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g-Shin Kang

ORCID: 0000-0002-1150-4015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Psychosocial Factors Impacting Youth
  • Healthcare Education and Workforce Issues
  • Education and Learning Interventions
  •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 Attachment and Relationship Dynamics
  • COVID-19 and Mental Health
  • Mental Health Research Topics
  • Diverse Approaches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tudies
  • Grief, Bereavement, and Mental Health
  • Migration, Health and Trauma
  •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 Child and Adolescent Psycho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 Schizophrenia research and treatment
  • Counseling Practices and Supervision
  • Mental Health via Writing
  • SARS-CoV-2 and COVID-19 Research
  • Obsessive-Compulsive Spectrum Disorders
  •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s
  • Family Dynamics and Relationships
  •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 Technology and Data Analysis
  • Action Observation and Synchronization
  • Cardiac Valve Diseases and Treatments
  • Perfectionism, Procrastination, Anxiety Studi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8-2024

Korea University
2023

Objective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16-item Prodromal Questionnaire (KPQ-16) in non-help-seeki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mong 2,246 students participated initial screening, 257 subjects with KPQ-16 scores ≥4 were interviewed. The criteria for ultra-high risk (UHR) psychosis Comprehensive Assessment At-Risk Mental States (CAARMS) gold standard diagnosis. An exploratory modified questionnaire (mKPQ-16), to which three items from Eppendorf Schizophrenia...

10.30773/pi.2017.04.24 article EN Psychiatry Investigation 2018-02-21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lonelines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2019 (COVID-19) pandemic and focused on how fear of COVID-19 infection affects conditional effect gratitude as a moderator in relationship among COVID-19, anxiety, loneliness.Methods For analysis this study, survey 1,500 individuals aged 19 69 years living three metropolitan areas South Korea. Questionnaires included sociodemographic data, psychological experience stress associated with...

10.30773/pi.2023.0170 article EN Psychiatry Investigation 2023-09-19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reening model for rotator cuff tear detection in all three planes of routine shoulder MRI using deep neural network. A total 794 scans (374 men and 420 women; aged 59 ± 11 years) were utilized. Three musculoskeletal radiologists labeled the tear. The YOLO v8 was then trained; training performed with imaging simultaneously axial, coronal, sagittal images separately. performances models evaluated compared receiver operating curves area under curve (AUC). AUC...

10.3390/diagnostics13203254 article EN cc-by Diagnostics 2023-10-19

This study characteriz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using cluster analysis and explored related psychological factors.We categorized 1,500 individuals based on their attitudes toward COVID-19 hierarchical clustering identified level of vaccine acceptance. We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acceptance behavioral characteristics.Clustering revealed three groups according to acceptance: 'totally accepting' (n = 354, 23.6%), 'somewhat...

10.3346/jkms.2023.38.e234 article EN cc-by-nc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3-01-01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Community Assessment Psychic Experiences-15 item positive scale (CAPE-15) in college students.This study had two stages: initial screening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CAPE-15,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instrument's diagnostic validity. The involved 1,749 students. modified Prodromal Questionnaire-16 (mKPQ-16) was also administered. criteria for ultra-high risk (UHR) psychosis Comprehensive At-Risk Mental States...

10.30773/pi.2019.0215 article EN Psychiatry Investigation 2020-03-23

The prolong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caused individuals to suffer economic losses, in particular due the implementation of intensive quarantine policies. Economic loss can cause anxiety and a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 on individuals, worsening their mental health satisfaction with life. We examined protective risk factors tha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uring COVID-19 pandemic. Panel data from 911 participants were collected April May 2020 again 6 months...

10.3389/fpsyt.2022.904449 article EN cc-by Frontiers in Psychiatry 2022-06-13

Understanding emotions in conversation is a challenging task as the sentences often have an implied meaning which not generally understood isolation. Efficient use of contextual information important for emotion recognition conversations. Many published datasets provide situations such text-based online messaging, chatbots, and movie dialogues. However, dialogue-based are collected by selecting ideal conversational thus do include many variations dialogue length number participants....

10.1109/access.2022.3221408 article EN cc-by IEEE Access 2022-01-0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대인존재감이 병렬적으로 매개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40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착, 우울, 거부민감성 그리고 대인 존재감을 측정하였고 병렬다중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을 지닌 사람은 거부민감성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우울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인존재감을 낮게 느낄 특히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느끼지 못하고 우울함을 경험하는 경우 졸업 이후 사회생활을 적응적으로 것에도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을 있다. 이에 대인관계적 변인인 거부민감성을 낮춰주고 높여 주는 상담적 개입을 것이 우울을 감소시킬 있는 방법이 될 있다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추후 연구에 제안을 제시하였다.

