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ran Lee

ORCID: 0000-0003-3419-4299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Weed Control and Herbicide Applications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Soybean genetics and cultivation
  • Pesticide and Herbicide Environmental Studies
  • Agricultural pest management studie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Plant and animal studies
  • Plant pathogens and resistance mechanisms
  • Plant Disease Resistance and Genetics
  • Plant Pathogens and Fungal Diseases
  • Plant Taxonomy and Phylogenetics
  • Yeasts and Rust Fungi Studies
  • Genetic and Environmental Crop Studies
  • Legume Nitrogen Fixing Symbiosis
  • Nematode management and characterization studies
  • Genomics and Phylogenetic Studies
  • Plant Physiology and Cultivation Studies
  • Firm Innovation and Growth
  • Meat and Animal Product Quality
  • Phytoestrogen effects and research
  • Genetic and phenotypic traits in livestock
  • Suicide and Self-Harm Studies
  • Cultural and Historical Studi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1-20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2020

Myongji University
2020

Kyung Hee University
2015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2014

Jeonbuk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2013

Dongshin University
2013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13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3

Hyosung Corporation (South Korea)
2011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13 genera of the subtribe Glycininae, two allied Diocleinae that were included within Glycininae by Polhill, and Erythrininae as outgroups inferred from chloroplast DNA rps16 intron sequence variation. Pairwise divergence values ranged identity between Teramnus mollis T. micans flexilis labialis to 7.89% Pueraria wallichii Pseudeminia comosa across all accessions. Phylogenies estimated using parsimony neighbor-joining methods revealed (1) is monophyletic if...

10.2307/3558432 article EN American Journal of Botany 2001-11-01

Information on the use of endophytic bacteria as a bio-herbicide for management weed control in agricultural fields is limited. The current study aimed to isolate from evening primroses and screen them their bio-herbicidal activity. Two isolated (Pantoea dispersa YNA11 Klebsiella pneumoniae YNA12) were initially screened citrate utilization indole-3-acetic acid (IAA) catalase production. preliminary biochemical assessment showed YNA12 positive strain. Ammonia, catalase, IAA its culture...

10.3390/plants9060761 article EN cc-by Plants 2020-06-18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school life freshmen enrolled in nursing at a Junior College.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312 students two schools J and I city March 7-11, 2011. Data analyzed using SPSS/WIN18 program. Result: Self-esteem higher than previous advanced research showed, self-efficacy moderate stress lower other studies. School level related satisfaction friendship, subjects who have chosen...

10.5977/jkasne.2012.18.1.005 article 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04-30

The amount of genetic variability a species is essential for its survival and adaptation in different environments, studies diversity using molecular marker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population orientate effective strategies germplasm conservation. aim current study was determine SSR that can be used rapidly reliably evaluated pepper Bulgaria landraces, applied assessment introduce germplasm. We 22 polymorphic microsatellite analysis within 61 collection landraces germplasm,...

10.12719/ksia.2012.24.5.547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012-12-31

The emerging incidence of herbicide resistance in weeds is a serious problem for rice production Korea. Echinochloa oryzicola has been reported as multiple resistant to acetolactate synthase (ALS)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ase) inhibitors. objectives this study were monitor distribution genetic diversity E. suspected have ALS ACCase inhibitors Korean paddy fields by using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 occurrence propagation herbicide-resistant found at levels Jeonbuk Chungnam...

10.1080/09670874.2020.1730479 article 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st Management 2020-02-24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면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전국 8개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조사하였다. 농업기술원에서 2011년 8월에 논토양을 채취하여 피라조설퓨론에틸 피리미노박메틸입제를 30kg <TEX>$ha^{-1}$</TEX> 처리하여 설포닐우레아(SU)계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추산하였다. 벼 재배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재배면적 제외)의 20.9%인 167,081ha에서 SU계 논잡초가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08년과 대비하여 본 결과 60,130ha가 늘어났다. 발생비율을 보면, 충청남도가 논 면적의 47.6%로 제일 많이 발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전라남도로 36.9%, 충청북도 25.7%, 강원도 20.3%, 경기도 13.0% 순이었다. 중 발생면적이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65,313ha로 전체 39.1%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이들 3초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생하여 문제되는 잡초들이다. 그리고 미국외풀...

10.5660/kjws.2012.32.2.121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012-06-30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based on economic value, has long been discussed in developed countries. On the other hand, Korea, where history is relatively short, discussions have only recently started. Related to this, a discussion regarding scope buildings that need be protected relation urban planning needed. This study analyzes Jeonju Hanok Village, tourist destination Hanok—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type—is highly concentrated. provides evidence for impact building...

