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 Cheol Kim

ORCID: 0000-0003-1045-1633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Plant Physiology and Cultivation Studies
  • Flowering Plant Growth and Cultivation
  • Horticultural and Viticultural Research
  • Ecology and Conservation Studies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Postharvest Quality and Shelf Life Management
  • Berry genetics and cultivation research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Growth and nutrition in plants
  • Plant Disease Management Techniques
  • Greenhouse Technology and Climate Control
  • Light effects on plants
  • Irrigation Practices and Water Management
  • Plant Pathogens and Fungal Diseases
  • Plant Virus Research Studies
  • Garlic and Onion Studies
  • Plant tissue culture and regeneration
  • Innovations in Aquaponics and Hydroponics Systems
  • Herbal Medicine Research Studies
  • Pleural and Pulmonary Diseases
  • Pancreatitis Pathology and Treatment
  • Powdery Mildew Fungal Diseases
  • Phagocytosis and Immune Regulation
  • Lung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 Plant Gene Expression Analysis

University of Ulsan
2023-2025

Asan Medical Center
2023-2025

Ulsan College
2023-2025

Wonkwang University
2014-2024

Kyung Hee University
2002

Rationale Although a relationship between the Gas6/AXL pathway and pulmonary fibrosis (PF) has been suggested, precise mechanisms clinical implications of AXL in idiopathic (IPF) are still unclear. Methods Constitutive conditional AXL-knockout mice were generated injected with bleomycin (BLM) to induce fibrosis. The expression macrophage subtypes BLM-injected patients IPF was analysed using flow cytometry. therapeutic effects inhibitors examined. Results AXL-deficient resistant BLM-induced...

10.1183/13993003.00615-2024 article EN cc-by-nc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25-01-09

Abstract Plant-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TFs) are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 genes involved in development of plant-specific organs and response systems adaptation to terrestrial environments. This includes efficient water transport systems, reproductive organs, ability withstand effects factors, such as UV radiation, temperature fluctuations, soil-related stress evolutionary advantages over land predators. In rice Arabidopsis , INDETERMINATE DOMAIN ( IDD ) TFs with crucial...

10.1038/s41598-024-58903-0 article EN cc-by Scientific Reports 2024-04-05

본 연구는 고추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생육 및 수량에 대한 육묘 기간(45, 55, 65, 75일 85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기간에 따라 전 초장, 마디수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은 기간이 긴 묘일수록 높았고, T/R율은 45일 85일 묘에서 높았다. 생산된 10주째에 경경, 엽면적은 55일 뚜렷이 식물체의 무거웠지만, 건물률은 가장 낮았다. 착과된 과실의 수 무게는 18주 동안 성숙과 수확량은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면 고추의 상품과 생산량은 45일과 좋았다. 그러므로 노지 재배 시 기간은 45일에서 사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edling quality,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hot pepper (Capsicum annum) grown in the open field according periods (SGPs)...

10.7235/hort.2015.15083 article EN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5-12-01

Since the first commercial vegetable seedling production business was established in Republic of Korea 1992, technologies for grafted seedlings have been developed. Commercial grafting nurseries promoted efficiency by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At present, most scions rootstocks are concentrated on one or two cultivars all made splice method. To overcome disadvantages method, such as delayed formation union rooting, light-emitting diode (LED) healing chambers (LHCs) developed...

10.7235/hort.20210049 article EN cc-by-nc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21-10-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Diniconazole (DC) on growth and quality grafte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seedlings cultivated during summer season. Concentrations DC were set 0 (non-treatment), 5, 10 20 mg·L-1, treated once 3 days after grafting. Rootstock shorter in 5 mg·L-1 treatment compared non-treatment, scions significantly treatment. Seedlings with non-treatment. Leaf area lower for subjected all treatments than non-treatment group,...

10.12972/kjhst.20160026 article EN cc-by-nc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6-04-0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a shade treatment on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bud break, and spear number five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cultivars (Apollo, Atlas, Grande, UC157, Walker Deluxe) determine most appropriate cultivar for cultivation in shaded rain-shelter house. For experiment, two-month-old seedlings were grown house with 30% using polyethylene film roof house, whereas control plants without additional layer polyethylene....

