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k-Geun Jeong

ORCID: 0000-0002-2895-2711
Publications
Citations
Views
---
Saved
---
About
Contact & Profiles
Research Areas
  • Food Quality and Safety Studies
  • Meat and Animal Product Quality
  • Protein Hydrolysis and Bioactive Peptides
  • Probiotics and Fermented Foods
  • Nutrition, Health and Food Behavior
  • Milk Quality and Mastitis in Dairy Cows
  • Biochemical effects in animals
  • Microbial Inactivation Methods
  • Agriculture, Soil, Plant Science
  • Insect Utilization and Effects
  • Food Allergy and Anaphylaxis Research
  • Enterobacteriaceae and Cronobacter Research
  • Effects of Environmental Stressors on Livestock
  • Bacterial Genetics and Biotechnology
  • Listeria monocytogenes in Food Safety
  • Genomics and Phylogenetic Studies
  • Consumer Attitudes and Food Labeling
  • Antimicrobial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reatments
  • Biopolymer Synthesis and Applications
  • Extracellular vesicles in disease
  • Gut microbiota and health
  • Food Safety and Hygiene
  • Infant Nutrition and Health
  • Collagen: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2007-20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2017

Korea University
2013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1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0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9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s predominate in the colonic microbiota of breast-fed infants. Here we report complete genome sequence B. subsp. KACC 91563, isolated from feces neonates. A single circular chromosome 2,385,301 bp contains 1,980 protein-coding genes, 56 tRNA and 3 rRNA operons.

10.1128/jb.05620-11 article EN Journal of Bacteriology 2011-07-09

The techno-functional properties of ovomucin as a gel-forming agent and its biological are well-known. aim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y in hydrolysate using radical scavenging assays. Electrophoresis showed that isolated from whole egg well separated. Ovomucin hydrolysis carried out microbial protease according different incubation times. These hydrolysates exhibited 85% measured b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ssay after 2 h with...

10.1021/jf4013778 article E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13-07-08

각 돈피추출물의 수율과 단백질함량은 고분자 PS 처리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단백질 함량은 저분자 LPS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약 10배 정도의 나타내었다(p<0.05). 항산화활성 측정결과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p<0.05), 효과를 나타내었다. ORAC 활성은 농도 1 mg/mL일 때, <TEX>$141.39{\mu}M$</TEX> TE/g의 돈피추출물을 신경모세포종 SH-SY5Y 세포에 고농도로 처리한 결과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신경세포에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유발시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PS와 LPS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의존적으로 세포 저분자인 처리구 <TEX>$100{\mu}g/mL$</TEX>일 86.45%의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며 <TEX>$H_2O_2$</TEX> 대비 29.98%의 신경세포보호효과를 독성 단백질인 <TEX>$A{\beta}_{1-42}$</TEX>를 처리구보다는...

10.5851/kosfa.2013.33.2.258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13-04-30

Gelatin is a collagen-containing thermohydrolytic substance commonly incorporated i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latin by using different reagents, such a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ABTS), 2,2-di (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DPPH),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fluorescein (ORAC-FL) porcine hydrolysate obtained gastrointestinal enzymes. Electrophoretic analysis hydrolysis products...

10.5851/kosfa.2013.33.4.493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13-08-31

Milk proteins have many potential sequences within their primary structure, each with a specific biological activity.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bioactivities of hydrolysates domestic (A, B) imported (C, D) skim milk powders generated using papain digestion. MALDI-TOF analysis revealed that all powder were intact, indicating no autolysis. Electrophoretic showed treatment caused degradation into peptides various size. The antioxidant activity hydrolysates, determined...

10.5851/kosfa.2015.35.3.360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15-06-30

이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요구르트 제조용 유산균 스타터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103개의 산생성 균주를 PCR로 screening하여 72개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배양액을 paper disk method를 사용하여 병원성 미생물(E. coli, S. Enteritidi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활성이 강한 선별하여 API 50CHL과 16S rRNA sequencing 방법으로 균을 동정하였다. 균은 L. plantarum으로 확인되어 L.plantarum LHC52로 명명하였다. plantarum LHC52는 특히 E. coli에 대해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LHC52를 제조한 요구르트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 LHC52의 제조 스타터 균주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velop a new starter...

10.5851/kosfa.2010.30.2.328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10-04-30

To develop a safer yogurt for immuno-compromised or allergy patients and to extend shelf-life, plain was irradiated with doses of 0, 1, 3, 5, 10 kGy using gamma ray the chemical microbiological quality allergenicity change were investigated.There no difference in content protein, total solid, amino acids by irradiation treatmen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4, 20, 35°C).The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had approximately 3-decimal reduction at 3 kGy, viable cell regardless time...

