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Hee Kim

ORCID: 0000-0002-9168-6700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Pesticide Residue Analysis and Safety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Pesticide and Herbicide Environmental Studies
  • Analytical Methods in Pharmaceuticals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Insect and Pesticide Research
  • Analytical Chemistry and Chromatography
  • Nutrition, Health and Food Behavior
  • Protein Structure and Dynamics
  • Pickering emulsions and particle stabilization
  • Redox biology and oxidative stress
  • Enzyme Structure and Function
  • Surface Modification and Superhydrophobicity
  • Pharmacogenetics and Drug Metabolism
  • Surfactants and Colloidal Systems
  • Bee Products Chemical Analysis
  • Advanced Chemical Sensor Technologies
  • Icing and De-icing Technologies
  • Viral gastroenteritis research and epidemiology
  • Animal Virus Infections Studies
  • Drug Transport and Resistance Mechanisms
  • Insect Utilization and Effects
  • Phosphorus and nutrient management
  • Herpesvirus Infections and Treatments
  • Animal Nutrition and Physiolog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1-202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0

We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ystem composition and preparation conditions on particle size vitamin E acetate (VE)-loaded nanoemulsions prepared by PIC,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This method relies formation very fine oil droplets when water is added to oil/surfactant mixture. The oil-to-emulsion ratio content was kept constant (5 wt.%) while surfactant-to-oil (%SOR) varied from 50 200 %. Oil (vitamin medium chain ester ratio, %VOR) had an effect size, with smallest being...

10.12925/jkocs.2013.30.4.602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2013-12-30

소염 진통 의약품 성분인 beclomethasone, dexamethasone, prednisolone, ketoprofen, phenylbutazone 5종에 대한 동시분석을 위해 LC-MS/MS 분석 조건 중 MRM 방식으로 각 성분의 MS 최적조건을 결정하고, 정량이온으로 beclomethasone 409.1/391.0, dexamethasone은 393.1/372.9, prednisolone은 361.0/343.1, ketoprofen은 255.0/209.0, phenylbutazone은 309.1/160.1을 분석하였다. 혼합표준용액을 기울기용매 조건으로 이동상 A(0.1% 개미산), B(0.1% 개미산을 함유한 아세토니트릴)를 이용하여 17분 동안 분석한 결과, prednisolone (<TEX>$t_R$</TEX>: 7.34 min), dexamethasone 7.73 7.82 phenylbutazone(<TEX>$t_R$</TEX>: 8.31 ketoprofen...

10.13103/jfhs.2013.28.3.247 article EN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013-09-30

본 연구는 과실류에 잔류하는 ETU 분석을 위해 LC/APCI-MS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한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였다. 시료 중 존재하는 성분 추출로 사용된 용매는 <TEX>$CH_2Cl_2$</TEX>이며, 전처리 시 cys-HCl 0.4 g, <TEX>$Na_2CO_34g$</TEX>을 사용할 때 최적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분석 <TEX>$C_{18}$</TEX> column으로 분리되어 나온 ETU의 머무름 시간대에서 어떠한 간섭현상도 보이지 않았으며 232 nm에서 최고의 흡수파장을 보였다. 귤 시료에 ETU를 첨가한 결과값의 직선성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TEX>$R^2$</TEX>=1). 정밀성과 정확성은 0.05-1.0 mg/kg에서 RSD<TEX>$\leq$</TEX>10%이며, 회수율은 평균 80% 이상의 결과를 배, 포도, 바나나의 회수율도 마찬가지로 이상으로 나타났다. 실험방법으로 시중에 유통중인 과실류를 구입하여 모니터링을 한 결과 ETU는 오렌지...

10.9721/kjfst.2011.43.3.277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1-06-30

2011년 6월부터 11월까지 농산물 중 GC-NPD 및 GC-MSD를 이용한 동시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여 uniconazole의 잔류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121종 총 3,939건에 대하여 잔류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49건에서 uniconazole이 검출되었다. 품목별로는 겨자채가 69.4%로 가장 많이 Uniconazole의 검출양은 0.09 mg/kg에서 17.89 mg/kg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uniconazole에 동시분석법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GC-NPD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6 mg/kg와 0.018 mg/kg이었다. 겨자채에 표준용액을 0.5, 5 mg/kg 농도로 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83.4%에서 101.4%까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연구를 통하여 동시분석법으로 보다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onitoring of the uniconazole residual pesticide...

10.9721/kjfst.2012.44.3.378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2-06-30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