10.7235/hort.20210004 article EN cc-by-nc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21-02-28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작물인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대한 주야간온도차(DI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DIF는-6(<TEX>$20-26^{\circ}C$</TEX>), 0(<TEX>$23^{\circ}C$</TEX>), 3(<TEX>$24.5-21.5^{\circ}C$</TEX>) 및 6(<TEX>$26-20^{\circ}C$</TEX>)으로 처리하였다. 10주 동안 DIF 3과 6 처리에서 DIF-6과 0 처리보다 생장 속도가 빨라 초장이 더 길었다. 주당 엽면적은 3 꾸준히 증가하여 10주째에는 가장 넓었다. 생체중은 DIF-6 다른 처리들의 74-77% 수준으로 낮았다. 건물중과 건물률은 0과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처리에서는 8주 후부터 건물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6주 이후 10주째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이후에 감소하였다. 그리고 모든 건물분배율이 줄기보다 높았고, DIF가 수준일수록 낮아지고...

10.7235/hort.2013.13044 article EN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3-09-30

본 연구는 아스파라거스 4 품종을 이용하여 하우스 및 노지 재배에 따른 생장 특성과 생리활성 물질을 조사하여 국내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스파라거스의 지상부 줄기 개수, 눈의 뿌리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전체 건물중은 재배에서 재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품종간에는 Jersey Giant가 다른 품종들보다 개수가 많았다. Supreme의 개수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방법에 따라 유의성이 나타내지 않았지만, Giant에서 더 하우스에서 재배된 품종의 폴리페놀 Giant의 품종 간에는 가장 Catalase (CAT) Peroxidase (POX) 활성은 방법과 간에 유의성을 않았다. Ascorbate peroxidase (APX) 높았고, 품종별로는 UC157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방법은 식물의 측면에서 증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고 또한 각각 적합한 선발, 다 수확 생리활성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 the...

10.7732/kjpr.2016.29.4.495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16-08-30

본 연구는 배 '신고'의 과실 생장에 대한 주요 기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2000년에서 2010년까지 평균 만개일은 4월 19일이었고, 편차는 4.2일이었다. 만개 후 160일째의 횡경은 102.4mm였고 7.5mm였다. 10년간 요인 중 기온보다 강우량과 일조시수의 변이계수가 컸다. 160일 동안의 중에서 누적 일조시수가 상관계수 <TEX>$r=0.68^*$</TEX>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만개일의 조만과 횡경 간에는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반된 생장 경향을 보였던 2004년과 2009년은 지속적인 강우 시기의 존재와 그에 따른 차이에 의한 것이었다. 따라서 생장은 기온보다는 누적일조시수의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matic factors on fruit growth in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For...

10.7235/hort.2013.12117 article EN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3-02-28

본 연구는 착색단고추 재배온실 내의 위치에 따른 온도 환경 차이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지상부의 온도는 중앙부가 북측부보다 일평균 온도가 <TEX>$1.6^{\circ}C$</TEX> 정도 높게 측정되었으며, 근권부의 온도도 중앙부에서 <TEX>$2.2^{\circ}C$</TEX> 높았다. 착색단고추의 초장, 절간수, 경경 등은 온실 내 유의하게 정식12주 후 초장은 153cm/plant로 북측 127.2cm/plant보다 길었으며, 절간수는 2개 더 많았고, 또한 1.5mm/plant 두꺼웠다. 순광합성속도도 나타났다. 수확된 상품과의 수량도 중앙에서 49.1개/5주로 북측의 40.5개/5주에 비해 20% 정도가 증대되었다. 온실내 차이는 생육 및 광합성률에 주어 생산량에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e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effect two growing areas in...

10.7235/hort.2012.12078 article EN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2-12-31

The production of crops in controlled environments is a growing sector modern agriculture.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culture nutrient solution for carrot leaves closed-type plant factory. After sowing, seedlings at two-true-leaf stage were transplanted bed system. Hydroponic cultivation performed using three-layer NFT Culture solutions supplied three electrical conductivity (EC) levels (2.0, 3.0, and 4.0 dS·m-1). Measurements growth characteristics,...

10.12972/kjhst.20180005 article EN cc-by-nc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8-02-28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etary effect of pectin on imunoglobulin (Ig) and cytokine production rat lymphocytes. Rats were fed a diet containing 0 (cellulose) 1, 2 or 5% levels for weeks. Dietary pectin, as compared with cellulose, enhanced IgA, IgG IgM by mesenteric lymph node lymphocytes, while reducing IgE production. In lymphocytes obtained from rats interferon-γ interleukin-2 receptor expression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ose cellulose. These results suggest...