10.3390/su12125005 article EN Sustainability 2020-06-18

본 연구는 전국 논의 재배양식별 잡초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도 농업기술원, 농업 대학 및 관련 연구소 등 11개 기관에서 8도 155개 시 군의 3,434지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현재 우리나라 논에는 일년생잡초가 52종, 월년생잡초 3종, 다년생잡초 35종을 포함한 28과 90종의 잡초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잡초의 과별구성을 보면 화본과 18종, 사초과 17종, 현삼과 8종 마디풀과 6종 순으로 상위 4개 과가 포함하는 49종이 전체의 54%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잡초는 피 17.4%, 물달개비 12.4%, 올방개 7.8%, 올챙이고랭이 6.2%, 벗풀 6.1%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논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판단된다. Surveys of weed species in paddy fields were...

10.5660/wts.2014.3.2.71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4-06-30

Abstract A 2‐year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Daejeon, South Korea, to investigate changes the growth parameters of rice plants during and model yield loss as affected by competition with Leptochloa fusca , Bidens frondosa Ammannia coccinea under transplanted cultivation. Compared B. A. L. significantly reduced number tillers at early stage, resulting more reduction panicles other components such spikelets, ripened grain ratio ultimate later stage. Among components, panicle most...

10.1111/wre.12650 article EN Weed Research 2024-06-18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면적은 국립농업과학원과 전국 8개도 농업기술원 공동으로 2011년과 2012년에 조사하였다. 3,200지점에서 논흙을 채취하여 피라조설퓨론에틸 피리미노박메틸입제를 30 kg <TEX>$ha^{-1}$</TEX> 처리하여 설포닐우레아(SU)계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추산하였다. 벼 재배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재배면적 제외)의 22.1%인 176,870 ha에서 SU계 논잡초가 발생되었다. 발생비율을 보면, 전라남도가 논 면적의 44.3%로 제일 많이 발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충청남도로 30.5%, 충청북도 27.8%, 강원도 24.5% 순이었다. 중 발생면적이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전체 32.2%(57,018 ha)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밭뚝외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eight province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investigated...

10.5660/wts.2013.2.3.318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3-09-30

우리나라 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각 작목별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4년 4~5월 및 7~8월에 2회 실시하였다. 잡초는 총 50과 375종으로 국화과 73종, 화본과 44종, 마디풀과 25종, 십자화과 21종, 콩과 20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62종, 월년생 78종, 다년생 135종이었다. 보리, 마늘, 양파 등 동계작물 재배지에는 45과 287종, 고추, 콩, 옥수수 하계작물 47과 339종이 발생되었다. 우점도별 상위 10초종은 바랭이, 쇠비름, 깨풀, 흰명아주, 속속이풀, 돌피, 한련초, 중대가리풀, 냉이, 참방동사니 외래잡초는 25과 129종으로 개비름, 망초, 좀명아주, 미국가막사리, 털별꽃아재비 등이었다. 밭잡초 발생정보는 향후 잡초발생 예측, 잡초군락 변화 그리고 방제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urveys of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10.5660/wts.2015.4.3.159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5-09-30

본 연구는 국내 외에서 수집한 동부 유전자원 245점에 대한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육성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일수는 41~50일(51.5%), 51~60일(43.7%), 등숙일수는 21~30일(53.9%), 31~40일(23.7%), 생육일수는 71~80일(26.9%), 81~90일(23.4%) 순으로 많이 분포하였다. 2. 신육형은 무한형 72.7%, 중간형 25.7%, 및 유한형 1.6%, 초형은 포복형 78.8%와 직립형 21.2%, 잎 모양은 심장형 98.4%와 피침(결각)형 꽃색은 보라색 85.2%, 백색 13.6% 연주색 1.2%씩 3. 성숙 꼬투리색은 갈색 54.7%와 황갈색 37.6%, 착협위치는 아래로 향함 90.6%, 중간 5.7% 곧추섬 3.7%씩 4. 종피색은 25.3%, 흑색 23.3%, 20.8%, 종자모양은 계란형 66.9%, 장방형 24.9%, 신장형 8.2%씩 5. 협장은 10.1~20.0...

