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Sun Jung

ORCID: 0009-0007-2133-4498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Education and Learning Interventions
  • Healthcare Education and Workforce Issues
  • Grit, Self-Efficacy, and Motivation
  • Perfectionism, Procrastination, Anxiety Studies
  •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
  • Inflammatory mediators and NSAID effects
  • Educational Research and Pedagogy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Fungal Biology and Applications
  • NF-κB Signaling Pathways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Dermatology and Skin Diseases
  •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udies
  • Problem Solving Skills Development
  • Nutritional Studies and Diet
  • Food Drying and Modeling
  • Healthcare professionals’ stress and burnout
  • Traumatic Brain Injury Research
  • Attachment and Relationship Dynamics
  • Healthcare and Venom Research
  • Cognitive Abilities and Testing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Immune Response and Inflammation
  • Contact Dermatitis and Allergies
  • Bee Products Chemical Analysis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2025

University of the Pacific
2025

Kolon Life Science (South Korea)
2024

Sungkyunkwan University
2024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24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

The primary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a summer bridge experience on clinic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applicants who were “on cusp” meeting traditional admissions criteria. Bridge for Success (B4S) an 8-week offering courses and mentorship that designed both broaden access provide academic social support nontraditionally admitted students so they could remain successful throughout their enrollment. It expected B4S participants control group traditionally would...

10.1177/15210251251326090 article EN other-oa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2025-03-21

Purpose: The current study aimed to assess the use of <i>Oenothera biennis</i> flower extract (OBFE) as a cosmetic ingredient exhibiting potential skin-sooth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Methods: O. biennis flowers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used in experiments confirm efficacy. Several criteria related skin soothing, such antioxidant activity, barrier enhancement, moisturization, sebum secretion control, effects, evaluated.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via...

10.20402/ajbc.2024.0013 article E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24-06-28

Bidens pilosa L. (Asteraceae) has been used historically in traditional Asian medicine and is known to have a variety of biological effects. However, the specific active compounds responsible for individual pharmacological effects (B. pilosa) extract not yet made clear.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phytochemicals obtained from B. pilosa. We isolated flavonoids-type phytochemical, isookanin, through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based on its capacity inhibit inflammation....

10.3390/molecules26020255 article EN cc-by Molecules 2021-01-06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68명의 당뇨환자들을 대상으로 잡곡밥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관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잡곡의 혼합비를 달리한 잡곡밥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BMI를 측정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61.7%가 과체중 이상이었다. 섭취실태를 조사한 94.1%가 섭취하였고, 성별에 따른 섭취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자주 섭취하였으며(p0.05), 섭취이유에 대해서 알아본 남녀 모두 건강에 좋아서 섭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잡곡밥에 혼합하는 수는 비하여 많은 잡곡을 혼합하였으며(p0.01), 지속적인 여부를 '지속적으로 먹겠다'라고 (47.1%) 남성(36.8%)보다 많았다(p0.05). 기간은 3년 이상 59%, 구입 장소는 집주변 소형마트 46.0%로 많았으며, 흰밥에 많이 잡곡은 검정콩(76.5%)으로 조사되었다. 멥쌀을 제외하고 보리, 현미 등 6가지 혼합비율을 50%로 만든 RMGD-50과 40%로...

10.3746/jkfn.2010.39.7.1049 article K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0-07-31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5.0과 Amos 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지는 양육태도와 강인성을 그리고 강인성은 행복감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육태도는 지지를 기반으로 한 통해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ole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this were 318 university students...

10.5392/jkca.2013.13.09.204 article 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09-28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학업장면에서 도움추구 및 은폐가 부정적 정서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위험 예측과 이득 예측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완벽주의를 자기지향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구분하였고, 정서로는 우울과 불안을 상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68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하여 최종 252부를 가지고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에서 도움추구는 우울 완전 매개하고, 은폐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하는 나타났다. 한편 완벽주의는 도움추구를 통해 불안에 부적으로 미치는 반면, 직접 또는 은폐를 거쳐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완벽주의의 긍정적 측면을 밝힘과 동시에 적극적인 도움을 청하고, 줄임으로써 낮추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하였다. The...