10.3136/fstr.8.14 article E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2002-01-01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use culture Gnaphalium affine, a traditional rice cake plant resour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survey on 259 women aged 60 or over living 18 city county in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ll respondents did not know standard name affine. 178 repondents (68.7%) knew called local area. frequency higher Jebissuk (37.5%) > Gaessuk (21.2%) Seorissuk (19.7%) Gyessuk (4.3%) Goissuk (1.9%),...

10.11628/ksppe.2017.20.2.185 article EN cc-by-nc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17-04-30

국내 도입된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 선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형태적 및 품종별 화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수술의 형태를 보면 화사는 판형이었고 모용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개약 시 약벽이 열개되지 않고 돌출된 두 개의 관으로 꽃가루가 배출되어 독특하였다. 화분은 3월 하순경에 감수 분열된 후에 분리되지 않은 채로 성숙한 사분자 화분(tetrad pollen)이었다. 약당 화분립 수는 400~1,300개였으며, 수가 많은 품종이 발아율도 높은 편이었다. 암술은 5개의 심피로 구성되어 화주는 갈라진 부분이 없이 하나였다. 자방당 배주 39~67개 정도였으며, 각 품종별로 변이 계수가 11.6~31.0%로 큰 &#x2018;Bluejay&#x2019;와 &#x2018;Sharpblue&#x2019;간의 자가 타가교배 결과 자가교배보다 타가교배에서 종자 형성률이 높았다.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floral organ in...

10.7732/kjpr.2015.28.2.235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15-04-30

본 연구는 파프리카 육묘 시 다양한 LED 광질(red:blue = 10:0, 8:2, 2:8, white)에 따른 생육변화에 대하여 구명하여 수경재배용 묘 생산을 위한 전용육묘장의 기반기술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초장과 줄기직경의 생육은 red 비율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길거나 굵었고, 엽면적은 red:blue 8:2에서 가장 넓었다. 건물 중량도 엽면적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white에서는 모든 묘의 소질에서 다른 처리들보다 뚜렷하게 저조하였다. 상대생장률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순동화율은 blue 나타내었다. 따라서 시험에서 LED를 활용한 초장, 엽면적, 단위엽면적당 건물생산능력 등을 고려하였을 때 혼합광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특히, 8:2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red와 파장의 적절한 혼합 비율을 통해 초장 및 절간장을 제어할 수 있을

10.12791/ksbec.2022.31.1.060 article KO cc-by-nc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22-01-31

본 연구는 육묘 일수에 따른 수박 묘의 소질 차이와 그 차이가 정식 후 수박의 생육 및 과실 특 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일수 에 소질에서 초장, 경경 엽면적은 65일 묘에서는 유의하게 높았다. 지상부 생체중 건 물중은 40-45일 묘, 50-60일 묘 간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지하부는 묘와 묘에서 S/R율은 낮았다. 일수는 엽면적 S/R율과 정의상관성을 정 식 11주 식물체의 초장 마디수는 45일 묘를 정식한 식물체에서 낮았던 것을 제외하고 처리들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 S/ R율은 가장 상대생장률과 순동화율은 모든 처리구들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엽면적률은 처리구에서 9주째까지 상승하였다. 수확한 과실의 무게는 40 일과 생산된 과실에서 각각 9.7kg과 9.9kg으 로 가벼웠고, 50일과 55일 11.0kg으로 무거웠다. 당도는 12.1Brix로 높 았고, 60일 11.18Brix로 착과 비대량과 성숙 무게에...

10.12791/ksbec.2017.26.2.56 article KO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17-04-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packaging on quality maintenance paprika (Capsicum annuum L. cv. Nagano RZ) stor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In Korea, is and distributed under ambient conditions. To ensure freshness maintenance, determining optimal storage temperature necessary. Paprika were unpacked (control) or packed with polyamide film 5oC, 10oC 20oC for 35 days.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weight loss appearance examined. showed less changes compared all...

