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 Jeong Kim

ORCID: 0000-0002-7918-1355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Child and Adolescent Psycho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 Workplace Health and Well-being
  • COVID-19 and Mental Health
  • Schizophrenia research and treatment
  • Coaching Methods and Impact
  • Art Therapy and Mental Health
  • Cognitive Abilities and Testing
  • Child Therapy and Development
  • Anxiety, Depression, Psychometrics, Treatment, Cognitive Processes
  •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nsan University
2018

Korea University
2018

This study explored the clinical variables related to public workers' stress and anxiety regarding viral epidemic,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their depression in respons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A total 938 workers answered anonymous questionnaires May 2020. The survey included rating scales such as Stress Anxiety Viral Epidemics-9 (SAVE-9), Patients Health Questionnaire-9 (PHQ-9), Generalized Disorder-7 (GAD-7), Connor-Davidson Resilience...

10.3346/jkms.2021.36.e262 article EN cc-by-nc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1-01-01

본 연구 목적은 치료놀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애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은 소아정신과에서 진단을 받은 초등학교 1학년 남자아동으로 부모가 함께 참여하였으며, 주 1회, 60~90분간, 총 25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는 구조화된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 동적가족화(KFD),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학교생활화(KSD)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에서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애착에 긍정적인 미쳤으며, 동적가족화(KFD)에서 가족간의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한 모습을 보이고 수치가 증가하여, 미쳤다. 둘째, 행동평가척도(K-CBCL)의 공격성 척도, 주의집중문제 척도에서 모두 70점 이하의 정상범위에 해당하여 학교생활화(KSD)에서 셋째, 단계별 활동내용 분석에서도 양육과 돌봄, 감정의 표현과 수용, 지지와 격려를 통해 안정애착을 경험함으로써 문제행동이 완화된 보였다.

10.15870/jsers.2015.06.54.2.545 article KO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5-06-30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들이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의 양상과 이에 대한 실천가의 대응과 노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주여성 지원기관의 실천가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천가들은 개입의 대상 및 범위와 관련한 딜레마,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안전 문제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딜레마 등 3가지 범주의 딜레마를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딜레마에 대해 대응하기 개입 대상과 범위의 확장, 안전에 최우선 고려, 다양성에 존중 시도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dilemmas practitioners experience, who support migrant women are victims domestic violence, and efforts being made...

10.31409/kjswe.2023.61.121 article EN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2023-03-31

본 연구는 코칭에서 진행되는 일련의 변화 및 성장과정을 심리학 관점으로 재구성하여 코칭심리 연구와 전문가 훈련과정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통합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성장 코칭 모델은 개인의 주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하기 위해 관련된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기반 모델로서 실무의 원리와 기제들을 이해하여 코칭의 효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피코치의 자기 인식 과 주도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성장지향 관점, 전체론 주도성 증진, 촉진 잠재력 구축이라는 주요 단계 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기본이 되는 틀로서 향후 다양한 이론과 접근들 간 체계적 절충에도 도움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제안한 가설적 모델이 코칭심리학의 연구 방향과 훈련 과정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해 줄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10.51457/kjcp.2017.06.1.1.47 article KO THE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2017-06-30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