies have demonstrated associations between Pb exposure and Alzheimer's Disease (AD) onset life which were further corroborated by findings from animal studies. The molecular pathway linking increased AD risk, however, remains elusive. In this work, we used human iPSC-derived cortical neurons a model system study the effects of on...

10.1016/j.jbc.2023.105023 article EN cc-by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23-07-07

Protein misfolding results in a plethora of known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Huntington’s transthyretin-related amyloidosis, type 2 diabetes, Lewy body dementia, and spongiform encephalopathy. To provide diverse portfolio therapeutic small molecules with the ability to reduce protein misfolding, we evaluated set 13 compounds: 4-(benzo[d]thiazol-2-yl)aniline (BTA) its derivatives containing urea (1), thiourea (2), sulfonamide (3), triazole (4), triazine (5) linker. In...

10.1021/acsomega.3c02668 article EN cc-by ACS Omega 2023-05-23

Luciferase-based reporters provide a key measurement approach in broad range of applications, from vitro high-throughput screening to whole animal imaging. For example, luminescence intensity is widely used measure promoter activity, protein expression levels, and cell growth. However, measurements are subject quantitative irregularities caused by decay variation reporter level. In contrast, biolumin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BRET) sensors the advantages luciferase-based but overcome...

10.3390/s19163502 article EN cc-by Sensors 2019-08-10

Alzheimer's disease (AD) is a multifactorial, chronic neurodegenerativ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xtracellular β-amyloid (Aβ) plaques, intraneuronal neurofibrillary tangles (NFTs), activated microglial cells, and an inflammatory state (involving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brain. NFTs are comprised misfolded hyperphosphorylated forms microtubule-binding protein tau. Interestingly, trimeric form 2N4R splice isoform tau has been found to be more toxic than 1N4R neuron...

10.1016/j.rechem.2023.100938 article EN cc-by Results in Chemistry 2023-01-01

외장재에 의한 수직화재확산은 확산속도가 구획화재에 비해 매우 빨라 이에 대한 화재의 특성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연소 확대되면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성상에 대해서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는 심재가 폴리에틸렌인 일반 알루미늄복합패널에 대해 화재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수직확산화염은 화재초기에 2층까지 상승하는 데는 약 135초가 걸렸지만 10층까지는 470초, 최고층인 30층까지 711초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고층부로 갈수록 난류 및 외장재 설치공간의 연돌효과에 의해서 급격히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외장재가 설치된 건축물의 화재 시 통한 화재는 동시다발적으로 건물의 내부에 심각성을 확인할 Since vertical flame spread speed on exterior materials is much faster than horizontal fire, analysis of...

10.7731/kifse.2012.26.2.090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2-04-30

10.1016/j.bbamem.2015.05.021 article EN publisher-specific-oa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membranes 2015-06-06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most prevalent neurodegenerative disorder underlying dementia in geriatric population. AD manifests by two pathological hallmarks: extracellular amyloid-β (Aβ) peptide-containing senile plaques and intraneuronal neurofibrillary tangles comprised of aggregated hyperphosphorylated tau protein (p-tau). However, more than half cases also display presence α-synuclein (α-syn)-containing Lewy bodies. Conversely, bodies disorders have been reported to concomitant Aβ...

10.1021/acschemneuro.3c00464 article EN cc-by-nc-nd ACS Chemical Neuroscience 2023-10-11

해운대 우신빌딩 화재는 고층건축물의 외장재 수직화재에 의해 4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최상층인 38층까지 올라가서 펜트하우스까지 모두 전소시켰다. 이 화재를 계기로 초고층 건축물의 위험성이 크게 대두되었고, 이후 다양한 관련 법규들이 신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용 CFD 프로그램 중 FDS를 사용하여 오피스텔 빌딩의 재현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상층부로의 화염 전파 시간 및 경로에 관하여 기사와 동영상을 통해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최상층까지 확산하는 시간이 약 30분으로 실제 화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며 확대되는 성상도 유사함을 나타냈다. 그러나 최상부로 올라갈수록 V자 형태를 넓게 보였지만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상부로 수평으로 전파하는 범위가 작게 보였다. 이는 FDS가 격자 형태로 표현되고 얇은 외장재를 표현할 수 있는 한계와 바람 방향에 의한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화재확산 영향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무풍일 때와 쌍둥이 타워 사이의 외장재가...

