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Diverse Topics in Contemporary Research
-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 Media Influence and Health
- Social Media and Politics
- Education and Learning Interventions
-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 Asian Culture and Media Studies
- Media Studies and Communication
- Digital Marketing and Social Media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Public Relations and Crisis Communication
- Technology Adoption and User Behaviour
- Technology and Data Analysis
- Consumer Behavior in Brand Consumption and Identification
- Impact of Technology on Adolescents
- Social Capital and Networks
- Eating Disorders and Behaviors
- Media, Gender, and Advertising
- Social and Intergroup Psychology
- Medical Research and Treatments
-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Aid
- Cultural and Educational Studies
- Retirement, Disability, and Employment
- Nonprofit Sector and Volunteering
Hanyang University
2004-2015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10
Sungkyul University
2003
Using a controversial issue in South Korea, government plan to relocate the administrative capital, this study examines attribute agenda setting. Linking survey data an analysis of news coverage, more specifically, article explores how television has influenced way public evaluates and its various attributes, i.e. potential benefits problems relocation. Findings support idea that media could increase salience certain attributes by placing them prominently coverage. An important outcom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role negative emotions in framework situational theory problem solving (STOPS). First, we tested validity original STOPS model with a sex crime issue context Korea. Second,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communicative action. result suggests that is useful Korean context. Also, our proposed shows serve as another aspect motivation, emotional experiences might precede subsequent cognitive activities. Especially, show stronger...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osure "thin" media images and two mediating variables, upward comparison perceptions thinness as realistic, on Korean females' body image dissatisfaction eating disturbance. In Study 1, college females exposed thin in magazines ads indicated a greater level with models, such mediated 2, where participants presented characters various TV shows, no significant found proposed variables. As was predictor female students'
Analyzing data from a telephone survey of South Korean respondents, this study explored facilitating and inhibiting effects mass media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or effect is dependent specific types content presented by media.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United States, our supported idea new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tivating participatory behaviors. Contrary to procivic role, however, we found viewing entertainment television programs may...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f third person effect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individuals overestimate mass media on others (Davidson, 1983). It is predicted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effects self vs. other will be greater in an individualistic than collectivistic culture, because latter and are not as separate motivation for self-enhancement salient forme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671 South Korean ( n =351) U.S. =320)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news priming, which refers to media’s influence on standards by public evaluates political figures. Linking survey data an analysis issue coverage, we look into whether television in South Korea affects way citizens evaluate president. Our findings provided support for priming hypothesis. There was a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prominent issues and important dimensions presidential evaluation among respondents. We also found that effects were largel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인도스먼트 영향력에 관여하는 인플루언서 개인의 특성, 콘텐츠의 그리고 인플루언서와의 의사사회 상호작용 등의 변인이 인플루언서가 추천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전 의도와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 검증하였다. 방법 편의 표본으로 추출된 수도권 충남 지역 대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특성(신뢰성, 진정성, 신체적 매력, 사회적 매력)과 콘텐츠 특성(전문성, 편집 기술, 오락성, 인지된 상업성), 상호작용(인지적, 행동적)이 미치는 검증하였다. 결과 유튜브 신뢰성과 전문성, 상업성은 제품에 모두 영향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정성은 의도에, 매력성은 각각 부적인 나타났다. 인지적 상호작용은 의도 모두에 미치지 않는 반면, 행동적 정적인 또한 특성이 각각에 영향에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 나타났다. 논의 결론 기업의 소통 채널로서 증가하고 있는 제3자 인도서로서...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 상황에 대한 인식과 환경죄책감이라는 정서가 온라인 액티비즘의 매개적 역할을 거쳐 탄소저감행동과 같은 친환경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36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탄소저감행동에 유의미한 직접적 연관을 보이는 것은 지구온난화에 문제인식과 제약인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액티비즘은 정(+)적인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온라인상에서 좋아요, 댓글, 공유 등의 소통 활동이 긍정적 분석한 결과, 관련한 문제인식 및 제약인식과 탄소저감행동 간에 부분적 매개를 반면 관여도와 정서적 요인인 환경죄책감은 통해서 탄소저감행동으로 연결되는 완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행동을 촉진하고 위해서는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대응은 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조직에서 이미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이슈이며 일반 공중의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스토리텔링(Storytelling) 기법은 마케팅, 광고, 저널리즘, 교육 등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각광받고 있는 제작 기법으로 2000년대에 들어서 국내 공공 캠페인에서도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고 추세다. 본 연구는 중앙 및 지방 정부기관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집행한 TV 공익광고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이 적용된 살펴보았다. 지난 10년 동안 제작된 489편의 스토리텔링, 정보전달, 이미지 광고 등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한 결과, 기법을 활용한 광고가 178개(36.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170개(34.8%), 정보전달 141개(28.8%)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한 기법의 특징을 탐색, 분석하였다. 먼저, 형식적 살펴본 드라마 형식보다는(82, 46.9%) 비넷 형식의 표현양식(93, 53.1%)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야기 구성유형을 살펴보면, 창작 스토리텔링이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131, 74.9%). 공익광고의 주제로는...
