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nghyeon Eom

ORCID: 0009-0008-6178-7640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Entomopathogenic Microorganisms in Pest Control
  • Insect Resistance and Genetics
  • Insect and Pesticide Research
  • Advanced Nanomaterials in Catalysis
  • Advanced biosensing and bioanalysis techniques
  • Insect symbiosis and bacterial influences
  • Nanoplatforms for cancer theranostics
  •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Synthesis and Applications
  • Biosensors and Analytical Detection
  • Graphene and Nanomaterials Applications
  • Insect Utilization and Effects
  • Molecular Sensors and Ion Detection
  • Inhalation and Respiratory Drug Delivery
  • biodegradable polymer synthesis and properties
  • Insect Pest Control Strategies
  • Extracellular vesicles in disease
  • Microplastics and Plastic Pollution
  • Microfluidic and Bio-sensing Technologies
  • Innovative Microfluidic and Catalytic Techniques Innovation
  • Metamaterials and Metasurfaces Applications

University of Seoul
2023-2024

Andong National University
2012-2015

Obtaining single-molecular-level fingerprints of biomolecules and electron-transfer dynamic imaging in living cells are critically demanded postgenomic life sciences medicine. However, the possible solution called plasmonic resonance energy transfer (PRET) spectroscopy remains challenging due to fixed scattering spectrum a nanoparticle limited multiplexing. Here, multiplexed metasurfaces-driven PRET hyperspectral imaging, probe biological light-matter interactions, is reported. Pixelated...

10.1002/adma.202300229 article EN cc-by Advanced Materials 2023-04-24

Abstract While breathing, alveoli are exposed to external irritants, which contribute the pathogenesis of lung disease. Therefore, in situ monitoring alveolar responses stimuli toxicants under vivo environments is important understand For this purpose, 3D cell cultures recently employed for examining cellular pulmonary systems irritants; however, most them have used ex assays requiring lysis and fluorescent labeling. Here, an alveoli‐like multifunctional scaffold demonstrated optical...

10.1002/advs.202301395 article EN cc-by Advanced Science 2023-05-28

Metasurfaces A metasurface-driven hyperspectral imaging method via multiplexed plasmonic resonance energy transfer is presented by Inhee Choi, Junsuk Rho, Luke P. Lee, and co-workers in article number 2300229. The metasurface chip designed for label-free multifunctional quantitative biological sensing such as reactive oxygen species secretion from the living cells. platform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molecular diagnosis, real-time secretome monitoring, cellular imaging.

10.1002/adma.202370224 article EN Advanced Materials 2023-08-01

Download This Paper Open PDF in Browser Add to My Library Share: Permalink Using these links will ensure access this page indefinitely Copy URL DOI

10.2139/ssrn.4756055 preprint EN 2024-01-01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는 포자 형성과 더불어 살충성 Cry 독소단백질을 생산한다. 독소단백질은 대상 곤충의 중장에 위치한 수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살충작용을 발휘하기에 비티의 적용해 충범위가 비교적 좁다. 본 연구는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서로 다른 네 가지 비티 균주에서 분리된 각각 좁은 적용해충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혼합한 결과 적용범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벡큘로바이러스가 적용범위를 증가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해 Cry1Ac 또는 Cry1Ca 발현시키는 재조합바이러스로 검정한 벡큘로바이러스는 독소단백질의 데 유효하지 않았다. Xenorhabdus nematophila (Xn) 세균 배양액은 조사된 모든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고 증가시켰다. 이 Xn 세균배양액을 혼합 독소단백질에 추가한 모두 An entomopathogenic bacterium, (Bt), can sporulate along...

10.7585/kjps.2014.18.3.181 article E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2014-09-30

곤충병원성세균 Xenorhabdus nematophila (Xn)의 일부 대사물질은 대상 곤충의 phospholipase <TEX>$A_2$</TEX> (<TEX>$PLA_2$</TEX>)를 억제하여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활성을 저해시킨다. 그러나 이들 세균 대사물질이 억제하는 <TEX>$PLA_2$</TEX>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Xn의 배양액에서 화학구조가 동정된 8 가지 대사물질들은 두 종의 나비목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과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유충에 대하여 살충 보유했다. 특별히 물질은 모두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의 살충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파밤나방의 세포성 인지질 분해효소(<TEX>$SecPLA_2$</TEX>)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과발현시켰다. 분리된 <TEX>$SecPLA_2$</TEX>를 지방체에서 얻은 인지질과 반응시켰을 때 여러 다가불포화지방산을 해리시켰다. 이...

10.5656/ksae.2014.08.0.027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2014-09-01

To enhance Bacillus thuringiensis (Bt) efficacy, four Cry toxins were purified from different Bt strains and assessed in their combined efficacy.The mixtures significantly expanded target insect spectra.Bacterial culture broth of Xenorhabdus nematophila (Xn) suppressed cellular immune response increased toxicity.The addition Xn to mixture enhanced efficacy spectrum insecticidal activity.

10.7585/kjps.2015.19.3.301 article E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2015-09-30

곤충병원세균(Bacillus thuringiensis: 비티)의 살충효과를 증가시킨 미생물살충제 "비티플러스"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수화제 형태의 비티플러스는 농가나 산업체에서 높은 단가로 선호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액상 제형의 비티플러스를 개발하는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먼저 비티플러스 제조에 포함되는 두 세균 배양액의 최적 혼합 비율을 결정하였다. 이 혼합액은 10%의 에탄올을 보존제로 사용되었으며, 비티와 또 다른 곤충병원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a (Xn)의 배양액 비율이 5:4 (v/v)로 제조하게 했다. 또한 액상제형이 1,000 희석배수에서 효과를 보이기 위해 비티 배양액을 10 배 농축하여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제형을 발육후기 유충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이 가해를 하는 배추밭에 처리하여 7일 후 약 77%의 방제 보였는데, 처리 효과는 현재 상용화되는...

10.5656/ksae.2013.04.1.086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2013-06-01

Alveoli-Like Multifunctional Scaffolds A metal-organic framework and gold nanoparticles in a porous backbone organize novel alveolilike multifunctional scaffold. It allows for label-free detection real-time monitoring of the cellular behaviors under toxic-conditions via redox-active amperometry nanospectroscopy. More details can be found article number 2301395 by Seonghyeon Eom, So Yeon Lee, Jung Tae Park, Inhee Choi.

10.1002/advs.202370156 article EN cc-by-nc Advanced Science 2023-08-01

곤충병원세균인 제노랍두스(<TEX>$Xenorhabdus$</TEX> sp.)는 곤충병원선충인 <TEX>$Steinernema$</TEX> <TEX>$monticolum$</TEX>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 세균 배양액을 배추좀나방(<TEX>$Plutella$</TEX> <TEX>$xylostella$</TEX>) 혈강에 주입할 경우 높은 병원력을 나타내지만, 섭식 처리할 낮은 보였다. 본 연구는 제노랍두스 배양액이 <TEX>$Bacillus$</TEX> <TEX>$thuringiensis$</TEX>(비티)와 혼합하여 배추좀나방 종령충에 비티의 뚜렷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또한 배양액과 혼합비율을 달리할 병원력이 크게 차이를 최적의 두 이용하여 야외에 발생한 배추좀나방에 처리하였으며, 비티 단독처리에 비해 뚜렷이 상승된 방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티와 새로운 미생물 살충제로 개발할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The entomopathogenic...

10.5656/ksae.2011.12.0.076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2012-03-01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