10.7731/kifse.2013.27.2.025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3-04-30

건축물 실내에서의 화재발생 시 초기 소화설비로 적용하고 있는 옥내소화전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는 초기화재 진압용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 건축물의 지붕형태는 차별화된 지역문화와 디자인이 접목된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이 건립되고 지붕형태, 즉 일부 지붕형태가 경사(박공)형태로 계획 건립되고, 또한 공중정원을 활용한 조망계획을 하다 보니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압력을 측정하는데 있어 옥상공간은 제한적이고, 너무 협소하여 옥내소화전 소방호스를 전개(최대 5개)하여 방수압력 문제점이 도출되고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효율적인 관리와 화재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Indoor fire hydrant facilities and sprinkler system applied to the initial suppression for buildings' interior are pivotal roles in extinguishing early stage. The roof...

10.7731/kifse.2012.26.3.067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2-06-30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isk of electrical fire in places where electric heat wires are used. In general, use heating is becoming more common and prevalent a bid prevent increasing damage caused by freezing bursting residential water pipes, factory pipes irrigation vinyl greenhouse variety wire products available market with legal safety requirements imposed on them. However, widespread anti-freezing burst has incidents fire, which often fail be incorporated into statistics due quick...

10.12812/ksms.2015.17.4.113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2015-12-31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재 화재로 인한 수직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확대방지용 헤드를 개발하였다. 헤드개발의 성능기준은 NFPA 80A 7.7.4.3 조항(Recommended Practice for Protection of Buildings Exterior Fire Exposures)에 의거하였으며, 방사압 0.05 MPa, 방수량 60 l/min 기준을 적용하였다. 헤드개발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드렌처헤드와는 사용용도 및 구조가 전혀 상이하나 이를 응용가공하여 총 5차례의 실험과정을 통해 MPa일 때 65 l/min의 헤드의 헤드 간 적정 이격거리는 실험결과, 3~5 m 이내로 건물별 화재위험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계에 적용하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prevent spread vertical flame from building exterior fire, A head was developed. The...

10.7731/kifse.2012.26.1.113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2-02-29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외장재 화재 시 수직화재에 대해 화염의 수직확산 방지 및 지연을 위한 외벽방호 스프링클러 설비 구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에 앞서 관련 방지용 헤드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적용된 스프링클러시스템은 NFPA13의 연소확대방지시스템에 명기된 방사압 0.05 MPa와 유량 60 l/min를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시스템 설계를 통하여 소방대상물에 적용하였으며 시스템은 감지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과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또한 설비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실물실험을 실시하여 외벽의 냉각효과와 화재의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configulation of outside sprinkler system the prevention and postponement vertical diffusion blaze was studied prior to study, protecting head has been developed applied with...

10.7731/kifse.2012.26.1.102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2-02-29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 화재 등 고압방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방수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방펌프차의 중계방수방법과 활용방안을 정립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중계 방수압력의 변화에 대하여 시험결과 방수구를 개방하고 측정하였을 경우 폐쇄한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보다 약 20 %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활동 현장에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소방펌프차 2대의 압력을 각각 변화시키면서 시험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효율이 나타나는 확인되었다. 현재 고압 방수능력이 있는 소방펌프차가 소방서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소방펌프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서도 소방펌프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보유하고 소방차를 활용하여 고압방수의 필요성이 화재현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방차량 운영 제안한다. In this study, test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a fire engine of relay waterproof and...

10.7731/kifse.2013.27.1.052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3-02-28

소방차에 설치되는 소방펌프에 대한 방수성능 기준이 현장에서 운용하고 있는 실태와 상이한 부분이 있고,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소방공무원이 화재현장에서 소방펌프의 사용시간, 최대사용압력, 사용 호스 직경 등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압력별, 직경별 수량별로 다양하게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소방자동차용 성능에 관한 인정기준에서 규정하고 규격방수압력(0.85MPa)과 고압방수압력(1.4 MPa)보다 현장에서는 더 높은 압력을 사용하고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펌프의 성능시험 결과는 방수량 및 방수압력 등이 호스의 직경, 관창에 따라 현재 인정기준과 매우 상이하게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로 새로운 규격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zed firefighting officers' use situations such as the time, maximum working pressure, hose diameter, etc. of fire...