본 연구는 2021년 수립된 탄소중립정책에 관련해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과 지각된 정책효능감이 정책지지 및 정책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아울러 이들 변인관계에 있어 정책리터러시(전통적 · 기능적 비판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성인 응답자 3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설문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탄소중립정책을 더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들의 지각이 높을수록 정보 활용(기능적 정책리터러시)이 적극적이고 평가(비판적 정책리터러시)가 긍정적이다. 셋째, 잘 이해하고(전통적 정책리터러시), 관련 정책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기능적 탄소중립정책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으로(비판적 정책리터러시) 넷째, 정책리터러시의 세 가지 차원 중 긍정적일수록 지지가 마지막으로 참여의도는 높은 한편 살펴본 결과, 정책지지간의 관계에 비판적 정책리터러시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나타났고,...
본 연구는 의학정보 콘텐츠 이용자의 개인 심리적 특성인 건강정보지향과 기술수용모델(TAM)의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 사회규범 변인의 유튜브 신뢰도와 만족감에 대한 영향과 더 나아가 콘텐츠에 이용행동인 지속이용의도와 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편의표본으로 추출된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성인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신뢰도에 변수는 사회규범이었으며, 만족감은 건강정보지향, 기술수용모델(인지된 유용성 용이성), 모두 것으로 나타나 평가(신뢰도, 만족감)에 있어 사회규범과 유용성의 영향력이 높음을 다음으로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미쳤으며, 만족감의 큰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이용의도는 최종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동영상 플랫폼을 활용하여 의학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전문 의료인이 증가하는 가운데 개인적·사회적 요인인 신뢰도 만족감, 요인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콘텐츠의 채택수용에 기술수용모델의 적용가능성 역시...
본 연구는 기업미술관의 미디어 플랫폼이용, 메세나 후원동기, 반 기업정서, 메세나활동의 진정성이 미술관 호감도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30·40대 4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미술관 호감도에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속성 중, 나이와 미술관심도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나이가 어릴수록, 높을수록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이용은 포털사이트, 문화예술APP을 통해 관련 정보를 습득할수록 증가하지만, 일간지와 공식APP을 감소되는 후원동기에 있어서는 응답자가 활동이 자선적이라고 인식할수록 기업미술관에 대한 호감도 증가하였다. 진정성 인식의 경우, 응답자들이 높다고 호감도도 BR 요인들을 검증한 결과, 미술관호감도와 마찬가지로 미디어플랫폼 이용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포털사이트를 기업이미지는 상승하는 반면에 SNS와 인식이 부정적이었다. 후원동기의 상업적 동기와 자선적 동기 모두 정적 반기업정서는 부적 요인인...
본 연구는 모바일 리워드어플리케이션(리워드앱) 광고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20∼30대 238명의 남녀 리워드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광고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광고 이용행동, 광고에 대한 인식, 광고이용 가치 등 3개의 예측변인과 지속적 기억효과, 광고된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의도 등을 광고효과 변인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먼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총 이용기간(β=.331, p<.001)과 정보성(β=.548, p<.001), 그리고 이용가치변인인 보상성(β=.548, p<.001)이 각각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에 유의한 변인으로는 이용기간(β=.164, p<.01), 인식변인 중에서는 오락성을 제외하고 정보성(β=.204, p<.05), 성가심(β=.143, 신뢰성(β=.299, p<.001) 등이 설명력을 그 가운데 신뢰성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성가심 변인의 경우, 광고이용이 성가시다고 느낄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