10.20909/kopast.2022.28.2.115 article EN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AND TECHNOLOGY 2022-08-31

본 시험은 저면관수 방식의 파프리카 육묘 시 암면큐브에 대한 다양한 급액시점 (IP 30%, 40% 50%, 60% 및 70%)에 따른 묘의 소질을 조사하였다. 급액시점에 생육량은 급액시점과 정의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IP 30~40% 처리구와 50~70% 처리구들 간 뚜렷한 차이를 엽면적은 50% 이상의 처리구에서 40%이하의 처리구에 비해 50~100%정도 더 넓었고, 건물중도 30%~ 정도 무거웠다. 이상 건물 중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급액시점(x)은 엽면적(Y1)과 Y1=48.311x+133.7(R2 = 0.9116**), 건물중(Y2)과는 Y2=0.1584x+0.8616(R2 0.8853*)의 선형회귀관계를 따라서 연구 조건에서 처리 엽면적과 건물생산량을 고려하였을 때 수분함량 100%인 암면큐브 무게의 50%에 급액하는 것이 적합하고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10.12791/ksbec.2020.29.3.245 article KO cc-by-nc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20-07-01

본 연구에서는 '천중도백도' 복숭아(Prunus persica)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하는데 적합한 결과지를 구명하기 위하 여 몇 가지 결과지 방향 및 굵기 처리에 따른 신초장, 과중, 당도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조사항목의 평균치를 보면 직경의 경우 6.9mm, 신초장은 32.6cm, 과중은 333.6g, 당도는 <TEX>$11.2^{\circ}Brix$</TEX>였으며, 직경과 변이계수가 각각 35.8%와 75.3%로 높았다. 254개 과실 특성 중 직경 9.0mm 이하 결과지가 76.4%, 40cm이하 신초가 70.0%, 무게가 310-340g 과실이 24.8%, 그리고 당도가 <TEX>$10.5-12.5^{\circ}Brix$</TEX>인 66.9%를 차지하였다. 방향에 관계없이 굵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상호작용의 받았다. 과중간 회귀 분석 결과 하향 결과지에서는 정의 상관(<TEX>$r^2=0.246^{**}$</TEX>)을 보였고 상향 부의...

10.7235/hort.2014.13140 article EN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4-08-01

본 연구는 원예용 상토:마사토:재사용 암면을 100:0:0(대조구), 80:0:20(M1), 60:30:10(M2), 40:30:30(M3), 30:40:30 (M4) 및 0:50:50(M5)의 비율(v:v:v)로 혼합한 후 상토의 물리∙화학성과 ‘설향’ 딸기 자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물리적 측면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용적밀도 입자밀도는 상토가 대부분인 대조구와 M1에서 낮았으나, 재활용 암면과 마사토의 혼합비율이 높았던 M3, M4, M5에서 용적밀도와 입자밀도가 높았다. 유효수분과 완충수분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공극률과 기상률은 높았고 낮았다. 치환성 양이온(K, Ca, Na, Mg)과 염기치환용량(CEC)은 높았으며 M1, 자묘를 재배한 결과, 초장은 M2에서 32.1cm로 길었고 M4에서 28.4cm로 작았으나 생육지표인 크라운 직경으로 판단한다면 모든 배지에서 11.23-12.03mm로 형성되어 적합하다고...

10.12791/ksbec.2022.31.4.497 article KO cc-by-nc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22-10-31

본 연구는 전북 부안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참뽕' 뽕나무(Morus alba)를 대상으로 출엽일에 영향을 주는 기온 요인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9년에서 2014년까지 6년간 뽕나무 평균 출엽일은 4월 24일(114 줄리안 일수)이었고, 2014년에 12일로 가장 빨랐고 2011년에 5월 2일로 늦었다. 3월 1일부터 10일까지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 중에서 하순의 기온이 연차 간 차이가 컸다. 0, 5, <TEX>$10^{\circ}C$</TEX> 이상의 날의 적산온도와 매우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TEX>$5^{\circ}C$</TEX> 기준 온도에서 출엽일과 각각 y = 153.8 - 0.1886 <TEX>${\times}$</TEX> (<TEX>$r^2=0.965^{**}$</TEX>)와 126.2 0.2246 (<TEX>$r^2=0.825^*$</TEX>)로 선형회귀식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오디균핵병 적기 방제를 위한 10일까지와 이상인 적산온도로...

10.7235/hort.2015.14173 article EN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5-12-01
Coming S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