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Heavy metals in environment
- Soil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 Soil and Water Nutrient Dynamics
- Water Quality and Pollution Assessment
- Plant Stress Responses and Tolerance
- Coal and Its By-products
- Phosphorus and nutrient management
- Rice Cultivation and Yield Improvement
- Crop Yield and Soil Fertility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Aquatic Ecosystems and Phytoplankton Dynamics
- Environmental and Agricultural Sciences
- Mine drainage and remediation techniques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Polymer-Based Agricultural Enhancements
- Soil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Analysis
- Soil and Unsaturated Flow
- Arsenic contamination and mitigation
- Environmental Quality and Pollution
- Chromium effects and bioremediation
- Reg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 Urban Stormwater Management Solution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2021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8-201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2015
Glutathione (GSH) plays diverse roles in the physiological processes, stress defens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exogenous GSH on biochemical responses reactive oxygen species antioxidant levels rice (Oryza sativa L. cv. Dasan) seedlings under arsenic (As) stress. As treatment inhibited growth; increased level superoxide, hydrogen peroxide, malondialdehyde; enhanced uptake by roots shoots hydroponically grown 14-day-old seedlings. Furthermore, it...
The role of ascorbate (AsA) in antioxidant defense system-associated resistance to cadmium (Cd) oilseed rape plants has not yet been clearly demonstrated.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ritical exogenous AsA o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systems ( Brassica napus L. cv. Tammi) seedlings exposed Cd. Cd (10 μM) treatment led significant reductions plant growth; increases levels superoxide anion radical, hydrogen peroxide, malondialdehyde;...
The antioxidant glutathione (GSH) mitigates adverse physio-metabolic effects and defends against abiotic types of stress, such as cadmium (Cd) stress. However, its function role in resisting Cd phytotoxicity by leveraging plant antioxidant-scavenging, redox-regulating, hormone-balancing systems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systematically demonstrated the Cd-hyperaccumulating Brassica napus L. cv. Tammi (oilseed rape). In this study, exogenously applied GSH to leaves B. seedlings exposed (10...
BACKGROUND:Monitoring of the dynamic changes chemical properties in agricultural land is very important for sustainability.Chemical soils Korea have been investigated at four-year interval order paddy, plastic film house, upland, and orchard since 1999.METHODS AND RESULTS: Total 8,160 topsoil samples were taken from upland 2001, 2005, 2009, 2013, 2017, respectively.Soil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OM), available phosphate (Avail.P 2 O 5 ), exchangeable...
BACKGROUND: Increase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ecosystem has become a social issue nationwide as it is related to public health. This review was performed find out more systematic and integrated future researches on using up date articles published the Korean journals environment. METHODS AND RESULTS: Researches soils plant uptake were categorized by establishment criteria, analytical methods, monitoring, management source, characteristics behavior soil, uptake, bioavailability...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하류 수계의 환경오염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수계 내 하천수질, 퇴적토양 및 인근 논토양에 대한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8~0.035 mg/L)는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0.01 mg/L)을 초과하였고, 미량성분 중 Zn, Fe Mn 함량도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Zn 2.0, 5.0, 0.2 mg/L)를 초과 하였다. 광산 논토양의 Pb, Zn 평균함량은 농경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Pb 200, 300 mg/kg)을 하였고, 오염지수 평균치는 상리가 1.2로 내리지역0.45보다 높게 나타났다. 퇴적토의 Cd, Pb 함량은 하천용지의 우려기준(Cd 10, 400, 600 초과하였다. 또한 오염지수(PI)는 상리지역 0.98~7.32, 내리지역 0.34~5.27로 지점별 편차가 컸으며, 1km 지점 합류지점(SN-1, SN-2)까지 오염된 것으로...
BACKGROUND:Water-born pollution loads by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NPS) are expected to become intensified due ongoing precipitation change.Therefore, it is essential develop a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that suitable environments in Korea.This study aimed an environmental-friendly BMP reduce NPS load activities.An eco-friendly way, small drainage pond, was suggested this avoid direct of runoffs and eventually the amount pollutants discharged into surrounding...
Environmental pollution with arsenic (As) in croplands causes agricultural and health problems worldwide. Rice is an important crop South Korea, many studies hav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s glutathione (GSH) to alleviate uptake from soil into plants. However, information about ascorbate (AsA) rice seedlings still limited regard phytotoxicity. We therefore investigated chang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tioxidant levels (Oryza sativa L. cv 'Dasan') toxic and/or AsA...