10.7740/kjcs.2013.58.1.001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13-03-31

본 연구에서 국내의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생태계교란식물 9종의 지역적 알아보기 위해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단풍잎돼지풀과 돼지풀은 전국적인 보였으나 단풍잎돼지풀은 경기북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경우에는 강원 및 전라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미국쑥부쟁이는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 있었으며, 가시상추의 경우 서북-동남 방향으로 서양금혼초는 제주도에 도깨비가지는 주로 경기 동부 애기수영과 가시박의 산발적으로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로 서양등골나물은 연천군의 과수원 밭작물 재배지에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포는 비농경지와 거의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농경지의 생태적 지위가 다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물의 수량 품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잡초를 관리해야한다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주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제거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각 생태계 교란식물의 효율적인 방제를...

10.5660/wts.2017.6.2.117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7-06-30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발생 양상과 잡초로 인한 피해정도를 파악하여 곰취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5회 조사하였다. 잡초는 37과 104종으로 일년생잡초가 55종, 월년생잡초 25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24종이었다. 이 중에서 외래잡초는 26종이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명아주, 쇠별꽃, 돌피, 망초, 쑥 등이었으며, Ordination PCA 분석한 결과, 고마리-미국가막사리 군락, 명아주 군락 냉이 군락으로 분석되었다. 잡초에 의한 곰취의 피해 정도를 곰취 뿌리 무게로 비교한 잡초관리구에 비교하여 잡초방임구가 56% 작아져서 이듬해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tilize the basic data for weed control by surveying occurrence of species and degree damages caused those...

10.5660/wts.2014.3.2.95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4-06-30

열대피와 같은 논농사지역의 악성잡초는 국내에 유입될 경우 문제 잡초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입되는 초기에 방제가 될수 있도록 정확한 동정이 되어야한다. 그러나 피속 잡초는 형태적으로 연속변이가 많이 존재하여 종간 구별이 매우 어려운 잡초이다. 본 연구는 미국 NPGS에서 분양받은 국내에서 채집한 돌피와 논피를 고등식물 표준바코드 마커 rbcL과 matK를 이용하여 바코드하고, 추가적으로 핵 DNA ITS 부위를 바코드하여 구간과 구간의 열대피를 동정할 수 있는 능력과 바코드 활용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rbcL은 0.36%, matK는 0.29%, ITS는 3.2%의 열대피 특이 염기서열이 조사되었고 Neighbor-joining 계통수에서 종별 유집이 뚜렷하게 나타나 마커와 모두 쉽고 간편하게 국내의 돌피, 논피와 있었다. 특히 분석구간은 짧지만 논피, 정확하게 구분해낼 있어서 단독으로 동정에 활용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Echinochloa colona is...

10.5660/wts.2015.4.3.225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5-09-30

The genus Echinochloa (L.) P. Beauv. is a very difficult due to many interspecific and intraspecific forms found in the nature. This still taxonomically controversial absence of reliable morphological characters, resulting poor taxonomic understanding genus. It has approximately 3040 species, mainly distributed tropical warm temperate regions, usually associated with wet or damp places, world (Clayton Renvoize, 1999). includes some noxious weeds, such as E. crusgalli Beauv., oryzicola...

10.5660/wts.2014.3.3.190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4-09-30

논잡초의 발생상황 및 농가수준에서 논 제초제 사용을 파악하여 농가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전국 농업인 1,029명을 대상으로 논에서의 우점잡초, 선호 제초제, 논제초제의 사용방법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논에 발생하는 우점잡초로는 피, 물달개비, 벗풀,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순이었으며, 저항성잡초로 의심되는 초종은 논피(강피), 올미 등으로 응답하였다. 제초제의 사용 선정은 자기 경험에 의한 것이 34.0%, 농약판매상 추천이 33.9%이었다. 농가에서 한번만 제초제를 처리하는 경우는 15.6%인 반면에 2회 농가는 75.6%이었다. 선호하는 제초제는 옥사디아존유제, 뷰타클로르입제, 뷰타클로르캡슐현탁제, 메페나셋 피라조설퓨론 에틸액상수화제, 옥사디아길유제 경엽처리제 중에서는 벤타존 엠시피에이액제, 사이할로포트 뷰틸미탁제가 각각 48.5%, 22.3%로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이었다. A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10.5660/wts.2012.1.4.006 article EN Weed & Turfgrass Science 2012-12-31

Echinochloa oryzoides (Ard.)Fritsch (Na-do-non-pee), was found at paddy fields of Jeonranamdo on a large scale after first discovery Masan, Kyeongsangnamdo.This species not easily distinguished from rice before flowering the field because similar morphology to rice.It is, however, other Korean by reliabl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horizontal or drooping panicles maturity, lower glumes with usually 1/4-2/5 long spikelets, awned lemmas, and number chromosomes, 2n = 54.Echinochloa...

10.11110/kjpt.2013.43.1.56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13-03-29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