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 Plant and animal studies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Forest Management and Policy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Species Distribution and Climate Change
- Diverse Topics in Contemporary Research
- Fire effects on ecosystems
- Light effects on plants
- Forest Ecology and Biodiversity Studies
- Land Use and Ecosystem Services
- Plant responses to elevated CO2
-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 Remote Sensing and LiDAR Applications
- Isotope Analysis in Ecology
- Greenhouse Technology and Climate Control
- Plant Water Relations and Carbon Dynamics
- Cephalopods and Marine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1-2025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3
토종어류를 이용한 효율적인 생태학적 모기 방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서산지역에 서식하는 이용하여 모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알아보았다. 어류 종류별에 따른 모기유충 포식률과 온도차에 포식활동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TEX>$32^{\circ}C$</TEX>의 환경에서는 왜몰개가 가장 높은 포식률을 보였고 미꾸라지가 낮은 보였다. 반면 온도의 왜몰개와 얼룩동사리가 빠른 시간에 보인 반면, 미꾸라지는 온도와 상관없이 6종 중에 포식률이 낮았다. 수심에 종류별 포식률은 참붕어가 수조의 아랫부분에서, 붕어와 얼룩동사리는 수조 바닥부분에서 보였고, 모기유충을 섭식하였다. 그리고 대륙송사리는 수표면에서 95%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3종을 선정하여 50마리를 포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왜몰개 2마리는 10분, 대륙송사리 21분 미꾸라지 45분이 걸렸다. 미꾸라지와 왜몰개를 각각 1마리씩 넣었을 때는 8분, 대륙송사리를 17분이 To assess on the...
증가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도상승에 따른 멸종위기 수생식물 독미나리의 생태학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대조구, 온도상승구, 그리고 <TEX>$CO_2$</TEX>+온도상승구에서 생육시킨 결과를 비교하였다. 지상부 길이는 온도상승구 <TEX>$CO_2$</TEX>+온도상승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분얼 수는 <TEX>$CO_2$</TEX>+온도상승구 순으로 증가했다. 복산형화서의 대조구와 온도상승구에서 같았고, 감소했다. 소산형화서의 없었다. 종자형성률은 온도상승구와 <TEX>$CO_2$</TEX>+온도상승구가 대조구보다 감소했고, 이상으로 보면, <TEX>$CO_2$</TEX>농도와 온도상승은 길이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증가시키고 종자생산은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독미나리는 지구 온난화 조건이 되면 종자생산보다 분얼을 늘려 무성번식 경향이 증가될 것이며, 이러한 개체군 생장을 연구하는 것은 멸종위기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effect of...
Abstract Background The sunfleck is an important light environmental factor for plants that live under the shade of trees. Currently, smartfarm has a system can artificially create these sunflek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find optimal conditions by measuring and analyzing photosynthetic responses Eutrema japonica (Miq.) Koidz., plant living in with high economic value artificial sunflecks. Results For this purpose, we used LED pulsed as simulated sunflecks set frequency levels six...
Temperature increase is a major concern with regard to climate change and species survival. This study sought assess the adaptability of wetland flora in South Korea future temperature increases their habitats. risk assessment includes analysis four vulnerability types classified graded based on relational patterns between species' populations current habitat temperature. Then, risks changes for individual were assessed by analyzing increasing speed Korea. The final categorized into grades:...
Background: To assess the carbon sequestration capacity and net ecosystem productivity (NEP) of Quercus glauca forests, we analyzed primary (NPP), storage, emission soil in a Q. forest on Jeju Island (South Korea) from 2016 to 2018.Results: The average stock above-and below-ground plant biomass was 223.7 Mg C ha -1 , while amount organic fixed by photosynthesis 9.8 yr NPP 9.6 .Stems branches contributed majority standing NPP.The heterotrophic 8.7 NEP 1.1 .Although stock, ab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