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ural and Behavioral Psychology Studies
- 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Studies
- EEG and Brain-Computer Interfaces
- Eating Disorders and Behaviors
- Creativity in Education and Neuroscience
- Aging and Gerontology Research
- Cardiovascular Disease and Adiposity
-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Research Studies
- Cognitive Abilities and Testing
- Sport Psychology and Performance
- Motor Control and Adaptation
- Heart Rate Variability and Autonomic Control
- Cerebral Palsy and Movement Disorders
- Motivation and Self-Concept in Sports
- Behavioral Health and Interventions
- Family and Disability Support Research
- Infant Development and Preterm Ca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2019
Gwangmyeong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2019
Abstract We investigated whether cognitive decline could be explained by resting-state electroencephalography (EEG) biomarkers measured in prefrontal regions that reflect the slowing of intrinsic EEG oscillations. In an aged population dwelling a rural community (total = 496, males 165, females 331), we estimated global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nd parameters at Fp1 Fp2 eyes-closed state. Using tertile split method,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3 (MMSE 28–30, N 162), T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assisted aquatic movement and horseback riding therapies on emotion brain activa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Subjects Methods] Thirty-two right-handed palsy (18 male, 14 female) whose ages ranged from 8 48 years participated experiment. Their levels 1 3. participants were assigned one three groups according experimental conditions: an therapy group, a or control group. Electroencephalograms, Feeling Scale Felt Arous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ontal executive functions exercise addicts, moderate exercisers, and avoiders. We hypothesized that addicts avoiders would have poorer compared exercisers.The Korean Exercise Addiction Scale administrated recruit participants. Electroencephalogram recorded at scalp sites.The results showed P3 N2 latencies were shorter in addiction group than avoidance groups. exercisers faster response time avoiders.P3 amplitudes discussed terms functions.Th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rontal executive functions of a badminton addiction group (BAG), moderate (MBG), and avoidance (AG). Korean Exercise Addiction Scale was used evaluate each participant’s status. An oddball paradigm adopted using Go/NoGo tasks with auditory stimula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N200 P300 amplitudes latencies. results revealed that MBG exhibited larger amplitude than did BAG AG, whereas latency found be shorter in AG. observed smaller AD, while AG...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운동중독자의 신경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한국형 운동중독설문지를 13명(평균나이= 23.5, 표준편차=2.7)의 운동중독자를 선정하여 자기공명영상(fMRI)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가 fMRI 챔버에 들어간 후 머리맡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 자극을 제시했다. 피험자에게 제시한 자극은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장면과 중립자극(예: 운동과 관련이 없는 풍경사진)이었다. 연구결과 운동중독자들에게 장면을 보여주었을 때 전방 대상피질, 안와전두피질, 편도, 해마, 전전두피질 등이 활성화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동중독이 다른 유형의 중독과 유사한 공유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연구에서 활성화 된 영역은 약물 있는 영역이다. 하지만 약물중독과 심리 및 생리적으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신경생리학적으로 약물과 신경적 가지고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왜 운동장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도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유아, 초등 및 중등 학생의 방향편향을 위함이다. 피험자는 영유아기(40명), 초등학교(40명) 그리고 중학생(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유아기 피험자의 과제는 부모가 정면에서 부를 때 다가오는 방향을 측정했고, 중등학생의 출발점 A, B, C 에서 지정된 목표점 1, 2, 3, 4, 5에 스티커를 붙이고 돌아오는 것이었다. 종속변수는 좌우 방향편향이었다. 분석은 이항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영아기에는 방향편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의 경우 좌편향이 나타났다. 중학생의 경우에도 영아기와 마찬가지로 편향이 하지만 시선조건을 주었을 때는 왼쪽 출발 시 결과는 왼쪽에서 출발하면 오른쪽 출발보다 시각적 안내의 편리성과 시각 장의 선호도가 방향편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상능력에 대한 대뇌 활성화와 심상질문지(Questionnaire upon mental imagery: QMI)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참여자는 심상 연구에 사전 경험이 없는 22명의 대학생(평균나이:22.68세, 남자:10명, 여자:12명)으로 하였다. 기능자기공명명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은 90시간의 심상훈련(1시간 30분, 주 3회, 5개월) 전과 후에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1) 훈련 후 심상능력이 향상되었다. 2) 심상질문지 점수와 관심영역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좌 · 우측 중심전회 영역과 보조운동 영역). 3) 혈중산소 의존도 신호 값에서는 좌측 영역에서 감소하였고, 보조운동영역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내측 전두회, 전대상회, 양측 피각에서 활성화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한 심상질문지와 중 대뇌(cerebrum) 활성화 사이에 있는 결과는 심상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