10.5762/kais.2016.17.4.671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04-30

In this study,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Ganoderma lucidum, Phellinus linteus) and edible (Pleurotus eryngii, Lentinus edodes) mushrooms were investigated. Their shrinkage ratios, Hunter’s color values, rehydration ratios evaluated. Mushrooms cut with rectangular (1 cm) square (1×1 shapes, dried in room temperature at 50℃ 70℃ using hot-air dryer. Initial moisture contents higher than those mushrooms, whereas final vice versa. Drying rate was highest when (p<0.05). Moreover...

10.11002/kjfp.2016.23.5.689 article EN cc-by-nc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016-10-01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은 조절초점의 하위변인인 향상초점과 학업소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소진은 학업성취를 나타났다. 즉 조절초점은 자기조절학습을 기반으로 한 통해 실제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높이고 줄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ol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burnout on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chievement. participants this were 312...

10.5762/kais.2013.14.11.5455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1-30

본 연구는 학업소진이 학업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삶의 만족에까지 연결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학업소진과 만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간 관계에 제 3의 변인으로서 위험예측과 이득예측을 상정하여, 학업소진, 위험 예측, 이득 예측이 만족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였고, 이 과정에서 예측과 예측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위험예측은 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득예측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나타났다. 한편, 조절 하는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학업소진을 줄이고 전문적 도움 추구에서 위험에 대한 기대를 낮춤으로써 높일 있는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10.5762/kais.2015.16.9.6009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09-30

본 연구는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그 과정을 구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77명의 자료를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지지적 양육태도와 낙관성은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았고, 일희망을 매개로 하여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소명의식에는 일희망의 영향력이 가장 큰 나타났고, 양육태도 및 낙관성의 다음으로 개인의 환경적 특성과 성격적 특성을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교상담 교육장면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n calling and role of optimism, work hope, religion supportive parenting. Furthermore, this tested if personal...

10.5762/kais.2015.16.1.205 article 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01-31

수 감각은 수의 의미와 그 크기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초기 수학 학습의 중요한 기 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초등 교과서에 제시된 감각 관련 수직 선 경험 기회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는 1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교과서 중 자 연수, 분수, 소수의 이해와 관련된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수직선 빈도·종류·학습 활동, 수직선에서 접할 있는 구간을 분석하였다. 결 과 첫째, 기회는 전체적으로 낮았으며, 자연수와 분 수를 처음 소개하는 단원에서 제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교과 서상에 수직선은 구조화된 수직선뿐이었고, 빈 수직선에 나타내는 학 습 활동 부여되지 셋째, 수직선을 통해 수는 특 정 구간에 집중되어, 아동의 균형 학습 기회에 한계가 있었다. 결과를 토대로 보완 및 개선 방안,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10.54340/kseme.2023.27.1.3 article KO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23-03-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우울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긍정적 사건에 대한 해석이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등을 제외하여 총 436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초통계분석 및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조절능력은 부정적 해석과 우울에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조절을 잘 할수록 대해 부정적인 해석을 덜 하고 우울도 낮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해석은 자기조절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해석에 따라 자기조절 능력이 영향에 차이가 나타내는 결과이다. 연구 결과를 하여 대학생들의 해석의 관련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통해 우울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자기조절능력을 확인하고 경우에는 개입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0.21509/kjys.2020.02.27.02.101 article KO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20-02-29

유아교사는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해 교사연구자 역할을 인식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전문대 유아교육과 전공심화 과정에서 연구과목이 주요하게 다루어지지만, 재학생의 실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들의 성장을 지원할 실질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재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연구자에 대한 인식과 대해 포괄적으로 탐색하고자 서울 지역 H 대학교 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 현직 유아교사인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입학 동기(개인적 필요, 직업적 필요), 개념과 역할(교육전문가, 현장문제 해결자, 변화에 능동적인 교수자), 교사연구자로 여겨지는 경험(자발적 참여, 의무활동), 실천 어려움(연구자 역할에 부담, 교사업무 과중), 실천을 위한 요건(유아교사의 의지, 교육적 지원, 재정적 제도적 지원)의 5개 영역과 13개 범주, 3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하였다.

10.26834/kscice.2022.04.15.103 article KO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2022-04-30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