광산주변의 광해대책 없이 방치된 대부분의 잔류광미는 광산지역의 하류 농경지뿐만 아니라 재배 작물의 중금속 오염의 주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폐금속광산의 오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25개 광산 주변에서 채취한 광미를 대상으로 수용성, 산가용성 및 전함량 중금속을 분석 검토하였다. 광미 중 수용성 무기이온들의 함량은 <TEX>${SO_4}^{2-}>Ca^{2+}>Mn^{2+},\;Na^+,\;Al^{3+}>Mg^{2+},\;Fe^{3+}>Cl^-$</TEX>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pH, EC, <TEX>${SO_4}^{2-}$</TEX> <TEX>$Ca^{2+}$</TEX> 광산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광미중의 전함량은 Cd 31.8, Cu 708, Pb 4,961, Zn 2,275 As 3,235 mg/kg이었고, Cd, As는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대책 기준을 초과하였다. 전함량에 대한 비율은 > 높게 나타나 토양 환경내에서 이동성이 높은 순위와...
본 연구는 낙동강 하류 20개 지점에 대하여 주위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상과 군집구조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은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은 총 94속 196 분류군이 동정되었는데, 여름에 124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반면 겨울에 69분류군으로 적은 출현하였다. 지점별 출현종수는 하구인 지점 20에서 92분류군으로 많았고 8에서 55분류군으로 적게 분류군별 출현비율은 모든 계절에서 규조류(diatoms)가 40% 이상으로 높았고 녹조류(green algae)가 20%, 다음으로 남조류(blue-green algae)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생태적 주요종은 60 조사되었는데, 그 중 광분포종은 46분류군, 오염지표 종 25분류군, 적조원인종 21분류군, 우점종 8분류군, 출현빈번종 7분류군이었다. 지점간 유사도지수에 의한 군집분석의 결과, 지점은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졌다. Th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long-term effect of organic waste treatment on fate heavy metals originated from wastes, together with examination changes in soil properties. For this, soils received three different wastes (municipal sewage sludge, alcohol fermentation processing pig manure compost) rates (12.5, 25, 50 ton/ha/yr) for 7 years (1994 - 2000) were used. To see effect, plant growth and conducted twice 2000 2010, respectively. There no additional post ten after...
태안지역 영농기 빗물의 중금속 농도 및 부화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과 2003년 4~10월 사이에 빗물을 채수하여 분포와 가중평균 변화, 화학성분과의 관계 부화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빗물 중 화학성분 함량은 조사 시기에 따라 함량변이가 심하였고, 강우량 대비 pH의 값은 5.0~5.1 수준이었다. 가중평균은 Pb > Zn Cu Ni As Cr Cd 순이었고, 비교하여 2003년에 Cu, Pb, 성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강우중의 주 이온성분(<TEX>${NH_4}^+$</TEX>, <TEX>$Ca^{2+}$</TEX>, <TEX>$Mg^{2+}$</TEX>, <TEX>$K^+$</TEX>, <TEX>$Na^+$</TEX>, <TEX>${SO_4}^{2-}$</TEX> <TEX>${NO_3}^-$</TEX>)은 As, Cd, Zn, 성분함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농도분포를 이해하기 부화계수(Enrichment factor)를 조사한 결과, 부화계수...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수계의 수질오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광미댐 침출수 및 하류 하천수의 화학성분 미량금속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변 침출수의 pH 값은 <TEX>$5.8{\sim}6.9$</TEX> 사이로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이였다. 주 주요 용존 평균치는 EC 1.77 dS/m, <TEX>$SO_4^{2-}$</TEX> 929, <TEX>$K^+$</TEX> 14.6, <TEX>$Ca^{2+}$</TEX> 263.3, <TEX>$Mg^{2+}$</TEX> 46.9 mg/L 이였다. 특히 중 값과 농도는 벼의 농업용수 피해한계 농도 (EC 1.0 54.0 mg/L)를 상회하였다. 광산 Cd 평균 농도(<TEX>$0.016{\sim}0.021\;mg/L$</TEX>)는 수질기준인 0.01 mg/L을 초과하였고, 최고치는 수질기준의 4배정도 높았다. 또한 미량금속 Zn, Fe Mn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Cd 0.01, Zn...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오계2리 SCB 액비를 시용한 논에서 수질환경 부하 저감을 위한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첫째, 액비가 시용된 경지정리된 논에서는 시용 직후부터 이앙 후 3주까지 물 흘러대기를 금지하여 양분의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시비효율을 높이는 방안, 둘째, 최소 20일 전에 시비하여 토양 중 양분 보유 능력을 높여 작물의 이용효율을 셋째, 액비 살포 바로 경운시 담수심을 5 cm내외로 유지하여 환경부하 저감 및 용수절감 효과를 넷째,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변성 대장균은 논에 48시간 후부터 소멸되기 시작하므로 2일 동안 물꼬를 막아 논 표면수의 유출을 억제하여 대장균에 의한 인근 하천 수계 오염을 저감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연구에서는 시용하는 평탄지 수행한 연구결과로 패턴이 다른 곡간지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논은 대부분 시용이 용이한 논으로 연구결과들은 외부 부하를 방지하기 영농지도 자료로...
