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og-Bae Lee

ORCID: 0000-0002-0834-0769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Soil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 Plant nutrient uptake and metabolism
  • Plant Stress Responses and Tolerance
  • Light effects on plants
  • Agricultural Science and Fertilization
  • Soil and Water Nutrient Dynamics
  • Plant Micronutrient Interactions and Effect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Insect and Arachnid Ecology and Behavior
  • Composting and Vermicomposting Techniques
  • Phosphorus and nutrient management
  • Flowering Plant Growth and Cultivation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Insect and Pesticide Research
  • Plant and animal studies
  • Rice Cultivation and Yield Improvement
  • Greenhouse Technology and Climate Control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Banana Cultivation and Research
  • Environmental Impact and Sustainability
  • Agriculture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Impact
  • Nutrition, Health and Food Behavior
  • Nitrogen and Sulfur Effects on Brassica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2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1-2021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2020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8-2019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9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4

University of Seoul
2011

Agroécologie
2011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0

Salinity induced inhibition in germination and early stages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capitata L.) [two varieties (autumn spring cabbage)] were measured response to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The salinity (NaCl) concentrations solution 0 (control), 4.7, 9.4 14.1 dS m(-1). Different salt stress had considerable effect on germination, rate (1/t50, where t50 is the time 50% germination), root shoot lengths, root, plant fresh weight cabbage. Final cabbage) showed significant with up...

10.3923/pjbs.2007.910.914 article EN Pakist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2007-03-01

Analysis of mineral nutrients in plant is required for evaluating diagnosis nutritional status. Pretreatment procedure the analysis can be varied depending on elements to analyzed. Wet-digestion suitable total nitrogen, phosphate and cations, however, digestion solution including nitric acid not nitrogen analysis. Incineration analyze chloride, silicate sulfur. After digestion, analyzed by Kjeldahl method, detected at 470nm colorimetric with ammonium meta vanadate. Cations micro are...

10.7745/kjssf.2017.50.2.093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7-04-01

Abstract The responses of metabolic networks to mineral deficiency are poorly understood. Here, we conducted a detailed, broad‐scale analysis macronutrient concentrations and changes in the shoots roots cabbage (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 plants response N, P, K, Ca, Mg nutrient solution. To standardize individual macronutrient‐deficient treatments, other nutrients were maintained via substitution with ions. Individual deficiencies had various effects on uptake accumulation...

10.1002/jpln.201800001 article EN Journal of Plant Nutrition and Soil Science 2018-08-20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LED Chamber System을 이용하여 명기시간 동안 광질과 광조사 방법 제어가 단절단엽의 국화 배양소식물체(Dendranthema grandiflorum L., cv. 'Cheonsu')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청색, 적색 및 녹색의 단일광질 또는 청색+적색, 청색+녹색 적색+녹색의 혼합광질 조건하에서 이들 광질을 명기 16시간 연속적으로 초당 50회 간격과 분당 20초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제어하면서 42일간 수행하였다. 총 일장을 4시간 단축한 20초 간격의 간헐조사는 관행의 형광등 연속조사에 비해 국화의 절간길이 신장에 의한 신초신장을 촉진하였으나, 배양소식물체의 양적생장은 연속광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명기동안 녹색광을 간격으로 간헐제어한 경우 건물중이나 엽면적 증대와 같은 억제되었으나 형태적인 면에서의 절간신장은 촉진되었다. 따라서, 이용한 광질이나 방법의 제어는 이용 단축에 전력소모량 감소...

10.5338/kjea.2010.29.4.374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0-12-30

BACKGROUND:Soil water content strongly depends on weather condition and irrigation, it could influence crop nutrient use efficiency.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uptake of soybean by soil condition.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leaching as affacted management practice investigated using weighing lysimeter which is located in National institute agricultural science, Wanju, Jeonbuk province from June 2015 October 2016.Water supply for (cv.Daewon) managed with irrigation...

10.5338/kjea.2017.36.3.30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7-09-30

We analyzed the contents of 38 primary metabolites and 9 minerals in leaves roots bell pepper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to study metabolic responses deficiency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calcium, or magnesium. Induced deficiencies individual cations reduced abundance other both roots. Each nutrient-deficient condition was clearly group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also showed that under cation-deficiency treatments were separated from those non-cation-deficiency...