10.5713/ajas.2009.80329 article EN cc-by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2009-01-06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액란의 냉장저장 중 미생물 및 이화학적 성상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액란은 살균 비살균 처리된 전란액, 난황액 난백액으로 여름철과 겨울철 생산 제품에 대해 각각 조사하였다. 세균수의 경우 여름철에 생산된 액란(전란액, 난백액)은 1,270-83,300 CFU/g 수준으로 겨울철에 0-4,330 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란액과 난황액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액란생산 계절과 관계 없이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는 반면, 난백액에서만 Salmonella는 액란 모두에서 관계없이 않았다. 그러나, 전란액으로부터 Salmonella 의심균을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 geezenne, otitidis, aeruginosa인 판명되었다. pH 점도변화는 살균과 처리구간 뚜렷한 차이가 없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산시 교차오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사료된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10.5851/kosfa.2011.31.4.557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11-08-31

본 연구는 안전성 확보차원에서 식품분야에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감마선 조사처리가 유제품의 항원성 저감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이기 위해 수행되었다. 모세관전기영동 결과 <TEX>${\alpha}_{S1}$</TEX>-케이신과 <TEX>${\beta}_{A1}$</TEX>-케이신이 <TEX>${\alpha}_{S0}$</TEX>-케이신과 <TEX>${\beta}_{A2}$</TEX>-케이신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ELISA를 이용한 in vitro 시험 결과와 기니픽을 수동피부아나필랙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반응을 통해 10 kGy의 조사에서 뚜렷한 저감을 이상의 결과는 조사가 우유 단백질의 항원, 특히 <TEX>${\beta}_{A1}$</TEX>-케이신의 구조를 변화시켜 항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조사는 알레르기 유발 식품의 감소에 유용한 기술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work was...

10.5851/kosfa.2008.28.3.306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08-08-30

본 연구는 감귤을 이용하여 산양취가 저감된 산양유 요구르트를 개발하고자 감귤농축액과 감귤향 그리고 과당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세 가지 요인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고 감귤 최적 제조조건을 설정하였다. 있어서는 감귤농축액의 첨가가 pH, 적색도, 황색도에 고도로 유의적인(p<0.01) 나타내었으며, 색에, 과당의 전체적인 기호도에 나타내었다.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산양취의 최대값은 2.35, 최소값은 1.08로 두배이상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양취를 최소화시키는 배합조건은 감귤농축액 1.44%,감귤향 0.0357%,및 과당 6.91%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al preparation conditions of yoghurt made from goat milk with reduced goaty flavor by adding citrus...

10.5851/kosfa.2007.27.3.345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07-09-30

This article concerns the labeling guideline for health benefits of livestock products. In recent years, products with have emerged as a key market product industries. However, current regulation functional foods severely prohibits industries from attaching most claims to Also, manufacturers some difficulties in certain because lack guidelines on benefit Therefore, and scientists strongly demanded revision regulation, Appended Chart No. 14 provided by Article 52 (2) Enforcement Regulation...

10.5851/kosfa.2009.29.5.599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09-10-31

Cheese is an excellent substrate for yeast and mold growth. These organisms can cause cheese spoilage, resulting in significant food wastage economic losses. In the context of presence effects spoilage or pathogenic bacteria are well documented. contrast, although yeasts molds responsible much dairy wastage, on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diversity fungi. This article reviews affecting cheeses various countries. The number fungi present were found to depend on type cheese. Important...

10.22424/jmsb.2017.35.3.152 article EN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2017-09-01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리의 도체중량 및 도체품질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총 419,164수의 오리 도체중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2,164.4 g, 최빈값은 2,000 중위수는 2,200 g 사분위 범위는 300 g이었다. 생체중량 구간별 도체수율은 70.1% 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도체의 외모 불량률은 28.4%, 외관손상 발생률은 4.8%인 변색 34.1% 나타났는데, 특히 다리살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도체표면의 잔모제거 44% 수준으로 2.15 kg 미만일 때 전체 불량률의 약 86%를 차지하는 이는 생체중량으로 환산할 경우 3 내외가 된다. 도체의 탈골(골절) 9.91% 대부분 날개 부위와 다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가슴살의 지방함량은 2.3 구간에서 3.2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출하체중은 최소 이상은 되어야 할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carcass...

10.5851/kosfa.2011.31.2.266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11-04-30

산양유의 체세포수는 측정방법에 따라 많은 차이가 보고되고 있으나 국제적인 표준방법으로 pyronin Y-methyl green stain에 의한 직접현미경법이 사용되고 있다. 8개 목장 총 48개 시료를 직접검경법,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보유중인 ADAM-SCC, 충청북도 축산위생연구소에서 Somacount 500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Pyronin stain 측정시 전체 평균은 <TEX>$7.3{\times}10^5$</TEX> cells/mL인 반면 ADAMSCC와 Somacaount 500은 각각 <TEX>$4.9{\times}10^5$</TEX>과 <TEX>$11.6{\times}10^5$</TEX> cells/mL로 나타나 과소 또는 과대평가되는 보였다. 직접현미경법과 ADAM-SCC또는 500과의 상관계수는 0.0332 0.2285로 매우 낮으며 장비간의 상관계수도 0.1552로 낮게 나타났다. 체세 포수 저감을 위해서는 측정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며 장비를...