Heavy metal (HM) pollution in agricultural lands and water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social industrial activities, such as mining smelting. Moreover, HM contamination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dversely influences on the safety of production. This study established concentrations arable near complexes Gangwon (GW), Chungnam (CN), Jeonnam (JN), Gyeongnam (GN) South Ko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600 sites nearby 60 selected provinces. Eight HMs (Cd, Cu, Pb, Zn,...
공업단지 인근 중금속 복합오염 농경지에서 오염 특성과 재배작물인 미나리중에 흡수 축적된 중금속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토양내 중금속의 상대적인 오염평가지수, 미나리의 축적양상 및 식물흡수도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토양의 화학성분은 일반 논토양보다 대체로 높았으며, 특히 토양 pH및 치환성 Ca 함량이 매우 높았다. 중 Cd Cu 농도가 우리나라 토양환경기준을 초과하였고, 년차별 0.1N-HCl 추출 가용성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염지수(PI) 그 편차는 재배토양 보다 농수로 퇴적토양에서 높았고, 중금속별 지화학적농축계수(Igeo)는 Cu>Cd>Ni>Zn>Pb 순이었다. 전함량에 대한 침출성 함량 비율은 Cd>Cu>Zn>Ni>Pb 순이었고, 관계에서 Ni 성분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미나리 부위별 중금속은 대부분이 뿌리에 축적되었으며, 지상부로의 이행지수(TF)는 Zn Cu가 높은 경향이었다. 식물 흡수도는 비나리 부위 성분별로 큰 차이를 보였고,...
A new Korean standard for the determination of Cr(VI) in soils has been officially published as ES 07408.1 2009. This analytical method is based on hot alkaline digestion and colorimetric detection prescribed by U.S. EPA 3060A 7196A. The accomplished using 0.28 M <TEX>$Na_2CO_3$</TEX> 0.5 NaOH solution (pH 13.4) at <TEX>$90{\sim}95^{\circ}C$</TEX> determines total extracting all forms Cr(VI), including water-soluble, adsorbed, precipitated, mineral-bound chromates. aggressive digestion,...
본 연구에서는 버섯류 5품목에 대한 중금속 (As, Cd, Pb, Hg)의 함량을 조사하고 확률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버섯류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표준인증물질을 분석한 결과 98.03~104.06%의 회수율을 얻었다. 주산지역의 5종을 각 품목당 30종씩 모니터링한 결과, 비소의 평균함량은 0.035 mg/kg, 카드뮴은 0.017 납은 0.043 수은은 0.004 mg/kg으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EU 기준 (Cd 0.2 Pb 0.3 mg/kg) 대비 모두 이하였다. 중 노출 기여도가 높은 버섯은 표고>느타리>양송이 순이었으며, 5종 평가 위해지수 1.0 이하로 위해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소, 카드뮴, 납, 수은을 합산하여 위해지수를 일반인의 경우 0.003, 고섭취군인 0.008로 인체 확인하였으며, 모든 식품 노출량에 기여도를 감안하면 식이를 통한 안전에는 문제가 판단된다. BACKGROUND: Many...
Recently, special attention has been givento acid rain and its problem to environment such as precipitation air pollution in East Asia.In the present study, rainwater samples werecollected from Apr Oct (farming period) Nov Mar (non-farming 2009 ~ 2011. The were chemically characterized for assessment of emission sources. Suwon region, a typical agricultural area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was chosen study site. content ionic species theirtemporal variation used forfactor analysis, which...
A wide diversity of liquid fertilizers and composts produced from the livestock manure in Korea is commonly applied to agricultural lands as an alternative chemical fertilizers. However, their effects on crop production environmental impacts are still vagu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understand pig manure-based fertilizer growth Zea mays L. soil properties. Four different were treated each cultivated upland plot located Gyeong-gi province, while no (control A) a B) separate plots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