10.1007/s13765-018-0395-z article EN cc-by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8-10-11

본 연구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에서 향후 적용될 2006 IPCC 신규 가이드라인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기존 가이드라인과의 방법론 및 배출계수 차이점을 분석하여 실제 배출량을 산정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해외 ANNEX I 국가들의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와 농업여건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 일부는 방법론과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었으며, 미국의 경우는 대부분이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1996 IPCC와 기본계수를 경종부문 평가한 결과, 신규가이드라인을 적용했을 때 약 26~29%의 배출량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차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일부 배출원 항목에 삭제 배출계수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etween and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s change....

10.7745/kjssf.2011.44.6.1214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1-12-31

Various methods for assessing soil total nitrogen (TN) and inorganic N content have been developed to manage nutrient understand cycle in soil. This paper address the technical procedures arable samples conduct sampling, sample preparation, measuring N. Among various contents, Kjeldahl distillation Indophenol blue method widely used due reliability economic advances. Also, two can analyze more at same time compared with other methods. For evaluating content, mainly forms of nitrate-N...

10.7745/kjssf.2017.50.2.100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7-04-01

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soils in Korea have been investigated at four-year interval order paddy, polytunnel, upland, and orchard since 1999; polytunnel were over the whole country 2000, 2004, 2008, 2012. Polytunnel taken from surface (0-15 cm) subsurface (15-30 2,651, 1,274, 1,374 sites all provinces South Korea. One hundred sampling located more than 400 m altitude additionally 2008 Average soil chemical 2012 except Jeju province 6.6 for pH, 3.2 dS <TEX>$m^{-1}$</TEX> EC, 37 g...

10.7745/kjssf.2013.46.6.641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3-12-31

Soil testing is one of the major strategies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 as it analyzes nutrient contents soil and determines amount nutrients required crop growth. field cultivating regional crops in Korea has been conducting by National Academy Agricultural Science (NAAS), provinci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s since 2000. 1,006,227 samples were analyzed uploaded on Korean information system (http://soil.rda.go.kr) from 2003 to 2013....

10.7745/kjssf.2015.48.6.588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5-12-31

지난 46년간(1961-2007년) 연도별 겨울철의 평균기온을 분석한 결과, 1980년 후반부터 겨울철 고온화 현상이 뚜렷이 관측되었다. 그리고 이상기상의 발생 현황도 1988년을 기점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그 이전에는 이상저온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이후에는 이상고온이 훨씬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농촌진흥청, 2007). 따라서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환경의 변화가 우리나라의 농업기후자원량에 미친 영향을 벼 작물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이앙기의 한발지수는 강수량의 증가로, 태백고냉 및 준고냉지, 영남내륙 산간 분지지역을 중심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근래에 증가한 강수량에 비해서 개선 폭은 다소 적은 편이었다. 저온 출현위험도는 전국적으로 낮아진 조사되었지만, 등숙기간의 일조시간 감소와 기온상승으로 기후생산력지수는 오히려 낮아져, 우리나라 주변의 기상환경이 생산성에는 불리하게 작용하는 분석되었다. 또한, 출수기의 출현날짜가 늦춰지는 조사됨에 따라,...

10.5532/kjafm.2008.10.4.113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08-12-30

논을 포함한 주변의 일시적 또는 연속적인 정수지를 가지는 논생태계는 다양한 수서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서 국가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수로정비, 경지정리 등에 의해서 서식환경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생태계 내에 출현하는 수서곤충 중에서 상위 포식자 있는 물땡땡이류의 전국 분포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논 내에서 총 15종의 물땡땡이류가 확인되었다. 그중 전국적으로 애넓적물땡땡이(98.6%)와 점물땡땡이(87.7%)가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물땡땡이류는 경지정리가 이루어진 들에 위치한 논(33.7%)보다는 곡간에 논(5.0%)에서 출현빈도가 높았다. 한일넓적물땡땡이(1.4%), 등볼록물땡땡이(2.9%) 및 새가슴물땡땡이(4.3%) 3종은 곡간과 들 모든 지역에서 낮은 보였다. 잔물땡땡이, 애물땡땡이, 알물땡땡이, Berosus elongatulus,...