10.5851/kosfa.2010.30.1.120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10-02-28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low-fat foods among consumers worldwide. However, very few dairy companies produce cheese Korea. Therefore, production must be studied to not only promote consumer health but also diversify the domestic natural market. In this study, we attempted soften texture of Mozzarella prepared from raw milk standardized 2% by changing temperature cooking process 43℃ 37℃ and 40℃. The protein fat contents at selected temperatures was 5.10-7.01% higher 5.24-6.38%...

10.22424/jmsb.2017.35.1.047 article EN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2017-03-01

본 연구는 monosodium glutamate의 생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condensed molasses solubles(CMS)가 반추가축의 질소 공급원으로서 반추위 미생물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anulae가 부착된 4마리의 비착유소를 4 <TEX>${\times}$</TEX> 라틴 방각법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4개의 처리구는 다음과 같다. (1) 기초사료(앞착된 보리 3kg/일과 보리짚의 자유채식), (2) 기초사료에 당밀 200g/일 그리고 물 300g/일 첨가, (3) 200g/일, CMS 100g/일 첨가 (4) 기초 사료에 첨가. CMS의 첨가수준에 따른 반추위내 발효양상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CMS를 200g/일을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합성량의 표시로서 이용된 allantoin/creatinine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P < 0.10). An experiment...

10.5187/jast.2004.46.1.061 article E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04-02-29

본 연구에서는 4종류의 Lactobacillus spp.의 항산화 효과와 활성산소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 casei KCTC 3260의 효과가 intact cell에 서 36.9%, cell lysate에 79.8%로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한 lmM 농도의 hydrogen peroxide에 생존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등 대해서 또한 GPX 활성이 활성산소 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four spp.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including activity, tolerance to reactive oxygen species,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ous iron che1ating activity. Also,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10.5187/jast.2004.46.6.1007 article E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04-12-31

초유는 신생 송아지에게 완전식품으로 제공된다. 반추동물에서 처음 제공되는 후천적 면역물질의 유일한 공급원이다. 따라서 반추동물의 숙주방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의 24시간 동안 수동 면역물질을 공급하고, 일반적으로 생후 3일 공급된다. 저장 후 사용을 위해 냉각, 냉동 또는 대기온도에서 발효 화학처리에 의해 보관할 수 있다. 초유관리 조사는 경기와 충남지역에 있는 67개 낙농가로부터 자료 수집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분만 5일 생산한 초유의 총 생산량은 평균 80.4 kg이었고, 급여한 포유량은 20.9 kg이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남는 처리방법은 그냥 버린다가 17.9%, 다른 송아지 포유용으로 이용한다가 37.3%, 22.4%, 가축에게 준다가 20.9%, 기타방법으로 처리한다가 1.5%로 확인되었다.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분만전후의 항생제 사용자제와 건유연고의 올바른 선택, 착유 초기동안 착유량을 증대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Colostrum provide a...

10.5187/jast.2009.51.2.163 article E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09-04-01

The lactase activities of nine species lactic acid bacteria were compared using the chromogenic substrate, <TEX>$o-nitrophenyl-{\beta}-D-galactopyranoside$</TEX>. Streptococcus thermophilus KACC 91147 had highest activity among a total thirty strains Lactobacillus and S. tested, including commercial strains. released <TEX>$0.30{\pm}0.12\;mg/mL$</TEX> galactose in treated milk A (<TEX>$10^7\;CFU/mL$</TEX>) <TEX>$6.49{\pm}0.38\;mg/mL$</TEX> B (<TEX>$10^9\;CFU/mL$</TEX> milk) over 2 hours. In...

10.5851/kosfa.2007.27.4.496 article EN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07-12-30

산양유의 비유기간 중 연평균 유지방 함량이 3.88% 이었으며, 동절기(4.2%) 보다 하절기 (3.8%)에 낮았다. 함유율이 높을수록 총고형분 함량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산양유 원유를 24시간 냉장저장 하는 동안에 저급 유리지방산(C4:0~C10:0)은 106% 증가하였으며 중급 및 고급 유리지방산(C12:0~C18:1)은 203%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균질한 시유에 첨가하여 반응할 때에 유리지방산은 22% 증가되었으며 199% 증가되었다. Lipase의 종류에 따른 지방분해실험에서 calf lipase는 고급지방산 9배 저급지방산은 5.6배로 증가시켰다. 그러나 Candida rugosa lipase와 Pseudomonas fluorescens 유리지방산이 각각 6배와 14배 증가하고, 34배와 162배 증가하여 고급지방산을 더 잘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PL 활성이 유리지방산 생성량도 증가되어 유의적 상관관계(r=0.5635)를 보였으며 또한 이취가 높아지는...

10.5187/jast.2008.50.1.111 article E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08-02-01
Coming Soon ...