10.16881/jss.2024.04.35.2.175 article KO Journal of Social Science 2024-04-30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엘리트 운동선수를 위한 단기 의사소통 훈련 프로 그램이 만족도, 집단응집력, 운동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에서는 대학생 대상으로 효과가 검증되었던 프로그램을 참여 집단의 특성과 학교 현장 여건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G시 소재의 고등학교 축구부를 모집되었 고, 프로그램은 주 1회 100분씩 총 6회기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 해 양적 자료로 운동성과 척도 점수가, 질적 자료 로 회기별 경험보고서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훈 련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 로그램의 효과는 운동선수의 운동성 과에 있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운동선수에게 즐거움을 주고,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선수 간 의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효과와 효과의 상반된 결과에 대한 분석 해석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10.20325/kca.2024.16.4.105 article KO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2024-01-31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retraumatization of victims political violence. Three participants were personally interviewed, and a focused group interview conducted. According qualitative analysis, all interviews recorded analyzed categorically for traumatic experiences. The findings revealed difficulties in emotional, cognitive, social domains. Emotional issues included difficulty anger control, sense alienation isolation from families so on. Cognitive related betrayal with...

10.62783/shss.6.1.30 article EN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24-02-28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depression and mediating variables social withdrawal, peer relationships, teacher relationships to gain an understanding adolescent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for analysis using data from 2018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ith 2,590 first-year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effect withdrawal in relationship between significant. Moreover,...

10.35185/kjet.16.1.3 article EN Jounral of Educational Therapist 2024-04-30

We present the Group Cohesion and Emotion (GCE) dataset, which comprises 1029 segmented films sourced from YouTube. These videos encompass a range of interactions, including interviews, meetings, informal discussions, other similar contexts. In annotation process, graduate psychology students were tasked with assigning coherence levels, ranging 1 to 7, affective states as negative, neutral, or positive for each 30 s film. introduce foundational model that utilizes advanced visual audio...

10.3390/app14156742 article EN cc-by Applied Sciences 2024-08-01

본 연구는 상실 경험 이후의 애도 회피 침투적 반추와 심리적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자기노출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유형, 회피, 자기노출, 및 반추,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다. 경험의 영향 정도와 경과 기간을 바탕으로 199명을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여 경로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모형은 회피가 반추에 직접 효과가 있고, 반추가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자기노출과 부분 매개하는 모형이다. 대안 모형에서 성장간의 관계를 완전 모형과 비교한 결과, 모형이 유의미하게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연구의 의의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10.23844/kjcp.2015.08.27.3.641 article KO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5-08-31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의 발달궤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과 개인적 요인(자아탄력성)이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1기 자료 중 4차년도 자료부터 9차년도 자료(2014년-2019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행은 시간의 흐름에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 나타났다. 둘째, 요인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우울초기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우울의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셋째, 요인인 자아탄력성은 넷째, 교사지지는 우울 유의한 미치지 다섯째,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초기치를 비행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10.14328/mes.2023.6.30.33 article KO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2023-06-3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comprehensive conclu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in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For purpose, protective risk were extracted from 28 studies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journal articles published by 2021.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ffect sizes psychological factor social support medium range among while active coping skill had no effect. Second, acculturative stress general large perceived...

10.14328/mes.2022.3.31.65 article EN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2022-03-31

우리나라 청소년은 높은 자살률, 학교폭력, 가족붕괴, 각종 재난 및 재해로 인한 사고까지 다양한 외상적인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는 청소년 애도와 관련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한 아동․청소년을 위한 근거기반 치료모델인 외상중심 인지행동치료(Trauma-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F-CBT)를 바탕으로 애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A광역시 소재 중학교 2개교에서 관계상실을 3학년 31명을 모집한 후, 처치집단(TF-CBT 기반 프로그램), 적극적 대조집단(지지적 대기통제집단에 성별과 상실유형을 고려해 무선할당 하였다.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처치집단은 대조집단이나 비해 애도슬픔, 내재화 외현화 증상, 외상후 스트레스 문제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성장 점수는 증가되었다. 이러한 처치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23844/kjcp.2017.05.29.2.357 article KO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7-05-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적 역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427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역량,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으로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주요변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하위 요인인 참여의지, 인지적 유연성/개방성, 감정조절, 문화공감에 대한 확인하였다.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하위요인 문화공감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트스트래핑을 확인한 유연성/개방성만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진로결정상황에서 자신의 능력을 믿지 못하여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을 역량에 초점을 둔 상담개입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의 및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10.32341/jcer.2018.03.31.1.81 article KO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18-03-31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그들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에서 2005년도부터 2019년 상반기까지 발행된 관련이 있는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한 국내 석․박사논문 및 학술지 논문 총 27편을 선정하였고, 관련 변인으로 보호요인인 사회적 지지, 참여,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위험요인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로 7개의 변인을 추출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질의 보호요인은 중간 나타냈고, 하위변인 중 참여 순으로 크기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요인은 우울은 효과를, 스트레스는 작은 거주 지역, 기간, 언어능력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메타 회귀분석한 결과, 지역과 언어능력에 따라 위험요인 간의 관계가 다르게 마지막으로 다문화상담을 위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제언을 논의하였다.

10.23844/kjcp.2020.02.32.1.491 article KO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0-02-29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