10.5338/kjea.2010.29.4.427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0-12-30

물방개과의 전국분포를 파악하고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전국 138개 시 군에 있는 곡간지 논과 평야지 논 총 290지점에서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전국의 논에서 확인된 물방개과는 15속 26종이었다. 채집된 26종 중 논에서는 24종이 확인되었고, 19종이 확인되었다. 논에 서식하는 물방개과 중에서 전국적으로 그 출현빈도가 매우 낮은 희귀종으로는 동쪽깨알물방개, Laccophilus lewisioides, 노랑무늬물방개, 외줄물방개, 점톨물방개, 맵시등줄물방개, 검정머리땅콩물방개, 큰알락물방개, 알락물방개, 잿빛물방개 및 물방개로 11종으로 물방개류 종별 평균 크기는 2.0 mm ~ 35.0 mm로 나타났다. 들녘 비교적 넓게 분포하는 종은 꼬마물방개, 애기물방개 2종 이었고, 큰땅콩물방개, 땅콩물방개, 모래무지물방개 등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 희귀종이었다. 희귀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물방개류는 발견되었다. 특이적으로 모래무지물방개는 경상남도에서 발견되었으며,...

10.5338/kjea.2011.30.2.209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1-06-30

보리생육모형인 CERES-Barley 모형을 적용하여, 한반도 A1B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국내 쌀보리의 잠재수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생육 모의 지역은 30년 평년의 기상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56개 지역으로 하였고, 생육모의 연도는 현재 평년(1971-2000년, 기준 연도)과 세가지의 미래 평년(2011-2040, 2041-2070, 2071-2100년)으로 하였다. 그리고 온도 효과(온도 변화 및 <TEX>$CO_2$</TEX> 농도 고정), 고정 변화), 온난화 변화) 등 세가지 환경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CERES-Barly 모형은 발육단계뿐 아니라 수량을 실제 관측값과 아주 유사하게 모의하여 (<TEX>$R^2$</TEX>=0.78),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쌀보리 잠재수량의 예측에 활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온도효과 분석에서는 미래의 온도상승으로 잠재수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기후조건에서 평균 잠재수량은 기준연도에 비해 각각 9, 17,...

10.5532/kjafm.2011.13.4.192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11-12-30

갈색여치 알의 휴면타파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내 및 야외의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배자발달 부화율을 측정하였다. 휴면알을 <TEX>$25^{\circ}C$</TEX>에서 계속 사육할 경우 부화하지 않았으며 1회 저온처리(<TEX>$5^{\circ}C$</TEX> 또는 <TEX>$10^{\circ}C$</TEX>에서 30, 45, 60일간)한 후 사육해도 않았다. 또한, <TEX>$5^{\circ}C$</TEX>에서 같은 기간 동안 2회 저온처리를 한 경우에도 그러나 반복하여 했을 때에 3.6<TEX>${\sim}$</TEX>26.7%의 알이 부화하였다. 저온처리 않은 무게를 측정한 결과 저온처리한 알들은 변하지 않았으나 <TEX>$10^{\circ}C$</TEX>의 경우에는 1.5배 증가했다. 90일 된 알을 2007년 9월에 산간지역 3곳의 땅속에 묻은 후에 월동후 관찰한 결과, 충북 영동 회포리, 비탄리 경북 화산리에서 월동알의 부화율은 11.3, 3.5,...

10.5656/ksae.2009.48.2.221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2009-06-30

An accurate analysis of nutrient balance in different cropping systems is necessary for improving soil fertilities, causing higher crop yields and qua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alance, changes properties, their effects on yield long-term field cultivation under mono- rotation-cropping (MCS RCS, respectively). The analytical results properties showed that application mineral fertilizers alone MCS leads reduction CEC, exchangeable Ca, microbial biomass C N. Compared...

10.7745/kjssf.2014.47.2.120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4-04-30

Heavy metals reduce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disrupt metabolic reaction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Moreover, by replacing metal ions metalloproteins that use essential ions, such as Cu, Zn, Mn, Fe, co-factors, heavy ultimately lead to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se, turn, cause destruction cell membrane through lipid peroxidation, eventually plant necrosis. Given aforementioned factors, this study was aimed understand physiological responses rice...

10.7745/kjssf.2015.48.5.397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15-10-31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