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Soil Stabilization
-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Underground Structures
-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Soil Mechanics
-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Analysis
- Grouting, Rheology, and Soil Mechanics
- Landslides and related hazards
- Dam Engineering and Safety
- Rock Mechanics and Modeling
- Civil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 Seismic Imaging and Inversion Techniques
- Industrial Engineering and Technologies
- Microbial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Materials
- Geotechnical and Geomechanical Engineering
- Geological Modeling and Analysis
- Humic Substances and Bio-Organic Studies
- Transportation Safety and Impact Analysis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Tunneling and Rock Mechanics
- Engineering Applied Research
- Earthquake and Disaster Impact Studies
- Advanced Decision-Making Techniques
- Earthquake and Tsunami Effects
- Soil and Unsaturated Flow
- Struct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 Internet of Things and Social Network Interactions
Tohoku Institute of Technology
2021-2024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Korea Soongsil Cyber University
201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09
Tohoku University
2006
This study presents a new approach to determine the damage degree of liquefaction caused by large earthquake. We propos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based only on seismic records ground and define "DDL" as index. ANN predicts excess pore water pressure increase correct output label obtained from three-dimensional shaking table test. The proposed achieved high accuracy, outcomes training data indicated that is suitable function assessment system. Further, evaluate applicability...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several experiments and implemented three different types of pullout resistive bodies to conduct tests under identical conditions in order examine the resistance mechanism chain reinforcement elements. Furthermore, characteristics are studied based on laboratory and in-situ tests when steel bar L-type angle used as passive reinforcement. Comparing theoretical measured values, yield force was 1.2 - 3 times greater than values depending method or normal stress....
In the elasto-plastic constitutive model, bulk modulus is one of most important parameters to control change effective stress under undrained condition. However, experimental research on sand during liquefaction has not been conducted so far. this paper, therefore, Toyoura was measured directly using a hollow cylindrical torsional shear testing device equipped with volumetric strain device. This study found that corrected by membrane penetration effect process constant relatively high...
기존에 사용되던 사각형 낙석방지망은 낙석에 의한 충격 완화를 위한 장치가 없어 적층 현상 등을 해결할 수 없으며 과도한 충격으로 철망이 파괴되는 문제 등이 지적되고 있었다. 여러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면서 매년 낙석 방지망 자체의 파괴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표준형 낙석방지망의 낙석방호 실패 원인을 고찰하고 설계 시 예상 낙석에너지를 파악하여 적정한 흡수에너지를 가진 육각 낙석방지망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내실험과 실대형실험을 통해 기존 방지망과의 성능차를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대형실험결과 낙석과 같은 하중 재하 낙석방지망에 작용하는 응력은 스프링형 지지 장치에 응력이 완화되어 충격에 소성파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반면 사각 경우 직접적으로 작용함으로써 하중에 저항력이 낙석방지망보다 효율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Rock fall protection system installed against rock slope is...
대도시 인근의 지진 취약성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에서도 지진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늘고 있다. 특히 건축문화재의 경우에는 이설이나 해체가 어려워 지진에 대비가 다른 구조물에 비해 어렵다. 더욱이 시에 지반이 어떠한 증폭된 지진파를 주요 문화재에 전파하게 되는지를 알아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15개소의 문화재 지반에 표면파 탐사를 통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지반 분포 및 기반암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단파 속도 분포를 위주로 입력데이터를 설정하고 일차원 지진응답해석을 붕괴방지수준을 기준으로 지진재현주기에 따른 최고 지표가속도와 지반증폭비, 지반의 고유주기 등을 Under the situation that seismic vulnerability are a worsening problem in many world's megacities, disaster preparedness including...
낙석방지망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종래의 낙석방지망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이완성이 없는 횡방향 와이어로프에 의해 낙석 중량의 누적현상, 지반과 낙석방지망의 결합지점 부족으로 인한 인발지지력 부족, 낙석의 과도한 충격으로 철망의 빈번한 파손, 유지관리 시 재사용의 어려움 등이 보고되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실내에서의 인장력과 현장실험이 실시되어 새로운 효과를 검증한 바 선행연구에 이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각낙석방지망과 비교하여 충격 완화형 육각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과 성능을 수치해석적 방법을 점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충분히 검토하고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수치해석 프로그램이 설정되었다. 종합해볼 때 동일한 단일 셀 간격 뿐만 아니라 면적비로 비교하더라도 낙석방지망이 사각 비해 하중분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석방지망은 낙석하중이 작용할 경우 효율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하중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있어 장기적인 안정성...
본 연구에서는 산업 전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X-ray CT의 지반분야 적용을 위해 CT를 이용한 사질토의 간극비 측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고분해능 CT 시스템의 적용에 문제가 되는 빔하드닝(Beam hardening) 및 동심원상 화상결함(Ring artifact) 등에 대한 문제점 지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정을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용하여 주문진 표준사의 간극비를 측정하여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In this study, a new methodology by using the scan is proposed for estimating void ratio of sandy soil. The general problems in high resolution such as beam hardening and ring artifact had been successfully settled up thin metal plate fi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