10.7731/kifse.2012.26.5.085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2-10-31

본 연구에서는, 건축 외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외단열시스템에 대해 방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콘칼로리미터 실험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방염제의 도포 형태나 농도에 따라 초기 착화 시점을 지연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나, 외벽 수직화재 발생 시 외단열시스템의 방염처리는 화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하는 고밀도와 저밀도 스티로폼의 밀도차에 의한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음을 외장재의 착화는 40초 전후로 발생하였으며, 방출열량도 100초 이내에 약 90 %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외벽재료와 비교하여 화재 확산이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외단열시스템 외장재 화재로 인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적용 건물의 용도별로 사용을 제한하거나 화염전파를 차단할 수직외벽 구획 등의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In this study, EIFS (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 of exterior...

10.7731/kifse.2012.26.3.106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2-06-30

본 연구에서는 그라스울 샌드위치패널의 연소특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밀도와 두께가 다른 총 6종류(밀도: 48/64 K, 두께: 50/75/100 T)의 시편을 선정하여, KS F ISO 9705 시험법을 준용하여 실물화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TEX>$2.4(L){\times}3.6(W){\times}2.4(H)m$</TEX> 크기의 화재실 내부에 시험체를 설치하여 프로판 버너에 의해 화염에 노출시켜 판단하게 된다. 25분에 시험 시간 동안 버너는 100 kW(10분), 300 kW(10분)로 출력되며, 통해 열방출률, 열류량, 내부 온도가 측정된다. 실시한 결과, 버너 열량을 포함하여 각 시편의 최대 열방출률은 333.2~365.5 kW, 열류량은 12.4~12.9 kW/<TEX>$m^2$</TEX>로 나타났으며, 내부온도는 모든 시편에서 <TEX>$500^{\circ}C$</TEX>를 초과하지 않았다. 중에 플래시오버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온도 측정결과 밀도 및...

10.7731/kifse.2012.26.5.021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2-10-31

In this study, fire prediction performance was analyzed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classification models such as MobileNetV2, ResNet101, and EfficientNetB0 applicable to an edge computing-based detection system for improving safety. The evaluated the evaluation measures including accuracy, recall, precision, F1-score, confusion matrix. model size inference time were assessed in terms of light-weight practical deployment us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had highest...

10.7731/kifse.9e906e7a article EN cc-by-nc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22-12-26

Currently, fire dynamics simulation (FDS) is used as a means to evaluate the risk of in building. It necessary input correct factor values and set proper mesh for combustible materials obtain highly reliable results. In this study, American pine, which often furniture material, was compared analyzed via lumber source experiments FDS extract value. According comparative analysis experiment after inputting ignition temperature heat release rate per unit area (HRRPUA) into FDS, (HRR)...

10.9798/kosham.2019.19.1.197 article EN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9-02-28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사용하는 소방호스에 대하여 사용압력과 방수량 변화에 따른 마찰손실을 실측하였다. 소방호스의 종류, 수량, 사용압력 등 사용 실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실측한 결과 소방공무원이 조건에서 마찰손실은 무려 56.8%까지 측정되었다. 옥내 외 소화전설비에서 펌프양정 계산시 등가 길이와도 많은 차이가 난다. 관련규정조차 마찰손실에 대한 제한 규정이 없고, 소방호스를 생산하는 업체에서도 측정한 자료가 없으며, 화재현장에서는 고려하지 않고 전개함으로써 호스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소방펌프차에서 고압으로 방수하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연구를 통하여 소방호스 등가길이 기준을 정립하고 고려한 전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t was described the measured friction loss depending on pressure used and changes in water flow rates for a fire hose at scene this...

10.7731/kifse.2013.27.3.052 article E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3-06-30

Due to an increase in economic development, populations have concentrated around cities, and complex buildings, apartments, multi-use premises with multiple functions increased number. As many more people now live apartments premises, it is difficult evacuate these buildings using existing evacuation methods such as rescue crews, descending lifelines, devices, elevation type evacuators. Subsequently, safety accidents are occurring. In order solve this problem, a balcony device enabling...

10.9798/kosham.2018.18.5.177 article EN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8-08-31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